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 결성

민주노조의 마지막 보루였던 원풍모방 노조가 무너지자 노동운동계는 일시에 존재자체가 사라지는 것 같았다. 모든 것은 ‘노동운동의 씨를 말리겠다’는 전두환 정권의 공언대로 돼 가는 듯이 보였다. 전두환 정권은 해고자들이 현장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전국의 사업장에 재취업 금지 블랙리스트를 돌렸다. 그러나 1983년 12월에 발견된 1천여 명의 블랙리스트는 삶의 벼랑 끝에 선 해고노동자들의 가슴에 불을 질렀다. 그리하여 1983년 말 태창, 태평특수의 해고노동자를 중심으로 블랙리스트철폐운동이 시작되었다. 인천과 이리(현재 익산) 지역의 해고자들이 블랙리스트철폐투쟁에 앞장섰다. 그러나 그 치열성과 완강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투쟁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막을 내렸다. 폭압적인 정치권력과의 싸움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건 투쟁의 지속성을 담보할 조직임을 절감케 한 사건이었다. 블랙리스트철폐운동의 한계가 노정되면서 1984년 초 새로운 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구체화 되었다. 1970년대 민주노조 핵심 간부들과 김문수 같은 학생 출신 현장 취업자들로 구성된 해고자들의 논의는 고립분산적인 1970년대 민주노조운동에 대한 평가와 반성에서 출발하여, 민주노조 건설과 노동운동의 통일적 발판을 구축하기 위한 ‘노동단체 결성’ 문제로 귀착했고, 그것은 곧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 결성으로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원풍모방, 동일방직, 청계피복, 콘트롤데이타, YH, 반도상사, 서통, 고려피혁, 동남전기 등 이전에 민주노조운동을 주도했던 세력들이 하나로 결집하여, 민주노조 건설과 노동운동의 통일적 발판을 구축하기 위해 1984년 1월 6일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를 결성하였다. 이들은 노동운동의 주체성, 통일성, 연대성을 기치로 800만 노동자의 대변자를 자임했다. 이들은 1982년 원풍모방 노조가 강제해산 될 당시 남아 있던 4천여 만 원의 조합비를 종자돈으로 ‘신길동 101호’라는 별칭으로 더 많이 알려진 한노협 사무실을 마련하고 활동에 들어갔다. 하지만 당시의 탄압 상황을 고려해 곧바로 결성을 공표하지 않고 3월 10일 ‘근로자의 날’을 맞아 2,000여 노동자, 학생, 시민이 참여한 가운데 홍제동 성당에서 창립선언대회를 가졌다.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는 방용석(원풍).김문수(한일도루코).이총각(동일방직).최순영(YH).이영순(콘트롤데이타)을 중심으로 진용을 짰다. 1984년 4월부터 기관지 『민주노동』 발간을 통해 선전 및 교육활동을 전개하고, 1984년 하반기에는 노동법개정운동을 왕성하게 전개했다. 일반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임금체불·퇴직금·산업재해·부당노동행위 상담, 신규노동조합과 노동자간부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사업은 전국의 노조에서 뜨거운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거제·제주·진주·이리·안산 등 연간 1백여 차례의 교육이 실시되었다. 전국 노동조합에 대한 실무·교육·상담·자료 등의 지원이 진행되면서 조직은 더욱 강화되어 1985년 인천노협, 1987년 동부노련, 1987년 남부노련 등 창립 4년 만에 지역지부를 3개나 건설했다. 특히 인천노협은 만도·대흥·한독·남일·콜트악기 등 67개 신규조직 결성을 지원했고, 이 성과는 그대로 인천노협의 근간이 되었다. 그러나 정치주의적 경향이 표면화되면서 조직이 분열되었다. 1970년대 노동운동을 조합주의, 경제주의로 규정한 ‘노방(노동운동의 방향정립을 위하여)’이란 문건이 큰 반향을 일으키면서 정치주의적 경향을 강하게 띠고 있었던 세력들은 서울노동운동연합(서노련), 인천지역노동자연맹 결성에 참여하며 대거 한노협을 이탈해 나갔다. 1989년 1월에 비약적으로 성장한 노동운동이 전노협 건설을 추진하자 한노협은 ‘진보적인 노동운동의 한 부분으로서 겸허하게 복무할 것을 결의’한 후 한국민주노동자연합(한노련)으로 이름을 바꿨다. 외곽 공개조직으로서 전국 사업장의 조직 관리와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활동을 하다 1997년 3월 발전적 해소를 했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서중석 저,『한국현대사 60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홈페이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발간『희망세상』‘다시보는 역사의 현장’ 시리즈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 편

사료소개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 조건으로 총 243 건이 검색되었다. 『민주노동』, 『노동자의 소리』, 『투쟁의 소리』, 『현장의 소리』, 『함성』 등 한노협의 기관지가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출간되었으며, 약간의 결호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망라되어 소장하고 있는 편이다. 『민주노동』은 1호부터 20호까지가 별도 영인본으로 소장되어 있다. 『민주노동』창간호(등록번호: 083246)와 이를 잇는『노동자의 소리』창간호(등록번호: 211119)는 결성 당시의 내외적 상황과 제호를 바꿀 1987년 5월 당시의 격변하는 정세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그 외 항의문, 결의문, 성명서 등을 볼 수 있다. 노동법개정청원서(등록번호 : 484932)도 당시 한노협을 비롯한 노동운동 진영의 노동자들의 이해와 요구를 요약하여 반영한 대정부 요구사항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사료이다. 당시 노동운동의 분화를 초래했던 문건 <한국노동운동의 방향정립을 위하여>(등록번호 : 207683)도 소장하고 있다.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 결성

민주노조의 마지막 보루였던 원풍모방 노조가 무너지자 노동운동계는 일시에 존재자체가 사라지는 것 같았다. 모든 것은 ‘노동운동의 씨를 말리겠다’는 전두환 정권의 공언대로 돼 가는 듯이 보였다. 전두환 정권은 해고자들이 현장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전국의 사업장에 재취업 금지 블랙리스트를 돌렸다. 그러나 1983년 12월에 발견된 1천여 명의 블랙리스트는 삶의 벼랑 끝에 선 해고노동자들의 가슴에 불을 질렀다. 그리하여 1983년 말 태창, 태평특수의 해고노동자를 중심으로 블랙리스트철폐운동이 시작되었다. 인천과 이리(현재 익산) 지역의 해고자들이 블랙리스트철폐투쟁에 앞장섰다. 그러나 그 치열성과 완강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투쟁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막을 내렸다. 폭압적인 정치권력과의 싸움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건 투쟁의 지속성을 담보할 조직임을 절감케 한 사건이었다. 블랙리스트철폐운동의 한계가 노정되면서 1984년 초 새로운 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구체화 되었다. 1970년대 민주노조 핵심 간부들과 김문수 같은 학생 출신 현장 취업자들로 구성된 해고자들의 논의는 고립분산적인 1970년대 민주노조운동에 대한 평가와 반성에서 출발하여, 민주노조 건설과 노동운동의 통일적 발판을 구축하기 위한 ‘노동단체 결성’ 문제로 귀착했고, 그것은 곧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 결성으로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원풍모방, 동일방직, 청계피복, 콘트롤데이타, YH, 반도상사, 서통, 고려피혁, 동남전기 등 이전에 민주노조운동을 주도했던 세력들이 하나로 결집하여, 민주노조 건설과 노동운동의 통일적 발판을 구축하기 위해 1984년 1월 6일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를 결성하였다. 이들은 노동운동의 주체성, 통일성, 연대성을 기치로 800만 노동자의 대변자를 자임했다. 이들은 1982년 원풍모방 노조가 강제해산 될 당시 남아 있던 4천여 만 원의 조합비를 종자돈으로 ‘신길동 101호’라는 별칭으로 더 많이 알려진 한노협 사무실을 마련하고 활동에 들어갔다. 하지만 당시의 탄압 상황을 고려해 곧바로 결성을 공표하지 않고 3월 10일 ‘근로자의 날’을 맞아 2,000여 노동자, 학생, 시민이 참여한 가운데 홍제동 성당에서 창립선언대회를 가졌다.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는 방용석(원풍).김문수(한일도루코).이총각(동일방직).최순영(YH).이영순(콘트롤데이타)을 중심으로 진용을 짰다. 1984년 4월부터 기관지 『민주노동』 발간을 통해 선전 및 교육활동을 전개하고, 1984년 하반기에는 노동법개정운동을 왕성하게 전개했다. 일반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임금체불·퇴직금·산업재해·부당노동행위 상담, 신규노동조합과 노동자간부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사업은 전국의 노조에서 뜨거운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거제·제주·진주·이리·안산 등 연간 1백여 차례의 교육이 실시되었다. 전국 노동조합에 대한 실무·교육·상담·자료 등의 지원이 진행되면서 조직은 더욱 강화되어 1985년 인천노협, 1987년 동부노련, 1987년 남부노련 등 창립 4년 만에 지역지부를 3개나 건설했다. 특히 인천노협은 만도·대흥·한독·남일·콜트악기 등 67개 신규조직 결성을 지원했고, 이 성과는 그대로 인천노협의 근간이 되었다. 그러나 정치주의적 경향이 표면화되면서 조직이 분열되었다. 1970년대 노동운동을 조합주의, 경제주의로 규정한 ‘노방(노동운동의 방향정립을 위하여)’이란 문건이 큰 반향을 일으키면서 정치주의적 경향을 강하게 띠고 있었던 세력들은 서울노동운동연합(서노련), 인천지역노동자연맹 결성에 참여하며 대거 한노협을 이탈해 나갔다. 1989년 1월에 비약적으로 성장한 노동운동이 전노협 건설을 추진하자 한노협은 ‘진보적인 노동운동의 한 부분으로서 겸허하게 복무할 것을 결의’한 후 한국민주노동자연합(한노련)으로 이름을 바꿨다. 외곽 공개조직으로서 전국 사업장의 조직 관리와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활동을 하다 1997년 3월 발전적 해소를 했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서중석 저,『한국현대사 60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홈페이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발간『희망세상』‘다시보는 역사의 현장’ 시리즈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 편

사료소개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 조건으로 총 243 건이 검색되었다. 『민주노동』, 『노동자의 소리』, 『투쟁의 소리』, 『현장의 소리』, 『함성』 등 한노협의 기관지가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출간되었으며, 약간의 결호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망라되어 소장하고 있는 편이다. 『민주노동』은 1호부터 20호까지가 별도 영인본으로 소장되어 있다. 『민주노동』창간호(등록번호: 083246)와 이를 잇는『노동자의 소리』창간호(등록번호: 211119)는 결성 당시의 내외적 상황과 제호를 바꿀 1987년 5월 당시의 격변하는 정세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그 외 항의문, 결의문, 성명서 등을 볼 수 있다. 노동법개정청원서(등록번호 : 484932)도 당시 한노협을 비롯한 노동운동 진영의 노동자들의 이해와 요구를 요약하여 반영한 대정부 요구사항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사료이다. 당시 노동운동의 분화를 초래했던 문건 <한국노동운동의 방향정립을 위하여>(등록번호 : 207683)도 소장하고 있다.

to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