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는 1985년 12월 12일 창립되었다. 군사독재 정권 하에서 수많은 청년·학생, 노동자, 민주인사들이 구금되었는데, 안기부 등 수사기관, 교도소에서 고문 등 심각한 인권유린에 맞서 양심수들과 연대하고 궁극적으로 그들을 석방시켜 내기 위해 그 가족들이 중심이 되어 단체를 결성했다. 민가협은 유신독재 시기였던 1974년에 일어난 민청학련 사건을 계기로 만들어진 구속자가족협의회(구가협)를 모태로 하고, 1976년의 양심범가족협의회로 이어진 가족운동의 전통을 이어받았다. 이에 더해 남민전 사건, 재일교포간첩단 사건 등 유신독재시절부터 정치적 박해를 받았던 가족들과 1985년 미문화원 사건, 민정당 연수원 점거농성 사건 등 민주화를 요구하다 구속된 수많은 학생들의 가족들로 외연을 확대하여 민가협이 탄생했다. 인재근이 초대 총무를 하며 조직을 이끌었다.

주로 양심수의 어머니나 부인들로 구성된 민가협은 구속자의 가족이라는 울타리를 넘어 보편적인 인권지킴이로 민주주의와 인권실현을 위해 활동했다. 민주화를 위한 집회, 농성, 시위 현장의 맨 앞에서 싸웠으며, 시위도중 전투경찰에 끌려가는 학생들을 맨몸으로 구출하고, 교도소에서 재소자에 대한 인권침해 사건이 발생하면 교도소 앞 노상에서 밤을 지새웠으며, 안기부, 경찰 등 수사기관에서 고문 등 가혹행위 사건이 일어났을 때도 맨 먼저 달려가 이의 중단과 책임자의 사과와 재발방지를 촉구하는 농성을 하였다. 또한 시국사건 재판이 열리면 재판을 방청하며 국가공권력에 의한 인권침해를 규탄하고 근절하기 위한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이를 통해 안기부, 대공분실, 교도소 등의 인권침해 행위를 상당부분 근절하는 성과를 낳기도 했다. 민가협은 양심수 석방을 위한 활동을 꾸준히 전개하면서 양심수 실태를 조사하고 양심수를 사회에 이슈화 시켜냈다. 특히 민가협은 내부에 장기수석방투쟁위원회를 만들고 우리 사회에서 잊혀져 3, 40년간 구금된 초장기수의 존재를 알리고 사회에 복원시켜 내면서 이들을 전원 석방하는 성과를 이뤄내기도 했다. 1995년에는 세계최장기수 김선명 석방 캠페인 등을 비롯해 국제사면위원회 등 국제인권단체와의 연대활동을 벌여 김선명 등 세계최장기수들이 석방되었다. 해마다 8월이면 명동성당에서 하루감옥체험 행사를 전개해왔다.

0.75평 실제 크기의 모형감옥 안에서의 하루감옥체험에는 수많은 예술인, 영화배우, 교수, 종교인, 방송인, 시인, 만화가 등 사회인사들의 참여를 이끌어냈으며 그들의 노력이 중심이 되어 1999년 12월 31일을 마지막으로 모든 비전향장기수들이 풀려났다. 또한 ‘이인모 노인 고향가기 운동’을 벌여 1993년 3월 18일 북녘 고향 가족 품으로 돌아가게 하였고, 여러 인권단체들과 함께 1999년 12월 ‘비전향장기수 송환추진위원회’를 결성, 활동을 벌인 결과 2000년 9월 3일 마침내 63명의 비전향장기수가 북녘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1989년 2월 21일 민가협은 고문경관 이근안을 국민들이 직접 검거하자고 국민수사를 선언하며 현상수배를 하였다. 검거 의지가 없는 권력을 향한 포고였으며 고문근절을 위한 의지의 표현이었다. 그 후 10년 동안 끊임없이 ‘고문경찰 이근안’의 처벌을 위해 노력해온 결과, 1999년 10월 마침내 이근안이 자수하여 구속되었다. 이근안 처벌운동은 반인도적 범죄행위인 고문 근절 및 재발방지를 막기 위한 운동이었으며, 이로 인해 고문 문제가 사회이슈화 되었다. 민가협은 또 5,6공 군사독재정권 하에서 조작된 간첩사건의 실태를 밝히고 이들의 명예회복과 진상규명을 위하여 조작간첩 사건 사례보고서를 작성하고, 전국 순회 사례발표회, 재심청구 운동 등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하여 2005년 7월, 이근안에 의한 고문으로 간첩으로 조작된 함주명씨가 재심 재판에서 무죄판결을 받았다. 국가보안법, 사회안전법, 보안관찰법 등 민주주의와 인권에 역행하는 법들의 철폐를 위해 노력한 결과 사회안전법(1989년), 전향제도(1998년), 준법서약서(2003년)가 폐지되기도 했다. 민가협은 ‘양심수를 위한 시와 노래의 밤’ 공연, 하루감옥체험, 시민가요제, 인권콘서트, 인권만화전, 인권영화 제작 등 인권이슈를 사회공론화하기 위하여 새로운 문화예술적 양식을 개발하고, 우리사회 여론 주도층의 다양한 참여를 유도 하는 등 대중적 인식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1993년 9월부터는 매주 목요일 ‘양심수 석방과 국가보안법 철폐를 위한 목요집회’를 열어 ‘인권신문고’가 되고자 했다. 목요집회는 국가권력에 의한 인권침해 뿐 아니라 우리 사회 다양한 약자, 소수자들의 인권현안을 생생하게 증언하고 해결을 촉구하였으며, 국제연대집회, 거리음악제, 퍼포먼스, 다양한 상징과 이미지를 활용한 선전 등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활동을 벌이며 인권문제를 사회 의제화 하고 있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서중석 저,『한국현대사 60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 김설이·이경은,『잿빛 시대 보랏빛 고운 꿈』 민가협 홈페이지 http://minkahyup.org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to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