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대별 분류
- 1960년대
-
1970년대
- 전태일분신
- 청계피복노동조합결성투쟁
- 민주수호국민협의회민주수호운동
- 광주대단지사건
- 국제앰네스티한국지부결성
- 김대중납치사건
- 최종길교수의문사사건
- 수도권특수지역선교위원회긴급조치위반사건
- 민청학련(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사건
- 제2차인혁당(인민혁명당)사건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발족
- 오글목사,시노트신부강제추방사건
- 조선일보ㆍ동아일보기자해직사태
- 서울대생김상진할복자살
- 장준하의문사사건
- 3ㆍ1민주구국선언사건(명동사건)
- 구속자가족협의회(구가협)
- 「민주구국헌장」사건
- 동일방직사건
- 함평고구마사건
- YH사건
- 민주청년인권협의회
- 「우리의교육지표」사건
- 크리스챤아카데미사건
- 안동교구가톨릭농민회사건(오원춘사건)
- YWCA위장결혼식사건
- 서울대생내란예비음모사건
- 자유실천문인협의회문학인101선언
- 인선사(삼고사)유령노조사건
- 병역문제대책위원회사건
- 청계피복노조노동교실탄압사건
- 카터방한반대시위
- 1970년대필화사건
- 1970년대언론탄압
-
1980년대
- 사북항쟁(사북광산노동자대투쟁)
- 김대중내란음모사건
- 원풍모방노조사수투쟁
- 전국민주학생연맹·전국민주노동자연맹사건(학림사건)
- 콘트롤데이타노동쟁의
-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
- 오송회사건
-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결성
-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결성
- 민중민주운동협의회
- 목동철거민투쟁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결성
- 대우자동차노조민주화및임금인상투쟁
- 구로동맹파업
- 민정당중앙정치연수원점거농성사건
-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 KBSTV시청료거부운동
- 개헌서명운동
- 박영진분신사건
- 김세진ㆍ이재호분신사건
- 5ㆍ3인천항쟁
- 서울노동운동연합사건
- 부천서성고문사건
- 전국반외세반독재애국학생투쟁연합(애학투련)결성식및건국대점거농성사건
- 7ㆍ8월노동자대투쟁
-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결성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결성
- 대우조선노조결성과이석규장례투쟁
- 민족문학작가회의창립
- 부정선거항의구로구청점거농성사건
-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창립
-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결성
- 강원탄광노동자성완희분신사건
-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결성
- 나라사랑청년회
- 전국노점상연합회결성
- 전국농민단체협의회결성
- 여의도농민시위
-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결성
- 이철규의문사사건
- 전국빈민연합결성
- 해고노동자블랙리스트철폐투쟁
- 대우어패럴노조탄압사건
- 민주화추진위원회(깃발사건)
- 민중교육지사건
- 삼민투사건
- 교육민주화선언
- 제헌의회그룹사건
- 말지(보도지침)사건
- 서울남부지역노동자동맹(남노련)사건
- 서총련(서울지역총학생회연합)결성
- 서울지역노동조합협의회결성
- 공해추방운동연합(공추련)결성
- 서울지하철노조파업
- 경동산업노조탄압과노동자집단분신
- 인천지역노동조합협의회(인노협)총파업투쟁
- 1980년대통일운동
- 1990년대
김세진ㆍ이재호 분신 사건
1980년 광주민중항쟁의 비극은 한국에서 미국에 대한 환상을 깨뜨리고 반미의식을 일깨우는 시발점이 된다. 광주민중항쟁 당시 군부세력은 광주 시민들의 민주화운동을 군대를 동원하여 총칼로 짓밟았다. 이를 계기로 사회운동진영은 광주학살이 군사작전지휘권을 가지고 있는 미국의 용인 하에 진행된 것이며, 미국은 군부독재의 수호자이자 배후조종자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그리하여 1980년 12월 9일의 광주 미문화원방화사건에 이어 1982년 부산 미문화원방화사건과 강원대 성조기 소각사건, 1985년 미문화원 점거농성사건 등 반미투쟁은 지속적으로 확산, 심화 되었다.
1986년 3월 결성된 서울대 학생운동 비합법 조직 ‘구국학생연맹’(구학련)은 민족해방민중민주주의혁명론(NLPDR)에 기초하여 투쟁의 영역을 반미자주화투쟁, 반파쇼 민주화투쟁, 조국통일 촉진투쟁으로 설정하였다. 이들은 4월 10일에 공개투쟁기구인 ‘반미자주화반파쇼민주화투쟁위원회’(자민투)를 결성하고 그 산하에 ‘반전반핵평화옹호주쟁위원회’를 결성하여 대학 2학년생들의 전방입소 의무군사교육을 ‘양키 용병 교육’이라고 규정하며 전면적 거부 투쟁을 전개하였다. 1986년 4월 28일 아침, 교문이 폐쇄되자 전방입소 대상자인 서울대 2학년 학생 400여 명은 신림 4거리 가야쇼핑센터 앞에서 연좌농성을 전개했다. 그들은 전날 의대 연건캠퍼스 농성이 좌절되고 26일 아침 교문이 폐쇄된 것에 항의하며 전방입소반대투쟁을 전개했다.
연좌농성이 시작된 지 2~3분 후인 오전 9시 30분경, 부근 서원예식장 옆 서광빌딩 옥상에서 이 연좌 농성을 주도한 김세진(자연대 학생회장)과 이재호(반전반핵평화옹호투쟁위원장)는 유인물을 뿌리고 “반전 반핵 양키 고홈”과 “미제의 용병교육 전방입소 결사 반대”의 구호를 외쳤다. 이들은 몸에 시너를 붓고, 경찰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경고하였다. 이를 무시하고 경찰이 강제 진압하러 접근하자 자신들의 몸에 불을 갖다 대었다. 9시 40분경 두 사람은 신림 4거리 양지병원에서 한강성심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았다. 이재호는 전신 80% 이상의 3도 화상을 입었으며, 김세진은 전신 60% 이상의 3도 화상을 입었다. 4월 29일 서울대 정치학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들은 경찰 병력이 한강성심병원 주변을 포위한 가운데 병원 및 일대 영등포시장 부근에서 시위 및 연좌농성을 벌였다. 김세진과 이재호는 각각 5월 3일 오후 5시 30분과 5월 26일 오후 3시 50분경에 사망하였다. 이재호, 김세진의 분신 사건은 전방입소 거부운동과 반미운동을 전국 대학으로 확산시키는 도화선이 되었다. 결국 1989년 1학기부터 대학생 군사교육은 완전히 폐지되었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서중석 저,『한국현대사 60년』 강신철 외, 『80년대 학생운동사-사상이론과 조직노선을 중심으로』
사료
- 사료 소개
- ‘김세진 이재호’ 조건으로 총 78건이 검색되었다. 대개는 사건 1년 이후의 자료들이다. 서울대학교 제16대 총학생회 명의의 <김세진·이재호 열사 영면 1주기를 맞이하며>(등록번호 : 096543)와 같은 성명서를 비롯하여 김세진·이재호 열사추모사업회 준비위원회의 결성취지문(등록번호 : 532707), 김세진·이재호 열사추모사업회 준비위원회의 기관지 ‘새날’ 창간준비호 (등록번호 : 534175), 추모사업회의 창립선언문(등록번호 : 145921), ‘새날’ 창간호(등록번호 : 083996), 김세진·이재호 열사추모사업회 명의의 각종 선언문(등록번호 : 456247, 179209 등)과 관련 사진사료(등록번호 : 707772, 748709, 707771 등) 등이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