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택
이광택은 대전에서 출생해서 마산, 진주, 통영, 거창, 부산 등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뒤 서울 경기중고등학교를 다녔다.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집을 떠나 하숙 생활을 하였다. 이광택은 《신동아》 등 시사 잡지를 읽었고 경기고 시절 한일협정반대데모에도 참가하였다. 서울대 법대에 들어가서는 사회법학회에 가입하면서 학생운동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1969년 2학년이 되어 3선개헌반대운동에 참여하고 방학 때는 부산의 대학생과 접촉하여 학생운동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활동을 하였다. 법대 지하신문 《자유의 종》에도 관계를 하였다. 1970년 11월에 일어난 전태일분신사건은 인생에 큰 영향을 주었다. 서울대 법대는 분신 소식을 듣고 사회법학회가 대책을 논의하고 학생회와 합의하여 긴급학생총회를 열고 전태일 장례를 서울법대학생장으로 하기로 결의하였다. 성모병원 영안실에 갔을 때 전태일의 모친 이소선 여사가 이광택을 보고 목사인 줄 알고 추도사를 청하자 문득 요한복음 12장 24절이 떠올라 ‘한 일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으리라’를 암송하고 추도사를 하였고 이를 계기로 평생 노동문제에 연구하는 일을 하게 되었다. 1971년 교련반대운동 때는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보 편집장을 하였고, 김지하·박태순 등과 팀을 이루어 영남 지역을 맡아 4.27대통령선거 참관단으로 활동하였다. 10.15위수령 발동 후 도피하던 중 연행되어 중앙정보부에서 서울대생내란음모사건으로 조사를 받고 보안사로 인계되어 창원 39사단으로 강제입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