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컬렉션
구술컬렉션
언론민주화운동
-
고승우
합동통신사 자유언론실천 운동 주도, 계엄당국에 맞서 보도검열과 제작 거부 주도, 강제해직,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 설립, <말>지 편집장, 한겨레신문 창간 발기, 한겨레신문 사회부장, 여론매체부장, 민주언론시민연합 이사장
-
김주언
출생, 가족사, 청소년기, 대학 시기, 민청학련사건, 군 복무, 해직기자와 만남, YWCA위장결혼식사건, 보안사 서빙고 분실, 한국일보 입사, 5∙18민주화운동, 보도 사전검열, 보도지침, 한국공해문제연구소, ‘온산병’ 특종, 기자협회 한국일보 분회 조직 및 활동, 보도지침 입수, 폭로 방법 모색, 보도지침 전달, 폭로 기자회견, 비밀 유지, 남영동 대공분실로 연행, 조사∙재판∙석방, 한국일보 복직, 한국일보 노동조합 설립 주도, 휴직, 서울경제신문, 언론청문회, 한국기자협회장, 언론개혁시민연대, 언론개혁 운동, 언론 관련 활동, ‘죠스’라는 별명, 80년 강제해직과 언론통제, 전두환 정권의 언론통제, 언론과 언론인의 현실에 대한 평가, 불신 받는 언론인, 외국에도 알려진 보도지침사건, 언론개혁의 방향, 자본에 종속되고 있는 언론계, 언론중재법, 저널리즘의 위기
-
박성득
출생, 가족사, 청소년기, 대학 시절, 졸업 후 사찰에 거주, 경향신문사 입사, 1980년 경향신문 제작거부 사건, 체포,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 계엄 포고령 위반으로 징역 1년, 해직기자와 민주화운동 인사들과 교류, <말>지 제작 담당, 충무로 인쇄골목, <말>지 제작과 비밀 유지, <말> 특집호 – 보도지침, 도피생활, 새 신문 창간, 한겨레신문 창간의 어려움, 창간 준비, 내부 갈등, <말> 특집호 제작, 6월항쟁, 시민의 힘, CTS 도입, 향후 계획, 구술에 대한 소감
-
박우정
경향신문 자유언론실천 운동 주도, 1980년 계엄포고령 위반으로 구속 및 수감, 강제해직, 언협 창립 참여, <말>지 편집장, 보도지침 폭로, 수배와 도피, 한겨레신문 창간 발기, 한겨레신문 민족국제부장, 사회부장, 편집국장, 논설주간
-
박화강
전남매일신문, 5.13자유언론실천선언, 계엄당국에 맞서 보도검열과 제작 거부 주도, 집단 사직 주도, 강제 해직, <한겨레신문> 창간 발기, <한겨레신문> 광주 주재 기자
-
성한표
출생, 가족사, 청소년기, 대학생 시기, 조선일보 시기, 10‧24자유언론실천선언, 투쟁과 해직, 해직 이후 활동, 민주언론운동협의회 시기, ‘언협’ 기관지 <말>지 발행에 참여, 한겨레신문 창간, 한겨레 초기 성장통, 대표이사 선거 출마, 한겨레신문 퇴사 이후의 활동, 박정희 정권의 언론 통제, 70년대 전반기 기자 사회, 기자사회의 불건전성, 동아일보 기자들의 언론자유수호투쟁, 1975년 해직기자들의 삶, 기억에 남는 해직기자들, 박정희 정권에 대한 평가, 박정희가 남긴 유산, 우리시대 언론의 문제점과 바른 역할, ‘언협’에서의 역할과 기억나는 사람, 보도지침사건 , 한겨레 창간 자금 모금, 한겨레신문 편집국 시기, 한겨레 초기 기억나는 일, 후배에게 들려주고 싶은 말, <말>지 기사의 차별성, 언론인의 자긍심, <말>의 영향력, ‘언협’의 역사적 의의
-
신홍범
출생, 중고등학교 시절, 외교학과 진학, 4‧19혁명, 대학 시기, 조선일보사 입사, 외신부 기자, 리영희와의 인연, 오보와 사표, 리영희에 대한 평가, 동양통신 입사, 조선일보 복귀, 자유언론실천선언, 조선일보 해직, 3‧6자유언론실천운동, 조선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결성, 생활고, 경찰의 감시, 두레출판사 운영, 언협의 탄생 배경과 출범 실무 작업, 박정희에 대한 평가, 해직기자들의 민주화운동 참여, <말>지 창간, <말>지 제호 제정, <말>지 제작, 보도지침사건, 김정남과 인연, 보도지침사건으로 구속‧재판‧석방, 6월항쟁, 한겨레신문 창간 준비, 창간위원회에서 맡은 역할, 논설위원, 한겨레신문사 내부 갈등, 한겨레에 대한 평가와 기대, 언론중재법에 대한 평가, 향후 계획, 군사정권 아래의 탄압, 언론기본법, 가족, 정신적 스승, 조선투위의 역사적 의의
-
유숙열
합동통신사 <리더스 다이제스트>, 수배 중인 김태홍 한국기자협회장의 도피를 돕다가 남영동 대공분실로 연행 및 구속, 강제 해직, 페미니즘 공부, <문화일보> 여성 전문기자, 페미니스트 저널
창간, 출판사 'if books' 대표 -
이부영
출생, 가족사, 6‧25전쟁, 중‧고등학교 시기, 신익희와 조봉암, 4‧19혁명, 사회변혁의 꿈, 서울대 신입생 시기, 5‧16쿠데타, 모친 별세, 군 복무 시기, 카투사, 미8군, 한미관계, 복학, KBS 외신부 입사, 1‧21사태, 한국일보와 중앙일보 거쳐 동아일보 입사, 동아일보의 역사, 여운형과 3‧1운동, 유신 체제 이전의 언론계, <신동아> 사태와 차관, 한‧미‧일 관계, 민주수호국민협의회, 천관우, 7‧4남북공동성명, 복합국가론, 강화되는 언론통제, 10‧24 자유언론실천선언, 동아일보 노동조합 설립 시도, 자유언론실천 투쟁, 강제 해직, 자유언론실천선언, 동아일보 노동조합 투쟁, 국제정세 변화, 베트남전 종전, 월남 패망, 박정희 정권의 강압통치, 김재규와 장준하, 10‧26 사건의 배경, 송건호 편집국장의 사직, 동아투위의 투쟁과 고난, 계엄포고령 위반, 수감, 삼청교육, 민주언론운동협의회 결성, 인천5‧3항쟁, 수배와 구속, 1987년 대선의 패배, 한겨레신문 창간, 언론중재법에 대한 견해, 민주화운동과 사회운동에 참여한 이유, 인생의 스승, 후배 언론인에게 드리는 말씀
-
이석원
서울대 학생운동을 주도하다 제적 후 복학, 광주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폭로하는 유인물을 제작 및 배포하여 수감, 언협 사무차장 겸 <말>지 편집차장, 보도지침 입수에 기여, 전민련 참여, 진보적 대중정당 건설 운동 주도, 민중당 참여, 나라정책연구회 설립 및 운영, 대안적 정치세력 형성 운동
-
정동익
동아투위와 언협 활동으로 언론민주화에 기여, 한국출판문화협의회 초대의장으로 출판 자유를 위해 투쟁, 서울 민통련 부의장,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 1970년대 언론 상황, 해직과 동아투위 활동, 언협 2대 의장, 시민언론운동, 선거보도감시연대회의 상임대표, 한겨레신문 창간 과정
-
정상모
문화방송 기자, 계엄당국에 맞서 보도검열과 제작 거부 주도, 강제해직, <한겨레신문> 창간 발기, <한겨레신문> 민족국제부장, 논설위원, 문화방송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