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컬렉션
구술컬렉션
교육민주화운동
-
강창호
- 가족 이야기와 성장과정, 진주에서의 고교시절
-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 입학, 대학생활과 학생운동
- 민정당연수원 점거사건, ML당 사건 관련 구속 수감
- 복학과 교생실습
- 교육민주화운동 참여
- 교원임용제외가 된 배경
- 교원임용제외 1차 발령투쟁, 2차 발령투쟁의 배경
- 발령투쟁과정에서의 어려움
- 특별법 제정 과정, 교사발령
- 전교조 활동
-
김민곤
- 출생과 성장, 대학진학과 대학생활, 대학생활과 군제대 후 복학, 취업
- 영동여고 초임 교사 시절
- 1980년대 초반 학교의 비민주적 상황, 1980년대 초반 학교현장의 분위기, 영동여고 축제
- YMCA중등교육자협회 결성 배경, YMCA교협 활동
- 서울사대부고로 학교를 옮김, Y교협 활동과 교육민주화선언 준비
- 교육민주화선언 초안 집필과 참교육 모토가 만들어진 배경
- 교육민주화선언의 준비와 실행, 교육민주화선언 이후의 후폭풍
- 부당전출에 대한 항의 차원에서 단식농성
- 단양 단산고 생활과 6월 항쟁의 영향, 6월 항쟁 직후 전국교사협의회 결성, 전국교사신문 발행 주도
- 전교협 활동과 교사노조로의 전환 준비
- 교원노조 결성을 위한 본격적 준비
- 전교조 결성대회를 성사시킨 배경, 전교조 결성 대회 이후 전개된 7.9대회
- 명동성당 단식농성과 평민당사 앞 연행, 구속 당시의 상황, 출소 후 전교조 사무처장 활동
- 1990-1991년 전교조 사무처장 활동
- 간첩단 사건 관련 조사와 특별채용, 특별채용 후 느낀 학교 현장의 달라진 분위기
- 전교조 합법화와 원상회복추진위 출범
- 과거사위 평가, 교육민주화운동의 보람과 소회
-
배창환
- 출생과 가족사, 학창시절, 대학진학과 대학생활
- 복현문우회 활동과 졸업, 발령
- 1980년대 초반 대구 교육민주화운동의 흐름, 분단시대 동인 결성
- 1980년대 중반 대구교육민주화운동의 흐름
- 교육민주화선언과 영남권 실천대회, 대구 Y교협에서 교사협의회 건설로
- 대구경북교사협의회 결성 및 경화여중 평교협 결성, 대구경북교사협의회 창립
- 대구지역 평교협 결성과 흐름, 평교사연합회 결성과 대구 교육민주화운동 역량 확대
- 전교조 결성과 대구지역 상황, 전교조 탄압과 경화여고 상황
- 90년대 대구지역 교육민주화운동과 특별채용 당시 상황
- 교단 복귀 후의 교육활동
- 교육민주화운동에 대한 회고
-
원영만
- 출생과 가족사, 대학진학과 야학활동
- 철원에서의 첫 교사생활
- 춘천YMCA교육자협의회, 춘천YMCA교육자협의회 결성 및 교육민주화선언
- 교육민주화선언 지지와 강원지역 교사 모임의 특수한 상황
- 호헌조치에 반대하는 강원지역 시국선언
- 호헌철폐 반대 시국선언과 강원교사협의회
- 교사협의회에서 노동조합으로, 전교조 건설 당시 강원지역 상황, 전교조 결성대회와 단식농성
- 강원지부 결성 준비와 구속, 강원지역 교사들이 받은 탄압과 노역비 차이
- 교육대학살과 공대위 결성, 90년대 초반 강원지부의 주요 활동
- 정부의 특별채용 조치와 학교 현장의 경계
- 강원지부장과 전교조 10대 위원장 활동
- 노무현 정부의 교육시장화 정책 반대 활동
- 운동사 정리와 전교조 활동의 보람, 교육민주화운동에 대한 소회
-
이영국
- 출생과 가족사, 서울대 음대 진학, 학창시절
- 군입대 후 훈련소에서 10.26 경험, 군대의 경험 및 대학 복학
- 대학활동과 졸업 후 성남 Y교사모임 간사
- 휘문고 음악교사, 민요연구회 교사회 결성
- 교육민주화운동 이전 강남 사립명문의 상황, 촌지공세의 경험과 민요, 풍물 공연의 경험
- 휘문고 평교사회 결성
- 1985년 민요연구회 교사회 결성 및 활동, 민요연구회의 역할과 고교교사회 활동
- 교육민주화운동에서 문화부(국)의 활동과 역할
- 전교조 결성식 일화 및 이수일 선생님 귀휴 운동 배경
- 촌지 사례에 대한 인터뷰와 휘문고 평교협 결성
- 전교협을 해소하고 전교조 결성을 준비하던 당시의 분위기
- 전교조 결성 공표와 학교 현장의 탄압, 전교조 결성 관련 탄압과 후원회 활동이 활성화된 계기
- 명동성당 단식농성과 정태춘의 문화공연, 전국 순회 문화공연의 성공
- 온나라 걷기대회, 제주도 사건 및 안면도 지원 과정 일화
- 전국 순회문화공연에 얽힌 일화 및 해직
- 음악교과모임 조직과 특별채용
- 영서중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조직과 독일 유학, 독일 유학 과정에서의 일화
- 교육민주화운동의 소회
-
이을재
- 출생과 가족사, 학창시절, 성적순으로 입학한 국립사범대
- 1학년 때 언더 써클에서 학습한 경험, 사회복지연구회, 2학년 때 학내시위에 참여하게 된 경험
- 대학생활과 야학 활동, 노동야학과 무기정학
- 1980년 5월 상황과 1981년 교사 발령, 군복무에 얽힌 일화
- 서울 강서남부지역 교사모임, 교사모임이 만들어지게 된 배경
- 교육민주화선언 참여와 해직, 교사들의 교육민주화 분위기와 학교 현장의 탄압상
- 해직에 이르게 된 배경, 해직 기간 동안의 경험과 복직
- 전교협 결성과 학교 차원의 평교협 결성
- 전교조 명단공개와 결성대회, 전교조 결성의 배경과 탄압에 대한 대응, 전교조 탈퇴 공작과 교육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 해직 이후 활동 및 생활고, 정부의 조건부 특별채용과 관련한 논란
- 전교조 합법화, 서울지부 사무처장이 된 배경과 활동
- 상문고 사학민주화 투쟁과 서울시교육청 점거농성
- 17년 해직과 두 차례의 유죄판결, 정부의 특별채용 조치의 한계
- 교육민주화운동에 대한 과거사 청산 평가, 교육민주화운동에 대한 소회
-
장명재
- 출생과 가족사, 농대 진학 좌절
- 경북대 학생운동 흐름과 제명 사건, 강제징집 된 배경과 군복무
- 대구경북계승사업회 활동
- 군 제대 후 상황과 87년까지 대구경북 교육민주화운동 흐름, 촌지 받던 입시위주 교사 시절
- 1988년 교육민주화운동에 참여, 교협과 평교사회를 분리하려는 교육청의 악선전
- 전교조 결성 관련 탄압과 탈퇴서 제출의 압박, 전교조 탄압 당시 대구지역의 조직 복원
- 대구경북 공대위 활동, 대구지역 학생들의 활동과 1989-90년 대구지부 활동
- 1990년대 상반기 대구지부가 운영한 주요 행사
- 해직교사 지원활동과 정부의 특별채용 논란
- 교단 복귀 후 교육민주화운동의 흐름 변화
- 2003년 대구지부장 활동
- 전교조에 대한 바램과 교육민주화운동에 대한 회고
-
조창익
- 출생과 가족사, 고교시절, 전북대 재학 시절의 경험, 성장기 할아버지의 가르침
- 교사 초기 경험한 부조리한 교육현장
- 1980년대 초중반 광주, 전남의 상황
- 대한교련 탈퇴운동, 평교사협의회 결성의 열기와 확산
- 교사협의회 시절 주요 활동 및 흐름, 교원노조 결성과 관련한 내부 논쟁과 흐름
- 1989년 5월 전교조 결성대회 전후 상황, 전교조 탄압과 조사
- 명동성당 단식농성, 명동성당 단식농성 일화
- 해직 후 학생과 시민들의 지원투쟁, 참교육 사업
- 특별채용, 특별채용 발령거부 투쟁과 전남교육연구소 설립
- 사회운동과의 연결 확대, 사회운동과의 연대 경험
- 전교조 18대 위원장 활동
- 교육민주화운동에 대한 소회
-
차상철
- 출생과 가족사, 고교시절, 원광대 분위기
- 1980년 5월 전후 분위기와 첫 교사 발령, 백운중학교에서의 경험
- 교육민주화선언과 전북Y교협 창립, 출발은 늦었지만 활발하게 활동한 전주Y교협
- 전북교사협의회 창립, 교육현장의 문제 개선 투쟁 및 대한교련 탈퇴운동
- 교육법 개정운동과 전북교사협의회 정기총회
- 전교협에서 전교조로의 전환 과정, 전교조 결성과 분회 전환
- 전교조 전북지부 결성대회, 구속 및 해임
- 공안당국의 교사탄압 양상, 해직 후 1990년대 초반 전교조 활동
- 정부의 특별채용 조치, 분회 재건 운동의 전형이 된 삼례공고
- 전교조 합법화와 전북지부 활성화, 합법화 이후 전교조의 주요 활동
- 2000년대 이후 전북지역 교육민주화운동
- 최근 근황과 교육민주화운동에 대한 소회
-
천보선
- 출생과 가족사, 대학진학과 대학생활
- 학생운동과 교육운동준비팀 결합, 교육운동준비팀 활동
- 교육현장의 상황과 교사 발령, 전교조 결성에 대한 필요성 공감
- 예상보다 많았던 해직자, 전교조 전환과 관련한 입장 차이
- 해직 후 교사들의 상황과 특별채용 논란
- 역사성, 상징성을 가진 전교조
- 특별채용 후의 학교 분위기와 활동, 복귀한 학교 현장의 분위기
- 진보교육연구소 출범, 전교조 정책을 잇는 교사들
- 교육운동의 화두는 신자유주의 교육반대, 공공성 강화
- 새로운 교육운동을 향한 변화 필요
- 교육민주화운동에 대한 소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