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10ㆍ2시위~전국 각 대학 동맹휴학 사건

1972년 10월 17일 전국에 비상계엄이 내려진 가운데 10월유신이 선포되었다. 박정희의 종신집권이 시작된 것이다. 소위 ‘한국적 민주주의’를 표방한 유신체제 아래 1973년 2월에는 많은 언론기관이 폐쇄조치를 당했고 8월 8일에는 김대중이 동경에서 납치당하는 등 민주화와 인권을 위협하는 큰 사건들이 연이어 벌어졌다. 유신독재의 공포 아래 모두가 숨죽인 1973년 10월 2일 서울대 문리대에서 유신 선포 이후 최초의 학생 시위가 발생했다.

학생들은 선언문에서 “패배주의, 투항주의, 무사안일주의와 모든 굴종의 자기기만을 단호히 걷어치우고” 유신체제와의 투쟁을 선포하였다. 이 날의 시위로 20명이 구속되었으나 학생들의 시위는 그때부터 시작이었다. 10월 4일 서울법대, 5일 서울상대 시위 이후 10월 6일과 10일에 이화여대와 숙명여대가 각각 축제 행사 취소를 결의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하지만 당국의 대량 구속과 제적 등의 강경조치와 보도통제로 말미암아 학생시위는 잠시 소강상태에 빠진 듯 했다. 그러나 거의 한 달이 경과한 후인 11월 5일 경북대생 200여 명이 시가행진을 하며 시위를 벌였고, 이를 기화로 사태는 순식간에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학생들은 시위뿐만 아니라 동맹휴학, 시험거부, 검은 리본 달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유신반대운동을 조직했다. 11월 말에서 12월 초에 걸쳐서는 시위의 방식도 가두 진출로 격화되었고, 전국 각지에서 투석전과 최루탄의 공방이 계속되는 가운데, 고등학교에까지 시위가 확산되었다.

12월 1일 경기고와 대광고가 시위 움직임이 있다는 이유로 조기 방학에 들어갔으며, 5일에는 광주일고에서 시위가 일어났고, 8일에는 신일고생 120여 명이 4·19묘지에서 시위를 벌였다. 더욱 거세어지는 대학생들의 시위에 초강경 정책으로 일관하던 박정권은 12월 7일 구속학생을 전원 석방하고 처벌을 백지화하였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을 요구하는 학생들의 시위는 그치지 않았다. 불법적이고 폭력적인 유신체제에 반대하는 첫 포문을 연 것은 학생운동이었다. 박정권의 강한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유신체제에 항거한 대학생들의 투쟁은 언론, 지식인, 종교계에 큰 자극을 주었다. 시위 과정에서 학생들이 제기한 이슈는 크게 정치적으로는 파쇼 통치의 근거인 유신 체제 철폐와 자유민주 체제 확립, 경제적으로는 대일예속화 중지와 민족자립 경제 확립의 두 가지로 집약될 수 있었다. 이에 덧붙여 1973년 학생 데모의 직접적 계기가 10월 2일 시위에 따른 학생들의 대량 구속과 제적이었음을 반영하여, 구속 학생 석방과 학원의 자유도 표면적으로는 주요한 쟁점으로 제기되었다. 정보·파쇼 통치의 즉각 중지, 중앙정보부 해체, 국민의 기본권 보장, 자유민주주의 실현, 학원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 보장, 민주질서 회복 등 전자에 속하는 정치적인 이슈들은 4·19 이후 계속된 학생운동의 민주주의적 전통에 기반을 둔 것이기는 하나, 유신체제라는 극도의 비민주적 억압체제를 직접 경험한 위에 제기된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구체성과 절박성을 가졌다. 보다 주목되는 것은 민중의 생존권을 중심으로 한 사회경제적 쟁점들이 이 시기 학생운동의 주요한 내용을 이루며 전면에 부각되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 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 서중석 저,『한국현대사 60년』

10ㆍ2시위~전국 각 대학 동맹휴학 사건

to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