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민주수호국민협의회 민주수호운동

3선개헌의 저지에 실패한 뒤 한때 좌절에 빠져있던 각계각층의 민주화 인사들은 1971년 4월 27일에 있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970년 말부터 전열을 가다듬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71년을 ‘민주수호의 해’로 정하고, 공명선거를 통한 유권자의 심판으로 일인 장기집권을 저지하고 삼선개헌으로 무너진 민주주의의 기본헌정을 부활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대선을 앞두고 각계각층의 지식인 원로들과 4.19 및 6.3세대 청년, 학생들, 기독교계 민주수호를 위한 협의체를 결성하게 되었다.

1971년 4월 8일 각계인사 25명이 『민주수호선언』을 발표하고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결성을 결의했다. 1971년 4월 19일 서울 대성빌딩에서 1970년대 최초의 재야 지식인 연합체인 민주수호 국민협의회가 결성되었다. 대표위원으로는 김재준, 이병린, 천관우가, 1년 후 1972년 4월 19일에 열린 정기총회에서는 함석헌이 추가 선출되었다.

서울대 등 전국 12개 대학의 학생 대표들은 1971년 4월 14일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위원장 심재권)을 결성하였다.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은 4월 19일 고려대 학생식당에서 13개 대학 학생대표들이 모여 4·19 11주년 기념 『공동시국선언문』을 발표하고 “공명 민주선거가 되도록 적극 참여하여 모든 힘을 쏟겠다”고 천명했다. 1학기 초부터 교련강화 반대운동을 벌였던 학생들은 공명선거운동, 선거참관운동으로 집중하였다.

1970년 10월경부터 논의를 거듭해오던 4·19 및 6·3 세대 청년들은 민주수호 국민혐의회가 결성되자 별도의 조직을 갖고 결합하기로 했다. 1971년 4월 21일 서울 YMCA에서 김지하, 김정남, 정수일, 이재오의 주도 아래 민주수호청년협의회 결성대회를 개최하고, 백기완을 초대 회장으로 추대하였다. 한편 4월 20일에는 기독교 학생단체 대표들이 모여 민주수호기독청년협의회를 결성했다. 이후부터 민주수호국민협의회, 민주수호청년협의회,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 민주수호기독청년협의회 4개 단체의 공동전선으로 민주수호운동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4월 27일 대통령 선거에 민주수호국민협의회 신임장을 가진 선거참관인단 6,319명이 전국으로 파견되었다. 4.27선거 이후 노골적인 관건개입과 부정선거의 규탄이 잇달았다. 민주수호국민협의회와 민주수호청년협의회는 성명서 등을 발표했고,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은 부정선거규탄과 구속학생 석방을 요구하는 시위를 격렬히 전개하였다. 정부의 탄압도 노골화되었다. 5월 27일 서울대 4개 단과대학에 휴교령이 내려지는 등 실제적으로 활동이 어려워진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은 1971년 6월 12일 중앙위원회를 열고 연세대생 중심의 민권쟁취청년단과 통합하여 전국학생연맹(약칭 전학련)을 결성하기로 결정하는 등 조직을 단일화하고 각 대학의 조직 재정비를 시도하였다. 민주수호국민협의회는 강연회, 좌담회, 성명서 발표, 인권탄압 사례조사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민주수호청년협의회는 부정선거 규탄 등의 성명서 등과 함께 7월 이후 일본 공보관 개설 반대, 국가보안법과 반공법 공청회, 광주대단지 사태 강연회 등을 개최하는 등 반독재 민주화운동과 함께 민족문제와 민중문제에도 집중하였다.

2학기가 되자 대학가에서는 교련강화 반대, 학원자유화 요구와 함께 10월 5일 무장군인의 고려대 난입사건 이후 중앙정보부 폐지, 군의 정치적 중립 등을 요구하는 데모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위기의식을 느낀 정부는 10월 15일 위수령을 발동하였다. 정부는 대학에 군대를 무기한 주둔시키고 8개 대학에 휴업령을 내렸다. 이어 전국 23개 대학 177명이 제적과 동시에 강제입영되었다. 쑥밭이 된 대학가는 1973년 10월 2일 반유신 데모가 있기까지 각 대학별로 내적 역량을 다지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시기를 맞게 되었다. 민주수호국민협의회와 민주수호청년협의회는 수배령 등으로 활동이 위축되었고, 1972년 10월 17일의 이른바 유신 선포 후 그 활동이 중단되었다.

민주수호국민협의회는 그 당시 민주수호전국학생연맹 및 민주수호청년협의회를 향도하고 그들과 협력함으로써 정치적 희망의 구심점이 되었고, 유신 후 활동이 중단된 뒤로도 1974년 11월에 결성된 민주회복국민회의, 1979년 3월에 조직된 민주주의와민족통일을위한국민연합등 긴급조치 시대 재야단체들의 원류이자 모체가 되었다. 또한 4.19 이후 처음으로 학생운동과 재야 민주화운동의 동일선상에서 청년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한 민주수호청년협의회는 1970년대 운동의 반외세 민족주의 및 반독재 민주화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며 운동을 전개했다. 민주수호전국학생연맹은 1970년대 최초의 학생운동 연합체로서 학생운동의 방향설정과 단계 설정에 많은 교훈을 남긴 학생운동이었으며, 민주수호운동의 일환이었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 연표』 이재오 저, 『해방후 한국학생운동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홈페이지 연대별민주화운동사

사료소개

사료관은 ‘민주수호 국민협의회’ ‘민주수호 청년협의회’ ‘민주수호 전국청년학생연맹’ ‘민주수호 기독청년협의회’ ‘전국학생연맹’ 관련 성명서, 결의문, 보고서 등 26건의 사료를 소장하고 있다. ‘민주수호 국민협의회’와 관련하여 <資料集>(등록번호 : 193802), <資料集(第二輯)>(등록번호 : 99479) 은 민주수호 국민협의회의 결성과정, 회의, 성명서 등 활동 전반과 관련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한다. 민주수호 전국청년학생연맹의 활동과 관련하여 <靑年ㆍ學生ㆍ參觀ㆍ指針書>(등록번호 : 99476), <4.27선거 무효 선언>(등록번호 : 93918), <4·27선거 학생참관 임시보고서>(등록번호 : 99477) 등의 사료가 있다. 민주수호 청년협의회와 관련하여 <民主守護宣言>(등록번호 : 99479)을 볼 수 있으며 민주수호 기독청년협의회와 관련한 <가칭민주수호기독청년협의회발기문,결의문>(등록번호 : 480102) 등이 있다. 전국학생연맹의 <민주민족통일의 깃발을 높이 들자-1971년 후반기에 있어서의 학생운동의 제 과제>(등록번호 : 82761)는 3개 장, 10쪽에 달하는 긴 지침서로서 그 시기 학생운동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민주수호국민협의회 민주수호운동

3선개헌의 저지에 실패한 뒤 한때 좌절에 빠져있던 각계각층의 민주화 인사들은 1971년 4월 27일에 있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970년 말부터 전열을 가다듬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71년을 ‘민주수호의 해’로 정하고, 공명선거를 통한 유권자의 심판으로 일인 장기집권을 저지하고 삼선개헌으로 무너진 민주주의의 기본헌정을 부활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대선을 앞두고 각계각층의 지식인 원로들과 4.19 및 6.3세대 청년, 학생들, 기독교계 민주수호를 위한 협의체를 결성하게 되었다.

1971년 4월 8일 각계인사 25명이 『민주수호선언』을 발표하고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결성을 결의했다. 1971년 4월 19일 서울 대성빌딩에서 1970년대 최초의 재야 지식인 연합체인 민주수호 국민협의회가 결성되었다. 대표위원으로는 김재준, 이병린, 천관우가, 1년 후 1972년 4월 19일에 열린 정기총회에서는 함석헌이 추가 선출되었다.

서울대 등 전국 12개 대학의 학생 대표들은 1971년 4월 14일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위원장 심재권)을 결성하였다.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은 4월 19일 고려대 학생식당에서 13개 대학 학생대표들이 모여 4·19 11주년 기념 『공동시국선언문』을 발표하고 “공명 민주선거가 되도록 적극 참여하여 모든 힘을 쏟겠다”고 천명했다. 1학기 초부터 교련강화 반대운동을 벌였던 학생들은 공명선거운동, 선거참관운동으로 집중하였다.

1970년 10월경부터 논의를 거듭해오던 4·19 및 6·3 세대 청년들은 민주수호 국민혐의회가 결성되자 별도의 조직을 갖고 결합하기로 했다. 1971년 4월 21일 서울 YMCA에서 김지하, 김정남, 정수일, 이재오의 주도 아래 민주수호청년협의회 결성대회를 개최하고, 백기완을 초대 회장으로 추대하였다. 한편 4월 20일에는 기독교 학생단체 대표들이 모여 민주수호기독청년협의회를 결성했다. 이후부터 민주수호국민협의회, 민주수호청년협의회,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 민주수호기독청년협의회 4개 단체의 공동전선으로 민주수호운동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4월 27일 대통령 선거에 민주수호국민협의회 신임장을 가진 선거참관인단 6,319명이 전국으로 파견되었다. 4.27선거 이후 노골적인 관건개입과 부정선거의 규탄이 잇달았다. 민주수호국민협의회와 민주수호청년협의회는 성명서 등을 발표했고,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은 부정선거규탄과 구속학생 석방을 요구하는 시위를 격렬히 전개하였다. 정부의 탄압도 노골화되었다. 5월 27일 서울대 4개 단과대학에 휴교령이 내려지는 등 실제적으로 활동이 어려워진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은 1971년 6월 12일 중앙위원회를 열고 연세대생 중심의 민권쟁취청년단과 통합하여 전국학생연맹(약칭 전학련)을 결성하기로 결정하는 등 조직을 단일화하고 각 대학의 조직 재정비를 시도하였다. 민주수호국민협의회는 강연회, 좌담회, 성명서 발표, 인권탄압 사례조사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민주수호청년협의회는 부정선거 규탄 등의 성명서 등과 함께 7월 이후 일본 공보관 개설 반대, 국가보안법과 반공법 공청회, 광주대단지 사태 강연회 등을 개최하는 등 반독재 민주화운동과 함께 민족문제와 민중문제에도 집중하였다.

2학기가 되자 대학가에서는 교련강화 반대, 학원자유화 요구와 함께 10월 5일 무장군인의 고려대 난입사건 이후 중앙정보부 폐지, 군의 정치적 중립 등을 요구하는 데모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위기의식을 느낀 정부는 10월 15일 위수령을 발동하였다. 정부는 대학에 군대를 무기한 주둔시키고 8개 대학에 휴업령을 내렸다. 이어 전국 23개 대학 177명이 제적과 동시에 강제입영되었다. 쑥밭이 된 대학가는 1973년 10월 2일 반유신 데모가 있기까지 각 대학별로 내적 역량을 다지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시기를 맞게 되었다. 민주수호국민협의회와 민주수호청년협의회는 수배령 등으로 활동이 위축되었고, 1972년 10월 17일의 이른바 유신 선포 후 그 활동이 중단되었다.

민주수호국민협의회는 그 당시 민주수호전국학생연맹 및 민주수호청년협의회를 향도하고 그들과 협력함으로써 정치적 희망의 구심점이 되었고, 유신 후 활동이 중단된 뒤로도 1974년 11월에 결성된 민주회복국민회의, 1979년 3월에 조직된 민주주의와민족통일을위한국민연합등 긴급조치 시대 재야단체들의 원류이자 모체가 되었다. 또한 4.19 이후 처음으로 학생운동과 재야 민주화운동의 동일선상에서 청년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한 민주수호청년협의회는 1970년대 운동의 반외세 민족주의 및 반독재 민주화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며 운동을 전개했다. 민주수호전국학생연맹은 1970년대 최초의 학생운동 연합체로서 학생운동의 방향설정과 단계 설정에 많은 교훈을 남긴 학생운동이었으며, 민주수호운동의 일환이었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 연표』 이재오 저, 『해방후 한국학생운동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홈페이지 연대별민주화운동사

사료소개

사료관은 ‘민주수호 국민협의회’ ‘민주수호 청년협의회’ ‘민주수호 전국청년학생연맹’ ‘민주수호 기독청년협의회’ ‘전국학생연맹’ 관련 성명서, 결의문, 보고서 등 26건의 사료를 소장하고 있다. ‘민주수호 국민협의회’와 관련하여 <資料集>(등록번호 : 193802), <資料集(第二輯)>(등록번호 : 99479) 은 민주수호 국민협의회의 결성과정, 회의, 성명서 등 활동 전반과 관련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한다. 민주수호 전국청년학생연맹의 활동과 관련하여 <靑年ㆍ學生ㆍ參觀ㆍ指針書>(등록번호 : 99476), <4.27선거 무효 선언>(등록번호 : 93918), <4·27선거 학생참관 임시보고서>(등록번호 : 99477) 등의 사료가 있다. 민주수호 청년협의회와 관련하여 <民主守護宣言>(등록번호 : 99479)을 볼 수 있으며 민주수호 기독청년협의회와 관련한 <가칭민주수호기독청년협의회발기문,결의문>(등록번호 : 480102) 등이 있다. 전국학생연맹의 <민주민족통일의 깃발을 높이 들자-1971년 후반기에 있어서의 학생운동의 제 과제>(등록번호 : 82761)는 3개 장, 10쪽에 달하는 긴 지침서로서 그 시기 학생운동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to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