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발족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탄생은 지학순 주교의 강제연행 및 구속사건과 연관이 깊다. 1974년 7월 6일 지학순 주교가 유럽 순방 후 귀국하다가 공항에서 납치되다시피 연행되어 중앙정보부 조사를 받은 후 명동 성모병원에 감금되었다. 지학순 주교의 혐의 내용은 민청학련에 자금 제공과 내란선동, 정부 전복 등이었다. 7월 23일 지학순 주교는 병실에서 빠져나와 병원 마당에서 열리고 있는 원주교구 사제, 수도자, 평신도 500여 명의 지학순 주교를 위한 기도회 자리에서 양심선언을 발표하였다. 양심선언 발표 사실에 당황한 중앙정보부는 신부와 수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지학순 주교를 연행하여 구속하였다.

지학순 주교 사건이 일어나기 전까지 교회는 박정희 정권의 폭압에 침묵하고 있었던 것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지학순 주교의 구속사건을 겪고 기도회를 거듭하면서 사제들은 사회 현실에 눈을 뜨게 되었다. 지학순 주교뿐만 아니라 학생, 지식인, 종교인이 투옥되고 있는 현실과 박 정권의 폭압에 교회가 적극적으로 발언해야 한다는 데 전국 사제들의 의견이 일치되었다. 8월 10일 지학순 주교에게 15년 구형이 떨어진 가운데 서울대교구 제3년령 사제 각반 대표회의가 열려 이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 작은 모임이 사제단을 탄생시키는 모체가 되었다.

8월 12일 지학순 주교가 15년 선고를 받은 이후, 기도회는 전국으로 번져갔다. 항상 성당 안과 마당을 가득 채운 기도회 자리는 긴급조치라는 살인적 탄압과 통제 속에서 유신헌법과 긴급조치의 불법성을 알리고 민청학련의 진상과 근황, 가족의 호소 등을 알리는 유일한 언로였다. 또한 그 곳은 전국에 흩어져 있었던 사제들이 만나고 의견을 교환하며 결집하는 장소가 되었다.

9월 23일 원주에서 개최된 성직자 세미나에 모인 사제 300여 명은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이라는 명칭에 합의하고 집중적으로 인권회복과 민주화를 위한 기도회를 계속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세미나가 끝난 24일 사제단 결성에 합의한 세미나 참석 신부들은 원주 원동성당에서 사제, 수도자, 평신도 1,5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첫 기도회를 가졌다. 이틀 뒤인 9월 26일,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은 명동성당에서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집전으로 순교찬미기도회를 열고 <제1 시국선언>을 발표하면서 공식적으로 발족했다. 미사가 끝난 후 사제단은 십자가를 앞세우고 수도자 200여 명, 평신도 1,000여 명과 함께 가두시위를 전개하였다. 이 날의 시위는 사제들에 의한 최초의 가두시위였다. 또한 수녀들이 시위에 참가한 것도, 촛불 가두시위가 이루어진 것도 이 나라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의 출발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은 출범 당시 <제1 시국선언>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권이 침해당할 때면 언제 어디서나 그의 편에 서서 그의 권리를 회복시켜주기 위하여 저항하고 투쟁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선언하였다.

이후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의 활동은 민주화와 인권회복을 위한 현장에서 중요 고비마다 계속되었다. 특히 아무도 쉽게 나설 수 없었던 김지하 구명운동, 인혁당사건 진상조사와 구명운동, 서울대 법대 최종길 교수의 고문치사 사건 폭로, 김재규 사건, 5·18광주민중항쟁,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 박종철 고문살인 사건, 임수경 방북사건 등에서 정의구현사제단은 거침없는 발언과 행동으로 민주화운동에 큰 기여를 하였다.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의 활동으로 교회는 인권운동의 중심이 되었으며 양심의 보루라 불려졌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 연표』 지학순, 『정의가 강물처럼』 함세웅, 『고난의 땅 거룩한 땅』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발족

to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