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컬렉션
1990년대 선거 풍경
1992년 14대 대통령선거의 정책 설명회와 공명선거를 위한 여러 행사들이 활발히 전개됐다. 한국정책학회이 주관하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후원한 ‘14대 대통령선거 정책공약 설명회’가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윤관 중앙선관위원장이 4당 선거대책본부장들과 깨끗한 선거를 다짐하며 손을 모으고 있는 모습도 보인다. 장충단공원에서 ‘공정선거 실천과 민주정부 수립을 위한 국민대회’가 열렸고, 전경련 회의실에서는 ‘올바른 선거문화 시급하다’는 슬로건 아래 바른 선거문화 정착을 위한 제1차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협의회 등 여러 단체들이 공명선거 캠페인을 벌였다. 공선협은 ‘투표 참여, 금품향응 거부, 선거부정 고발’이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내건 공명선거 캠페인을 진행하며 “조국을 사랑하는 전국의 대학생들에게 호소합니다”란 대자보를 게시했다. 공선협 공명선거 발대식이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고, 명동 등지에서 피켓과 플래카드를 들고 캠페인을 벌였다. 한국여성단체협의회, YMCA, 한국청년회의소 회원들이 캠페인과 서명운동을 전개했으며, 종교계에서도 공명선거를 위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1995년 국회에서 선거구획정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렸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95 공명선거 기획단 발대식’이 있었다. 1997년에는 참여연대에서 ‘100인 유권자위원회 출범 기자 설명회’를 열었다.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협의회 등 여러 단체들이 공명선거 캠페인을 벌였다. 공선협은 ‘투표 참여, 금품향응 거부, 선거부정 고발’이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내건 공명선거 캠페인을 진행하며 “조국을 사랑하는 전국의 대학생들에게 호소합니다”란 대자보를 게시했다. 공선협 공명선거 발대식이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고, 명동 등지에서 피켓과 플래카드를 들고 캠페인을 벌였다. 한국여성단체협의회, YMCA, 한국청년회의소 회원들이 캠페인과 서명운동을 전개했으며, 종교계에서도 공명선거를 위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1995년 국회에서 선거구획정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렸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95 공명선거 기획단 발대식’이 있었다. 1997년에는 참여연대에서 ‘100인 유권자위원회 출범 기자 설명회’를 열었다.
갤러리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거대책본부 현판식을 마치고 박수치는 민주당 당직자
- 등록번호 : 00914467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당 중앙선거대책본부 현판식
- 등록번호 : 00914466
-
- 공정선거 감시단이 선거 유세장 앞에서 공명선거를 호소하는 이색적인 캠페인을 벌이는 모습
- 등록번호 : 00730766
-
- "정책대결의 선거문화를 위한 시민의 밤" 행사에서 연단에서 발표를 하는 발표자들
- 등록번호 : 00730778
-
- YMCA 회원들이 선거관련 금품 향응을 거부하자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모습
- 등록번호 : 00730779
-
- YMCA의 대학생 선거감시단 발대식 모습
- 등록번호 : 00730781
-
- 플래카드와 피켓을 들고 공명선거 가두캠페인을 벌이는 한국 여성단체 협의회 소속 회원들
- 등록번호 : 00730782
-
- 공명선거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시민논단의 토론장 광경
- 등록번호 : 00730783
-
- 한국 청년회의소 회원들이 건전선거 결의대회를 갖고 공명선거 의지를 위한 범국민 서명운동을 벌이는 모습
- 등록번호 : 00730785
-
- 공명선거실현 민간단체 연합 회원들이 결의대회를 하는 중에 인형을 불에 태우는 모습
- 등록번호 : 00730786
-
- 공명선거실천 시민운동협의회가 공명선거 실천을 호소하는 대자보를 붙이는 장면
- 등록번호 : 00730787
-
- 올바른 주권행사를 호소하는 개신교원로 기자회견장 광경
- 등록번호 : 00730788
- 사진 저작권 안내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각각의 저작권자로부터 사용권을 획득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 서비스 이용 외에 무단전재 또는 재배포로 인한 명예훼손, 초상권 침해, 재산상의 피해 등이 발생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사진 사용 안내
- 생산자 및 기증자가 ‘박용수’인 사진의 사용은 구매신청을 클릭하여 직접 사진 구매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생산자 및 기증자가 ‘경향신문사’인 사진의 사용은 경향신문사 담당자(02-3701-1635)를 통해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의 생산자 및 기증자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담당자( h_jungwon@kdemo.or.kr / 031-361-9586 )에 문의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