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대별 분류
- 1960년대
-
1970년대
- 전태일분신
- 청계피복노동조합결성투쟁
- 민주수호국민협의회민주수호운동
- 광주대단지사건
- 국제앰네스티한국지부결성
- 김대중납치사건
- 최종길교수의문사사건
- 수도권특수지역선교위원회긴급조치위반사건
- 민청학련(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사건
- 제2차인혁당(인민혁명당)사건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발족
- 오글목사,시노트신부강제추방사건
- 조선일보ㆍ동아일보기자해직사태
- 서울대생김상진할복자살
- 장준하의문사사건
- 3ㆍ1민주구국선언사건(명동사건)
- 구속자가족협의회(구가협)
- 「민주구국헌장」사건
- 동일방직사건
- 함평고구마사건
- YH사건
- 민주청년인권협의회
- 「우리의교육지표」사건
- 크리스챤아카데미사건
- 안동교구가톨릭농민회사건(오원춘사건)
- YWCA위장결혼식사건
- 서울대생내란예비음모사건
- 자유실천문인협의회문학인101선언
- 인선사(삼고사)유령노조사건
- 병역문제대책위원회사건
- 청계피복노조노동교실탄압사건
- 카터방한반대시위
- 1970년대필화사건
- 1970년대언론탄압
-
1980년대
- 사북항쟁(사북광산노동자대투쟁)
- 김대중내란음모사건
- 원풍모방노조사수투쟁
- 전국민주학생연맹·전국민주노동자연맹사건(학림사건)
- 콘트롤데이타노동쟁의
-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
- 오송회사건
-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결성
-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결성
- 민중민주운동협의회
- 목동철거민투쟁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결성
- 대우자동차노조민주화및임금인상투쟁
- 구로동맹파업
- 민정당중앙정치연수원점거농성사건
-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 KBSTV시청료거부운동
- 개헌서명운동
- 박영진분신사건
- 김세진ㆍ이재호분신사건
- 5ㆍ3인천항쟁
- 서울노동운동연합사건
- 부천서성고문사건
- 전국반외세반독재애국학생투쟁연합(애학투련)결성식및건국대점거농성사건
- 7ㆍ8월노동자대투쟁
-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결성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결성
- 대우조선노조결성과이석규장례투쟁
- 민족문학작가회의창립
- 부정선거항의구로구청점거농성사건
-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창립
-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결성
- 강원탄광노동자성완희분신사건
-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결성
- 나라사랑청년회
- 전국노점상연합회결성
- 전국농민단체협의회결성
- 여의도농민시위
-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결성
- 이철규의문사사건
- 전국빈민연합결성
- 해고노동자블랙리스트철폐투쟁
- 대우어패럴노조탄압사건
- 민주화추진위원회(깃발사건)
- 민중교육지사건
- 삼민투사건
- 교육민주화선언
- 제헌의회그룹사건
- 말지(보도지침)사건
- 서울남부지역노동자동맹(남노련)사건
- 서총련(서울지역총학생회연합)결성
- 서울지역노동조합협의회결성
- 공해추방운동연합(공추련)결성
- 서울지하철노조파업
- 경동산업노조탄압과노동자집단분신
- 인천지역노동조합협의회(인노협)총파업투쟁
- 1980년대통일운동
- 1990년대
여의도 농민시위
농민들은 1987년의 고추값 폭락과 수세제도의 불합리성 및 농지개량조합의 비민주적 운영에 항의하여 본격적인 대중투쟁으로서 수세투쟁과 농산물 제값받기 투쟁을 전개했다. 1988년 11월 1일 전국수세폐지대책위원회 등을 꾸리고 수세폐지와 고추전량 수매를 위한 투쟁을 전국 각지에서 400여 차례나 전개하였다. 1988년 노태우 정권 출범 이후 여소야대 상황에서 추곡수매가 국회동의제가 실시되었고 농산물 제값받기 투쟁이 대중적으로 확산되었지만, 이러한 문제점은 시정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고추값은 나날이 폭락하였다. 정부의 저곡가정책에 분노한 농민들은 국회 개원 시기에 맞춰 자신들의 절박한 생존문제를 대대적으로 알리기 위해 여의도광장에서 농민대회를 개최하기에 이른다.
1989년 2월 13일 전국 99개 군 농민 15,000여 명은 여의도광장에 모여 ‘수세폐지 및 고추전량수매 쟁취 전국대회’를 열었다. 집회를 끝마치고 4당 대표와 대책을 토론하기 위해 국회의사당 쪽으로 행진했다. 그러나 경찰이 최루탄을 쏘며 저지하자 분노한 농민들은 만장이나 깃발을 달기 위해 가져 온 대나무로 죽창을 만들어 이에 대항하면서, KBS·정부 업무수행 차량을 불태우는 등 격렬한 시위를 전개했다. 정부는 농민운동 지도자와 전민련 의장 및 전대협 의장 등 민족민주운동 세력에 대한 검거령을 내리는 한편 전국에서 총 458명이 연행되어 117명이 입건되고 6명이 구속되고 9명이 불구속되었다. 농민들은 2월 25일 ‘여의도 농민집회 폭력진압 규탄과 수세 완전폐지를 위한 전국농민대회’를 26개 군에서 동시에 개최하면서 투쟁하였으나, 정권의 대대적 탄압은 농민운동을 크게 위축시켰으며 가톨릭농민회(가농) 등은 배후세력으로 지목되어 정부당국의 탄압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농민문제의 심각성을 일반국민들이 공감하게 되었으며 수세인하의 성과도 이루었다.
흔히 ‘죽창시위’로 불리는 여의도 농민 시위는 1960·1970년대 개발독재의 그늘 아래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되고, 1980년대 들어서는 농축산물 수입개방 조치에 의해 벼랑으로 내몰린 농민들의 저항이었다. 또한 이 투쟁은 가톨릭농민회와 기독교농민회(기농) 등 기존의 전국적 농민운동조직과 1980년대 하반기부터 광범위하게 결성되기 시작한 자주적 농민 대중조직의 일부가 연합하여 1989년 3월 1일 전국농민운동연합(전농. 의장 윤정석, 부의장 정광훈)을 발족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서중석 저,『한국현대사 60년』 한국가톨릭농민회 편, 『한국가톨릭농민회 30년사』
사료
- 사료 소개
- ‘여의도 농민’ 조건으로 총 12 건, ‘수세폐지’ 조건으로 총 23 건이 검색되었다. 여의도 농민시위 당일의 문서로는 성명서 <성명서(수세폐지 및 고추전량수매쟁취전국농민대회에 부쳐)-농민생존 가로막는 노태우정권 끝장내자!>(등록번호 : 223189) 등이 있으며, 수세폐지운동과 관련된 가톨릭농민회의 자료집 <교육자료집-수세폐지운동> (등록번호 : 222109)과 전국수세폐지대책위가 결성될 때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성명서 <성명서-전국 수세폐지 대책위원회 결성에 부쳐>(등록번호 : 206320)도 있다. 문서와 사진사료 외에 박물류(<부당수세폐지 및 고추 전량수매쟁취 전국농민대회 포스터>(등록번호 : 314854)와 영상사료(<수세폐지 결의대회-승주 여천 지구(89.1.12)>(등록번호 : 548560)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