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대별 분류
- 1960년대
-
1970년대
- 전태일분신
- 청계피복노동조합결성투쟁
- 민주수호국민협의회민주수호운동
- 광주대단지사건
- 국제앰네스티한국지부결성
- 김대중납치사건
- 최종길교수의문사사건
- 수도권특수지역선교위원회긴급조치위반사건
- 민청학련(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사건
- 제2차인혁당(인민혁명당)사건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발족
- 오글목사,시노트신부강제추방사건
- 조선일보ㆍ동아일보기자해직사태
- 서울대생김상진할복자살
- 장준하의문사사건
- 3ㆍ1민주구국선언사건(명동사건)
- 구속자가족협의회(구가협)
- 「민주구국헌장」사건
- 동일방직사건
- 함평고구마사건
- YH사건
- 민주청년인권협의회
- 「우리의교육지표」사건
- 크리스챤아카데미사건
- 안동교구가톨릭농민회사건(오원춘사건)
- YWCA위장결혼식사건
- 서울대생내란예비음모사건
- 자유실천문인협의회문학인101선언
- 인선사(삼고사)유령노조사건
- 병역문제대책위원회사건
- 청계피복노조노동교실탄압사건
- 카터방한반대시위
- 1970년대필화사건
- 1970년대언론탄압
-
1980년대
- 사북항쟁(사북광산노동자대투쟁)
- 김대중내란음모사건
- 원풍모방노조사수투쟁
- 전국민주학생연맹·전국민주노동자연맹사건(학림사건)
- 콘트롤데이타노동쟁의
-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
- 오송회사건
-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결성
-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결성
- 민중민주운동협의회
- 목동철거민투쟁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결성
- 대우자동차노조민주화및임금인상투쟁
- 구로동맹파업
- 민정당중앙정치연수원점거농성사건
-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 KBSTV시청료거부운동
- 개헌서명운동
- 박영진분신사건
- 김세진ㆍ이재호분신사건
- 5ㆍ3인천항쟁
- 서울노동운동연합사건
- 부천서성고문사건
- 전국반외세반독재애국학생투쟁연합(애학투련)결성식및건국대점거농성사건
- 7ㆍ8월노동자대투쟁
-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결성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결성
- 대우조선노조결성과이석규장례투쟁
- 민족문학작가회의창립
- 부정선거항의구로구청점거농성사건
-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창립
-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결성
- 강원탄광노동자성완희분신사건
-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결성
- 나라사랑청년회
- 전국노점상연합회결성
- 전국농민단체협의회결성
- 여의도농민시위
-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결성
- 이철규의문사사건
- 전국빈민연합결성
- 해고노동자블랙리스트철폐투쟁
- 대우어패럴노조탄압사건
- 민주화추진위원회(깃발사건)
- 민중교육지사건
- 삼민투사건
- 교육민주화선언
- 제헌의회그룹사건
- 말지(보도지침)사건
- 서울남부지역노동자동맹(남노련)사건
- 서총련(서울지역총학생회연합)결성
- 서울지역노동조합협의회결성
- 공해추방운동연합(공추련)결성
- 서울지하철노조파업
- 경동산업노조탄압과노동자집단분신
- 인천지역노동조합협의회(인노협)총파업투쟁
- 1980년대통일운동
- 1990년대
박영진 분신 사건
1986년은 노사분규에 참여한 노동자가 급증한 시기였다. 노사분규의 원인은 임금인상과 체불임금이 주종을 이루었으며 1월부터 4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전개되었다. 1986년 상반기 노동운동은 서울 구로지역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전국적인 인금인상투쟁의 열기가 상승했다. 이런 가운데 1986년 3월 17일, 서울 구로구 소재 신흥정밀 노동자 박영진이 인금인상투쟁 중 경찰과 대치 끝에 회사 옥상에서 분신했다. 450여 명의 노동자가 근무하는 신흥정밀은 초임이 3080원의 저임금에다 기본근무시간이 9시간으로 강제되어 있고, 연차 월차 생리수당은 지급되지 않는 열악한 노동조건을 가진 회사였다. 이에 노동자들은 ①초임 4200원으로 인상 ②하루 기본근무시간 8시간 정상화, ③강제잔업과 철야 특근 철폐, ④부당해고 철회 등을 요구했다.
신흥정밀 노동자들은 1986년 3월 7일부터 지속적인 유인물 작업을 통해 노동상황을 알려나갔다. 3월 17일 점심시간을 이용해 전 종업원과 함께 투쟁을 전개할 계획이었으나 회사 측이 미리 알고 점시시간을 일방적으로 연기해 방해함에 따라 박영진을 포함한 몇몇 노동자들은 식당에서 성명서를 낭독하고 요구사항을 외쳤다. 즉각 경찰이 투입되고 옥상까지 밀려올라가 경찰과 대치하게 된 박영진은 온몸에 석유를 붓고 성명서에 불을 붙인 후 경찰이 물러날 것을 요구했으나 경찰은 방치한 채 동료 노동자들을 강제로 끌어내리는데 급급했다. 경찰들은 박영진이 쓰러질 때까지 10여 분을 기다렸다가 담요로 덮고 동료들을 경찰서로 연행한지 20분이 지난 다음인 3시경에야 강남성심병원으로 옮겼다. 얼굴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온 몸에 화상을 입었으나 “전태일 선배가 못다 한 일을 내가 하겠다. 1천만 노동자의 권리를 찾겠다. 끝까지 투쟁해야 한다. 등의 말을 남기고 3월 18일 새벽에 사망했다
이 과정에서 회사측이 박영진의 부친을 기만하고 회유를 시도했다. 박영진의 부친을 찾아온 회사측 관리자는 10만원을 건네주면서 박영진의 퇴사를 종용하면서 퇴사처리 후 계속적인 치료를 해주겠다고 했다. 박영진의 부친이 이들의 요구를 거부하자 갖은 기만과 회유로 타협을 시도했다. 강남성심병원에는 사복경찰과 전경이 배치되었다. 경찰은 시신을 지키고 있던 노동자와 박영진의 운명을 지켜보러 온 문익환 목사 등 민주인사들을 강제로 귀가시키고 시신을 탈취하여 그들 마음대로 벽제화장터에서 화장시키는 만행을 저질렀다. 박영진은 1984년 9월 동일제강에 입사하여 1985년 3월 노조결성 후 노조사무장에 선출되어 민주노조건설에 핵심적 역할을 하다 강제해고 당하고 1985년 10월 신흥정밀에 입사했다.
주요출처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 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민주화운동관련 사건·단체 사전편찬을 위한 기초조사연구보고서』 이원보 저 『한국노동운동사5』
사료
- 사료 소개
- ‘박영진’ 조건으로 총 109 건이 검색되었다. <고 박영진 열사가 여성 동료에게 남긴 마지막 편지> (등록번호 : 211071) 박영진이 분신하기 이틀전 자신의 생각과 심경을 담담하게 쓴 육필 편지, 이 편지를 쓸 당시의 박영진 열사 주변 정황을 짐작해볼 수 있는 자료, <박영진 동지의 약력과 투쟁경력> (등록번호 : 095213) 박영진의 성장과정, 의식화과정, 투쟁과정이 일지형식으로 쓰여진 자료, <경찰의 시신 탈취를 막기 위해 출입구를 몸으로 막는 사람들> (등록번호 : 700928) 박용수 사진, <노동투사 박영진 동지 장례투쟁 보고서> (등록번호 : 095104), <박영진 열사 장례식 팜플렛> (등록번호 : 326761) 박영진의 약력과 투쟁경력, 분신 이후 노동자와 민주인사의 투쟁 경과, 편지 내용 등 소개, <박영진의 장례식을 몰래 지켜보던 양주경찰서 형사들에게 노동자들이 달려들자 이를 말리는 문익환 목사와 이소선 여사> (등록번호 : 700981) 등은 시신을 둘러싼 긴박하고 암울했던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