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대별 분류
- 1960년대
-
1970년대
- 전태일분신
- 청계피복노동조합결성투쟁
- 민주수호국민협의회민주수호운동
- 광주대단지사건
- 국제앰네스티한국지부결성
- 김대중납치사건
- 최종길교수의문사사건
- 수도권특수지역선교위원회긴급조치위반사건
- 민청학련(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사건
- 제2차인혁당(인민혁명당)사건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발족
- 오글목사,시노트신부강제추방사건
- 조선일보ㆍ동아일보기자해직사태
- 서울대생김상진할복자살
- 장준하의문사사건
- 3ㆍ1민주구국선언사건(명동사건)
- 구속자가족협의회(구가협)
- 「민주구국헌장」사건
- 동일방직사건
- 함평고구마사건
- YH사건
- 민주청년인권협의회
- 「우리의교육지표」사건
- 크리스챤아카데미사건
- 안동교구가톨릭농민회사건(오원춘사건)
- YWCA위장결혼식사건
- 서울대생내란예비음모사건
- 자유실천문인협의회문학인101선언
- 인선사(삼고사)유령노조사건
- 병역문제대책위원회사건
- 청계피복노조노동교실탄압사건
- 카터방한반대시위
- 1970년대필화사건
- 1970년대언론탄압
-
1980년대
- 사북항쟁(사북광산노동자대투쟁)
- 김대중내란음모사건
- 원풍모방노조사수투쟁
- 전국민주학생연맹·전국민주노동자연맹사건(학림사건)
- 콘트롤데이타노동쟁의
-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
- 오송회사건
-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결성
-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결성
- 민중민주운동협의회
- 목동철거민투쟁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결성
- 대우자동차노조민주화및임금인상투쟁
- 구로동맹파업
- 민정당중앙정치연수원점거농성사건
-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 KBSTV시청료거부운동
- 개헌서명운동
- 박영진분신사건
- 김세진ㆍ이재호분신사건
- 5ㆍ3인천항쟁
- 서울노동운동연합사건
- 부천서성고문사건
- 전국반외세반독재애국학생투쟁연합(애학투련)결성식및건국대점거농성사건
- 7ㆍ8월노동자대투쟁
-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결성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결성
- 대우조선노조결성과이석규장례투쟁
- 민족문학작가회의창립
- 부정선거항의구로구청점거농성사건
-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창립
-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결성
- 강원탄광노동자성완희분신사건
-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결성
- 나라사랑청년회
- 전국노점상연합회결성
- 전국농민단체협의회결성
- 여의도농민시위
-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결성
- 이철규의문사사건
- 전국빈민연합결성
- 해고노동자블랙리스트철폐투쟁
- 대우어패럴노조탄압사건
- 민주화추진위원회(깃발사건)
- 민중교육지사건
- 삼민투사건
- 교육민주화선언
- 제헌의회그룹사건
- 말지(보도지침)사건
- 서울남부지역노동자동맹(남노련)사건
- 서총련(서울지역총학생회연합)결성
- 서울지역노동조합협의회결성
- 공해추방운동연합(공추련)결성
- 서울지하철노조파업
- 경동산업노조탄압과노동자집단분신
- 인천지역노동조합협의회(인노협)총파업투쟁
- 1980년대통일운동
- 1990년대
3ㆍ1민주구국선언 사건(명동 사건)
1975년 유신정권의 긴급조치 9호 발동 이후 한국사회 전체가 유신체제의 강압 통치로 인해 질식하고 있었다. 강요된 침묵의 한해를 보내고 1976년도를 맞이하게 되자 사회의 양심 세력들 내에서는 경직된 상황을 타개하고 국민들에게 민주화의 정당성을 알리기 위한 어떤 노력이 재개되어야 한다는 분위기가 움텄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3·1절이 다가오자 소위 ‘재야민주화진영’ 여러 갈래에서 3·1절에 즈음한 성명 또는 시국선언이 모색되었다. 문익환 목사는 1976년 2월 12일 3·1절을 기해 발표할 선언문 초안을 작성하였다. 문익환 목사는 함석헌, 김대중, 문동환, 이문영, 정일형, 윤보선 등과 협의를 통해 초안을 수정하여 “민주구국선언”을 완성하게 된다.
1976년 3월 1일 오후6시, 명동성당에서는 전국에서 올라온 20여명의 사제단 신부들이 공동 집전하고, 2천여 명의 신·구 교회 관계인사 및 신자가 참석한 가운데 3·1절 기념미사가 열렸다.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된 이 미사는 1부에서 사제단의 김승훈 신부가 강론을, 2부에서는 개신교의 문동환 목사가 설교를 맡았다. 이어 2월 16일 전주에서 있었던 기도회의 경과보고 형식으로 전주에서 올라온 문정현 신부가 김지하 어머니의 호소문을 낭독했으며, 마무리기도의 형식을 빌어 서울여대 이우정 교수가 재야인사 10명이 서명한 “민주구국선언”을 낭독했다. “민주구국선언”은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신념을 내세우면서 일인 독재 아래 인권은 유린되고 자유는 박탈당하는 현실을 비판했고, 정치·경제·통일 등의 분야에서 한국사회가 나갈 방향을 피력했다. 그리고 9시 45분경 3·1절 기념미사는 아무 일 없이 조용히 끝났다.
이 평범한 미사가 갑자기 세인들의 관심거리로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1976년 3월 10일이었다. 이날 오후 5시 30분 서울지검 서정각 검사장은 ‘일부 재야인사들의 정부전복 선동사건’이 발생하여 관련자 20명을 대통령 긴급조치 9호 위반혐으로 입건했다고 발표했다. 이날의 기자회견에서 서검사장은 미리 준비된 발표문만을 낭독한 뒤 기자들의 질문을 받지 않고 기자회견을 끝냈다.
3월 26일 입건자들을 기소하면서 검찰은 “3·1절 명동성당 민주구국선언사건”이라는 긴 이름아래, 그때까지 있었던 여러 집회와 기도회를 짜깁기하여 사건을 눈덩이처럼 부풀렸다. 즉 “3·1절 명동성당 민주구국선언사건”을 빙자하여 당시 유신권력에 눈엣가시처럼 여긴 많은 사람들을 각기 다른 혐의를 들씌워 투망식으로 이 사건에 옭아맸다. 이 사건을 기화로 재야민주진영에 정치보복을 감행한 셈이었다. 유신체제는 이 사건을 이유로 문익환 등 11명을 구속하고 이태영 등 9명을 불구속입건했으며, 이후 일체의 3·1절 행사를 경찰력을 동원하여 원천봉쇄했다.
유신정권의 계획적인 탄압에도 불구하고 “3·1절 명동성당 민주구국선언사건”은 유신체제에 반대, 항의하는 범재야민주세력의 실체를 내외에 드러내는 결과가 되었다. 이 사건이 유신체제의 한가운데 가장 어두운 시기에 이루어진데다, 참여한 면면이 전직 대통령, 제1야당의 대통령후보, 현역정치인, 재야원로와 교수, 신·구 교회의 중심인물들 이었다는 점에서 내외에 미치는 파장이 클 수밖에 없었다. 그만큼 법정에서 정치적·법률적인 체제공방도 치열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사건을 계기로 재야민주세력의 새로운 연합이 형성되었다는 사실이다.
한편 1심 재판이 한창인 8월 광주지역에서 제2명동사건이라 불리는 ‘3·1민주구국선언을 지지한 광주지역 성직자 구속’사건이 발생하였는데 이 사건의 경과는 다음과 같다.
“3·1민주구국선언”사건으로 기독교장로회소속 인사들이 다수 구속되자 기장은 이 사건에 특별한 관심을 표명하였다. 그 결과 기장 전남노회는 당국의 고의적인 사실왜곡보도에 대항하여 교회의 입장을 밝힐 필요를 절감하였다. 1976년 3월 18일 목표 연동교회에서 임시노회를 개최하여 ‘명동사건’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는 내용의 결의문을 작성·발표하기로 하였다. 3월 26일 작성된 문안을 노회 산하 140여 개의 교회에 발송하고자 하였으나 경찰에 의해 무산되었다. 4월 22일 광주 한빛교회에서 개최된 정기노회에서 “유신헌법 철폐하고 민주헌정 회복하라”는 항목을 첨가한 4개 항의 결의사항을 담은 결의문을 낭독하고 130여 명의 노회원들이 만장일치로 이를 채택하였다. 이후로도 이 결의문을 기도회 등 기회가 있을 때마다 낭독하기로 하고, 실제로 5월 18일 양림교회에서 열린 임시노회에서 배성룡 목사가, 7월 8일 함평군 함평읍 교회에서 모인 기도회에서 윤기석 목사가 이 결의문을 낭독하였다. 그 후 8월 10일 양림교회에서 기장 전남노회 임시노회가 개최되었다. 이에 앞서 선교활동자유수호위원회 주최로 고난 받는 자들을 위한 기도회를 개최하여 장광섭 목사가 선교 자유와 인권 문제를 내용으로 설교하고, 강신석 목사가 결의문을 낭독하였다. 유신정권은 이날 기도회를 문제 삼아 ‘3·1민주구국선언’을 지지하며 유신헌법 철폐와 언론, 종교의 자유를 요구한 혐의로 9명을 연행하고 이 중 4명을 구속하였다. 1977년 4월 2일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임기준·조홍래 목사는 징역 4년 자격정지 4년을, 윤기석·강신석 목사는 징영 3년 자격정지 3년을 각각 선고받았다.
주요출처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 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민주화운동관련 사건· 단체 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조사연구(1970년대)보고서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유신과 반유신』 김정남,『진실, 광장에서다』
사료
- 사료 소개
- 이 사건과 관련하여 소장하고 있는 사료는 59건이다. 주요사료로는 재판의 자유로운 진행 및 가족들에 대한 탄압을 비판하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성명서>(등록번호 : 059754), <명동사건 항소심 공판내용>(등록번호 : 484036),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인권위원회의 대법원 확정판결에 대한 입장 성명서>(등록번호 : 419778), <출옥인사들의 출옥성명서>(등록번호 : 105732), <3·1민주구국선언사건 피고들의 김대중씨 석방요구 성명서>(등록번호 : 444414) 등이 있다. 일명 제2명동사건과 관련하여 <3·1절 기도회사건에 대한 결의문>(등록번호 : 527450)이 있다. 특히 3.1민주구국선언사건 가족들은 정권의 온갖 탄압에도 불구하고 재판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활동을 전개하였는데, 박용길 장로께서 당시 활동에 사용한 보라색 옷(등록번호 : 033709), 시위에 둘렀던 메달(등록번호 : 033707), 어깨숄(등록번호 : 057144), 반지 등 여러 점의 박물류 사료를 기탁하여, 역사전시회 등을 통해 전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