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글자 크기 조절

동아일보 기자들, 언론자유수호 선언

5일 동아일보의 젊은 기자들은 사회부의 심재택 기자를 중심으로 몇몇 기자들이 추동이 되어 편집간부들의 만류와 일부 사내세력의 방해를 무릅쓰고 편집국에서 ‘언론자유수호 선언식’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강력한 반대로 인하여 기자들은 장소를 별관 회의실로 옮겨 3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언론자유수호 선언」을 발표하였다.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70년대 민주화운동 (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87, 188쪽 언론자유수호 선언 자유언론의 일선 담당자인 우리는 오늘의 언론위기가 한계상황에 이르렀음을 통감하고 민주주의의 기초인 언론자유가 어떤 압력이나 사술로서도 훼손되어서는 안된다고 엄숙히 선언한다. 오늘의 언론이 진실의 발견과 공정한 보도라는 본연의 기능을 거의 거세당하고 만 것은 주로 외부로부터의 불법부당한 제재와 간섭 때문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 돌이켜보면 자랑스런 선배 언론인들은 숨막히는 외족의 억압 아래서도 국민의 알 권리와 국민에게 알릴 의무를 떳떳이 싸워 지켰다. 그러나 우리는 수년래 강화된 온갖 형태의 박해로 자율의 의지를 앗긴 채 언론부재, 언론불신의 막다른 골목까지 밀려나왔다. 작게는 뉴스원(源)의 봉쇄로부터 기사의 경중과 보도여부에까지 외부의 손길이 미쳤고, 이른바 정보기관원의 ‘상주(常駐)’가 빚어내는 모든 불합리한 사태는 일선 언론인인 우리들에게 치욕과 슬픔을 안겨주었다. 이에 우리는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언론의 자유가 어떤 구실로도 침해되어서는 안되며 즉각적이고 완전하게 회복되어야 한다고 확신한다. 기관원의 상주나 출입은 허용될 수 없으며 신문 및 방송의 제작, 판매의 전 과정은 언론인의 양식에 따라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우리는 오늘의 언론위기의 책임을 전적으로 외부로만 전가하려 하지 않으며 권리 위에 잠잔 스스로의 게으름을 반성하려 한다.
우리는 기자적 양심에 따라 진실을 진실대로 자유롭게 보도한다.
우리는 외부로부터 직접 간접으로 가해지는 부당한 압력을 일치단결하여 배격한다.

우리는 우리의 명예를 걸고 정보요원의 사내 상주 또는 출입을 거부한다.
1971. 4. 15.
동아일보 기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