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대별 분류
- 1960년대
-
1970년대
- 전태일분신
- 청계피복노동조합결성투쟁
- 민주수호국민협의회민주수호운동
- 광주대단지사건
- 국제앰네스티한국지부결성
- 김대중납치사건
- 최종길교수의문사사건
- 수도권특수지역선교위원회긴급조치위반사건
- 민청학련(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사건
- 제2차인혁당(인민혁명당)사건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발족
- 오글목사,시노트신부강제추방사건
- 조선일보ㆍ동아일보기자해직사태
- 서울대생김상진할복자살
- 장준하의문사사건
- 3ㆍ1민주구국선언사건(명동사건)
- 구속자가족협의회(구가협)
- 「민주구국헌장」사건
- 동일방직사건
- 함평고구마사건
- YH사건
- 민주청년인권협의회
- 「우리의교육지표」사건
- 크리스챤아카데미사건
- 안동교구가톨릭농민회사건(오원춘사건)
- YWCA위장결혼식사건
- 서울대생내란예비음모사건
- 자유실천문인협의회문학인101선언
- 인선사(삼고사)유령노조사건
- 병역문제대책위원회사건
- 청계피복노조노동교실탄압사건
- 카터방한반대시위
- 1970년대필화사건
- 1970년대언론탄압
-
1980년대
- 사북항쟁(사북광산노동자대투쟁)
- 김대중내란음모사건
- 원풍모방노조사수투쟁
- 전국민주학생연맹·전국민주노동자연맹사건(학림사건)
- 콘트롤데이타노동쟁의
-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
- 오송회사건
-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결성
-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결성
- 민중민주운동협의회
- 목동철거민투쟁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결성
- 대우자동차노조민주화및임금인상투쟁
- 구로동맹파업
- 민정당중앙정치연수원점거농성사건
-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 KBSTV시청료거부운동
- 개헌서명운동
- 박영진분신사건
- 김세진ㆍ이재호분신사건
- 5ㆍ3인천항쟁
- 서울노동운동연합사건
- 부천서성고문사건
- 전국반외세반독재애국학생투쟁연합(애학투련)결성식및건국대점거농성사건
- 7ㆍ8월노동자대투쟁
-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결성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결성
- 대우조선노조결성과이석규장례투쟁
- 민족문학작가회의창립
- 부정선거항의구로구청점거농성사건
-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창립
-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결성
- 강원탄광노동자성완희분신사건
-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결성
- 나라사랑청년회
- 전국노점상연합회결성
- 전국농민단체협의회결성
- 여의도농민시위
-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결성
- 이철규의문사사건
- 전국빈민연합결성
- 해고노동자블랙리스트철폐투쟁
- 대우어패럴노조탄압사건
- 민주화추진위원회(깃발사건)
- 민중교육지사건
- 삼민투사건
- 교육민주화선언
- 제헌의회그룹사건
- 말지(보도지침)사건
- 서울남부지역노동자동맹(남노련)사건
- 서총련(서울지역총학생회연합)결성
- 서울지역노동조합협의회결성
- 공해추방운동연합(공추련)결성
- 서울지하철노조파업
- 경동산업노조탄압과노동자집단분신
- 인천지역노동조합협의회(인노협)총파업투쟁
- 1980년대통일운동
- 1990년대
대우어패럴노조탄압사건
대우그룹 계열의 의류봉제 수출회사인 대우어패럴은 종업원이 2,000여 명에 이르는 큰 회사였지만 임금이나 노동조건은 열악했다. 1984년 6월 9일 대우어패럴 노동조합(위원장 김준용)이 결성되자, 회사는 회의장 난입을 시도하는 등 노동조합 결성을 저지하고자 하였다. 회사 측은 노동조합 결성 이후에도 열성 조합원을 해고하고 반노동조합 조직을 결성하여 조합원들을 협박하고 폭행하며, 단체교섭에 응하지 않는 등 노동조합을 와해시키기 위한 각종 부당노동행위를 일삼았다.
노동조합은 이에 항의하여 1984년 10월 17일 공장에서 조합원 150여 명을 이끌고 철야농성을 하였다. 그리하여 10월 18일에 해고자 복직, 노조 간부에 대한 인사 불이익 해소, 부당노동행위 중지 등 7개 항에 대해 회사와 합의를 보았다. 하지만 회사는 합의사항을 이행하지 않고, 조합원에 대한 협박 등 부당노동행위를 반복하였다. 이에 노동조합은 10월 25일 한국노총에서 조합원 80여 명과 함께 농성을 벌였다. 그 결과‘단체협약 체결, 해고자 4명 복직, 노조 탄압에 대한 사과문 공고’ 등에 대한 합의를 얻어냈다. 하지만 농성 후 반노동조합 조직으로부터 집단 폭행을 당하였고, 합의사항은 재차 이행되지 않았다. 노동조합원 60여 명은 또 다시 1984년 11월 2일 여의도 민한당사 3층 회의실을 점거하고, 노동조합 인정을 요구하였다.
이 투쟁의 결과 김우중 당시 대우그룹회장으로부터 노동조합 인정을 약속받았고, 이후 단체협약을 체결하는 등 노동조합 활동이 정상화되었다. 노조는 1985년 4월에도 임금 인상 투쟁을 전개하였다. 두 차례의 파업으로 임금인상 투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지 약 두 달이 지난 1985년 6월 22일 김준용 위원장, 강명자 사무국장, 추재숙 조합원 등 3인이 당시 농성을 이유로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폭력 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노동쟁의조정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다. 1986년 4월 17일 서울형사지방법원에서 김준용은 징역 1년, 강명자와 추재숙은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의 유죄 판결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대우어패럴 탄압에 항의하는 다른 민주노조들의 연대투쟁에 학생들과 민통련 민청련 등 22개 민주민권운동단체가 가세하여 연대파업 지지농성을 벌이며 대항했다. (상세는 별항 구로동맹파업 참고) 대우어패럴 노동자들은 투쟁과정에서 43명이 구속되고 700여 명이 일자리를 잃었지만, 이 사건은 노동조합이 단위사업장의 영역을 떠나 다른 노동조합과 연대하여 조직적으로 투쟁하고, 학생운동 등 다른 민주화운동세력과 연대투쟁을 벌이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사료
- 사료 소개
- ‘대우어패럴’ 조건으로 총 91건, ‘김준용’ 조건으로 총 13건이 검색되었다. (구로동맹파업 관련 사료는 별항 참조) 대우어패럴노동조합 편집부의 <대우어패럴 노동조합소식 제1호> (등록번호 : 359040), 대우어패럴노동조합 명의의 <대우어패럴 노동조합에 대한 탄압경위> (등록번호 : 359279)와 , <대우어패럴 노동조합 농성> (등록번호 : 359306),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의 성명서 <대우재벌의 야만적 노조탄압행위를 규탄한다> (등록번호 : 575915), 한국기독청년협의회노동선교위원회의 성명서 <대우어패럴 노동조합을 수호하자> (등록번호 : 216662),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한국교회사회선교협의회의 성명서 <누가 노동자를 거리로 내모는가?[대우어패럴 노동자 구속 관련]> (등록번호 : 216704), 서울지역노동조합협의회준비위원회의 성명서 <前 대우어패럴 노조위원장 김준용동지를 즉각 석방하라!> (등록번호 : 224008) 등과, 전국섬유노동조합연맹 대우어패럴노동조합 위원장 김준용이 작성한 <조합원에게 알리는 글> (등록번호 : 359241),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서[수신:서울시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 발신:전국섬유노동조합연맹 대우어패럴노동조합 위원장 김준용]> (등록번호 : 359490), 진술서 <현장순회를 막은 폭력사태에 관해> (등록번호 : 359492)와 대우어패럴주식회사 대표이사 전무 김억년과 대우어패럴노동조합 조합장 김준용 간의 <합의서> (등록번호 : 359030)가 있다. 사진사료로는 박용수의 <구로동맹파업 사건 당시 공장 창밖으로 현수막을 내거는 대우어패럴 노동자들> (등록번호 : 743707), <공장을 점거하고 농성중인 대우어패럴 파업 노동자들> (등록번호 : 743708), <구사대의 폭행으로 온몸에 멍이 든 대우어패럴 노동자> (등록번호 : 700475) 등과 경향신문사가 생산한 <대우어패럴 건물 창문에 붙여진 노조들의 요구사항이 적힌 각종 격문들> (등록번호 : 735458)을 소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