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결성

1987년 대통령 선거와 1988년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심한 분열 양상을 보였던 민족민주운동 진영은 노동자·농민 등 기층 대중운동의 성장을 토대로 1987년 10월경부터 민족민주 세력의 구심을 형성하기 위한 전국적 차원의 운동연합체 건설 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이 결과 1988년 9월 2일 전국민족민주운동협의회추진위원회를 발족하였고, 12월 22일 제14차 회의에서 전민협 결성대회 준비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이후 몇 차례의 준비위원회를 통해 참가 단체를 확대하고 집행부 구성을 확정시킴으로써 1989년 1월 21일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결성을 위한 창립대회를 1,100여 명의 대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연세대에서 개최하였다. 노동자·농민 등 8개 부문 단체와 전국 12개 지역 단체의 연합으로 결성된 전민련(공동의장 이부영·이창복)은 기층 민중운동의 참여가 대폭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이전의 전선운동과 차별성을 가졌다. 하지만 노선과 입장의 대립과 불일치가 남아 있다는 점, 전민련에 가입된 각 부문 및 지역 단체의 역량이 전반적으로 부실하다는 점, 통일전선운동으로서의 전민련 활동을 이끌어 나갈 주도 세력이 부재하다는 점 등의 한계를 안고 출발하였다.

전민련은 1989년 1월 21일 결성식에서 대북 관계, 5공 청산 등 대내외 정치문제에 대해 제도정치권과는 다른 방향으로 영향력을 적극 행사할 것임을 천명했다. 이들은 결성선언문에서 진정한 민중해방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반외세 자주화운동, 반독재 민주화운동, 조국통일운동을 촉진시키기로 했다. 1988년 전민련 활동은 다음과 같은 과제를 목표로 하여 전개되었다. ① 5공 청산과 광주학살 책임자 처단투쟁을 통해 노 정권의 동요의 폭을 극대화한다 ② 대중투쟁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정치투쟁으로 진전을 위한 반민주악법 개폐투쟁을 전개한다 ③ 미·노 일당의 기만적 북방정책의 본질을 폭로하고 두 개의 한국 정책을 저지한다.

전민련은 출범 이후 5공 청산과 광주학살 원흉 처단투쟁, 국가보안법 철폐, 토지공개념 도입, 민주자유당 해체 등의 반파쇼민주화운동과 팀스피리트 훈련 중지, 주한미군 철수 등의 반미자주화운동 그리고 8 ·15범민족대회 등의 조국통일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8·18 영등포 을구 재선거에도 참가하였다. 또한 1990년 4월 21일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전노협)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등 13개 재야단체와 함께 국민연합을 결성하는 등 운동세력의 통일단결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영등포 을구 선거를 둘러싸고 이견이 발생하였고, 그것은 ‘합법정당 논쟁’을 거쳐 전민련의 분열로 이어졌다. 1989년 5월 전민련 상임집행위에서의 ‘정치세력화 소위원회’구성을 계기로 다시 표출된 합법정당 결성 추진 움직임은 영등포 을구 선거 이후 보다 본격적으로 제기되었으며, 합법정당 건설에 참여하고자 하는 조직 내 성원들은 그 직을 사임하고 추진한다는 전민련 2차 중앙위의 결의에 따라 9월 28일 전민련 간부 중 이부영 등 합당 추진 인사들이 사직하고, ‘진보적 대중정당 건설을 위한 준비모임’(11월 10일)을 결성하였다. 이후 강기훈 유서대필사건 등 정권의 탄압으로 조직역량이 약화되었으며, 1991년 12월 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전국연합)이 결성되면서 해체되었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서중석 저,『한국현대사 60년』 한국사회과학연구소 편, 『자료모음 IV 전민련』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결성

to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