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2ㆍ28대구학생시위 (2ㆍ28대구민주화운동)

1) 1948년의 정부수립 이래로 이승만 정부는 민족의 화해와 통일보다는 친미와 반공을 앞세우면서 반민족 친일행위에 대한 단죄를 목적으로 1948년 10월에 발족한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의 활동을 방해하였고, 미국의 원조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부패특권 세력에 부를 편중시킨 반민주주의 독재 정권으로, 1952년의 ‘부산정치파동’과 ‘발췌개헌’, 종신집권을 꾀한 ‘사사오입개헌’을 자행하고 정적제거를 위해 ‘진보당사건’을 조작하여 조봉암 처형 및 언론자유를 정면에서 말살한 경향신문 폐간 등 끝없는 반민주주의적 폭거를 자행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배경을 갖고 1960년에 일어난 4월혁명은 이승만 정권이 자행한 부정선거에 대한 반대와 규탄에서 시작하여 반독재민주화투쟁으로 발전한다. 4·19혁명은 혁명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던 1960년 2월 28일 대구학생시위에서부터 시작하여 3월 15일 정·부통령선거일 당일의 3·15마산 시위, 그리고 4·18 고려대생 시위에 이어 절정에 이른 4월 19일의 대규모시위와 4·25 대학교수단 시위로 전개되었다.

2) 1960년 4대 대통령 선거인 3·15 선거를 앞두고 전통적으로 야당세가 강한 대구에서 자유당 경북도당은 2월 28일로 예정된 민주당 부통령 후보 장면의 선거 유세 때에 정치에 민감한 고등학생들이 참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각급 학교장을 소집, ‘일요 등교 계획’ 이라는 해괴한 조치를 취했다. 이에 따라 경북고는 학기말 시험, 대구고는 토끼 사냥, 경북사대부고는 임시수업, 대구상고는 졸업생 송별회, 대구여고는 무용발표회 등의 명목으로 28일 일요일 등교 지시를 내렸다. 이 지시가 내려진 25일 밤부터 경북고, 대구고, 경북사대부고의 학도호국단 간부 학생들이 비밀 회합을 갖고 일요일 등교 후 항의 시위를 하기로 약속했다. 2월 28일 낮 12시 50분 운동장에 모인 800여 명의 경북고교생들이 결의문을 낭독한 후, “민주주의를 살리자”, “학원의 자유를 달라”, “학생들을 정치도구로 이용하지 말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대구시내 중심가로 행진했다. 대구고생도 800여 명이 오후 2시경 시위에 들어갔고, 경북여고생 100여 명도 참여했다. 경북사대부고생들은 시위 계획을 눈치 챈 교사들이 학생들을 강당에 가두는 바람에 오후 늦게 시위에 참여했다. 학생들은 자유당 경북도당 당사, 도지사 관사 등으로 몰려다니며 시위를 벌이다 오후 3시경 경북도청 앞에 집결했다. 경찰은 7시 40분경 시위대를 강제 해산하고 주동 학생 30여 명 등 300여 명을 연행하였으나, 시위 확대를 우려한 자유당 중앙의 지시로 모두 석방하였다. 2월 28, 29일 양일간 계속된 대구 학생들의 시위는 이후 이어지는 부정선거 반대운동의 도화선 역할을 했다. 3월 2일 민주당은 이 사건에 대해 최인규 내무부장관에게 강력히 항의했으며, 이튿날 경찰의 선거대책 비밀공문에 대한 정보를 폭로하였는데, 그 내용은 9할 5푼 득표를 목표로 사전 투표, 공개 투표, 투표함 바꾸기, 표 바꾸기 등을 계획한 것이었다. 이어 3월 5일 서울운동장에서 민주당 선거 강연이 끝난 후 강연회에 참석했던 학생·시민 1,000여 명이 “학생은 궐기하라”, “공명선거 실시하라”등의 구호를 외치며 가두시위를 벌였다. 3월 8일 대전고 학생들도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3월 10일부터 14일까지 부산・대전・수원・청주・충주 등지에서 학생들이 시위를 벌였는데, 부산과 서울의 데모가 규모가 컸다. 이날까지 학생들의 시위에서는 “부정선거 배격하자” 등의 구호도 나왔지만 학원의 자유를 간섭하지 말라는 구호가 많았다. 2ㆍ28 대구민주화운동(또는 2.28대구학생봉기,2.28의거)은 선거부정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국민기본권 침해에 맞선 민주화운동으로서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주요출처: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 서중석 저,『한국현대사 60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 김정남 저, 『4·19혁명』 3·15의거기념사업회 편,『3·15의거사』

2ㆍ28대구학생시위 (2ㆍ28대구민주화운동)

to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