사진 컬렉션
노임체불 관련 노동자 항의 농성
1970~80년대 노동 상황이 매우 열악했던 한국 사회에서 많은 생산업자들이나 공장주들은 노동자들의 임금을 지속적으로 체불 했다. 임금 체불은 노사갈등의 원인이 되었는데 단적으로 86년 노사분규의 원인은 임금인상(62건), 임금체불 (48건), 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밖에 근로조건 개선(48건), 해고반대(34건), 휴폐업 조업단축 반대(12건), 부당노동행위 중지(16건)의 순이다.
갤러리
-
- 입주금을 갖고 도주한 건축업자 때문에 집을 잃고 나갈 수 없다는 현수막을 걸어놓은 빌라
- 등록번호 : 00720977
-
- 노임 후불 전표의 환금을 받으려고 모여든 근로자들
- 등록번호 : 00720990
-
- 문을 닫게 된 공장의 직원들이 모여 앉아 임금체불로 걱정을 하는 모습
- 등록번호 : 00720992
-
- 공장 노조원들이 노사협상에서 회사의 입장을 적은 게시물을 붙이는 것을 지켜보는 모습
- 등록번호 : 00720993
-
- 직원들이 문을 닫게 된 공장에 모여서 임금체불로 걱정 중인 모습
- 등록번호 : 00720994
-
- 삼화제철의 가족들이 퇴직금을 받으러 서울은행 앞에 몰려온 모습
- 등록번호 : 00720996
-
- 삼화제철 가족들이 서울 은행 입구로 들어가려고 하는 것을 막고 있는 모습
- 등록번호 : 00720997
-
- 근로자들이 강당에 가득 모여 앉아서 연설을 듣는 모습
- 등록번호 : 00720998
-
- YH무역회사가 일방적으로 폐업을 공고하고 노조원들에게 강제로 퇴직금을 나눠주는 모습
- 등록번호 : 00721000
-
- 종로 무궁화 의류상가 상인들이 농성을 하는 모습
- 등록번호 : 00720978
-
- 여의도 백화점 입주 상인들이 백화점 안에 이불을 깔고 누워 농성을 벌이는 광경
- 등록번호 : 00720979
-
- 여의도 백화점 입주 상인들이 농성 중인 모습
- 등록번호 : 00720980
- 사진 저작권 안내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각각의 저작권자로부터 사용권을 획득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 서비스 이용 외에 무단전재 또는 재배포로 인한 명예훼손, 초상권 침해, 재산상의 피해 등이 발생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사진 사용 안내
- 생산자 및 기증자가 ‘박용수’인 사진의 사용은 구매신청을 클릭하여 직접 사진 구매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생산자 및 기증자가 ‘경향신문사’인 사진의 사용은 경향신문사 담당자(02-3701-1635)를 통해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의 생산자 및 기증자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담당자( h_jungwon@kdemo.or.kr / 031-361-9586 )에 문의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