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례에서 출생, 부모님이 상업에 종사하여 경제적으로 윤택
- 일제강점기 일본 삿포로 미쓰비시 탄광에서 일한 아버지, 겨울에 탈출, 아버지는 광복되고 1년 후 삼례로 돌아와 냉동기 사업
- 삼례에서 초등학교 3학년을 마치고 전주로 전학하여 학업
-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 전북의 1970년대 민주화운동
- 1974년 전북대 원예학과 입학, 1970년대 전반기 전주고 학생들의 항거
- 전북민주화운동의 주요 네트워크, 금강문고, 전북대는 민청학련과 거의 무관
- 1970년대 중반 전북대 민주화운동
- 사회과학 공부와 민주화운동의 인맥, 공부한 사회과학 서적과 영향
- 휴학했다가 1976년에 복학하여 KSCF 그룹과 연계
- 1977년 4월 전북대 유인물 배포사건, 1977년 4월 전북대 유인물 배포 사건을 둘러싼 견해차, 1977년 4월 전북대 유인물 배포 사건의 파장
- 전북대 학생운동 그룹 형성과 활동
- 1978년 학적 변동으로 강제 입영, 1978년 8월 기독교청년회 전국청년교육대회 기간에 첫 휴가
- 1976년 8월 목포에서 개최된 기독교청년회 전국청년교육대회 참석, 1978년 8월 기독교청년회 전국청년교육대회에서 거리 시위 성사
- 1978년 8월 기독교청년회 전국청년교육대회 거리 시위 관련 연행, 하루 만에 1심을 마치고
- 육군교도소, 안양교도소에서 옥살이, 교도소 인권 투쟁, 1979년 12월 5일 석방, 옥살이하던 시기의 전북대 학생운동
- 1980년 민주화의 봄 국면 전북대 상황, 1980년 5월 전북대 이세종 사망
- 전북대 농성 학생들은 남녀를 가리지 않고 35사단 헌병대 영창에 수감
- 1980년 5월 17일 자정, 계엄군의 전북대 진입 전후 상황, 1980년 5월 이후의 도피 생활
- 전북대 의대 학생들의 시위, 광주로 이송, 상무대 영창 수감, 1981년 3월 1일 특사로 석방
- 1986년 5월 전주 개헌현판식 사건, 1987년에 석방, 1981년 3월 석방 이후의 활동
- 1970년대 후반 전북지역 민주화운동에 대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