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컬렉션
구술컬렉션
교육민주화운동
-
강창호
- 가족 이야기와 성장과정, 진주에서의 고교시절
-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 입학, 대학생활과 학생운동
- 민정당연수원 점거사건, ML당 사건 관련 구속 수감
- 복학과 교생실습
- 교육민주화운동 참여
- 교원임용제외가 된 배경
- 교원임용제외 1차 발령투쟁, 2차 발령투쟁의 배경
- 발령투쟁과정에서의 어려움
- 특별법 제정 과정, 교사발령
- 전교조 활동
-
고진형
- 출생과 가족사, 학창시절
- 대학생활과 Y활동, 함라중 발령
- 1970년대 중반 학교 분위기와 5.18 경험
- 광주Y중등교육자협의회 결성과 성경공부 그룹
- Y교협 결성과 야학 활동
- 학생 클럽 활동과 축제
- 호남 Y교협 회장과 교육민주화선언
- 들불처럼 확산된 평교사회
- 전국 최초 전남교협 결성, 전남지역 사립학교 투쟁
- 전남교협 회장
- 전교조 결성식과 신한민주당사 단식농성, 구속
- 구속 중에 겪은 탈퇴각서 압박, 전남지부 창립
- 구금 경험과 전남 교육운동과 농민회의 인연
- 장례투쟁과 평민당 모금 일화, 정부의 특별채용 조치
- 교단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교육위원 활동
- 영산 성지고 교장, 정년퇴임, 교육민주화 평가와 소회
-
김민곤
- 출생과 성장, 대학진학과 대학생활, 대학생활과 군제대 후 복학, 취업
- 영동여고 초임 교사 시절
- 1980년대 초반 학교의 비민주적 상황, 1980년대 초반 학교현장의 분위기, 영동여고 축제
- YMCA중등교육자협회 결성 배경, YMCA교협 활동
- 서울사대부고로 학교를 옮김, Y교협 활동과 교육민주화선언 준비
- 교육민주화선언 초안 집필과 참교육 모토가 만들어진 배경
- 교육민주화선언의 준비와 실행, 교육민주화선언 이후의 후폭풍
- 부당전출에 대한 항의 차원에서 단식농성
- 단양 단산고 생활과 6월 항쟁의 영향, 6월 항쟁 직후 전국교사협의회 결성, 전국교사신문 발행 주도
- 전교협 활동과 교사노조로의 전환 준비
- 교원노조 결성을 위한 본격적 준비
- 전교조 결성대회를 성사시킨 배경, 전교조 결성 대회 이후 전개된 7.9대회
- 명동성당 단식농성과 평민당사 앞 연행, 구속 당시의 상황, 출소 후 전교조 사무처장 활동
- 1990-1991년 전교조 사무처장 활동
- 간첩단 사건 관련 조사와 특별채용, 특별채용 후 느낀 학교 현장의 달라진 분위기
- 전교조 합법화와 원상회복추진위 출범
- 과거사위 평가, 교육민주화운동의 보람과 소회
-
김용택
- 출생과 가족사, 가난했던 학생시절
- 첫발령과 초등교사 경험, 마산여상 교사로
- 초기 교육미주화운동, 전교조 탄압에 대한 기억
- 경남지역 전교협 활동, 전교조 결성과 경남지부장 권한 대핟, 경남 지역 교사들의 피해
- 명동성당 단식농성, 위원장 권한대행, 현대사 강의, 명동성당 단식농성 추가 구술
- 탈퇴각서와 해직, 전교조 지원 활동
- 마산투쟁
- 제2~3대 경남지부장 활동, 경남지역 사회운동 참여
- 특별채용과 교단복귀, 원상회복 투쟁과 1인 시위
- 헌법교육과 철학교육, 정부포상 거부 일화, 학교 운영위 활동과 헌법교육
-
배창환
- 출생과 가족사, 학창시절, 대학진학과 대학생활
- 복현문우회 활동과 졸업, 발령
- 1980년대 초반 대구 교육민주화운동의 흐름, 분단시대 동인 결성
- 1980년대 중반 대구교육민주화운동의 흐름
- 교육민주화선언과 영남권 실천대회, 대구 Y교협에서 교사협의회 건설로
- 대구경북교사협의회 결성 및 경화여중 평교협 결성, 대구경북교사협의회 창립
- 대구지역 평교협 결성과 흐름, 평교사연합회 결성과 대구 교육민주화운동 역량 확대
- 전교조 결성과 대구지역 상황, 전교조 탄압과 경화여고 상황
- 90년대 대구지역 교육민주화운동과 특별채용 당시 상황
- 교단 복귀 후의 교육활동
- 교육민주화운동에 대한 회고
-
원영만
- 출생과 가족사, 대학진학과 야학활동
- 철원에서의 첫 교사생활
- 춘천YMCA교육자협의회, 춘천YMCA교육자협의회 결성 및 교육민주화선언
- 교육민주화선언 지지와 강원지역 교사 모임의 특수한 상황
- 호헌조치에 반대하는 강원지역 시국선언
- 호헌철폐 반대 시국선언과 강원교사협의회
- 교사협의회에서 노동조합으로, 전교조 건설 당시 강원지역 상황, 전교조 결성대회와 단식농성
- 강원지부 결성 준비와 구속, 강원지역 교사들이 받은 탄압과 노역비 차이
- 교육대학살과 공대위 결성, 90년대 초반 강원지부의 주요 활동
- 정부의 특별채용 조치와 학교 현장의 경계
- 강원지부장과 전교조 10대 위원장 활동
- 노무현 정부의 교육시장화 정책 반대 활동
- 운동사 정리와 전교조 활동의 보람, 교육민주화운동에 대한 소회
-
이미영
- 출생과 가족사, 학창시절, 대학생활
- 1980년대 초반 전북 교육현장
- 1980년대 초반 전북 교육민주화운동의 전개
- 전주 Y교협 결성을 위한 준비
- 전주 Y교협 결성과 탄압
- 전주 Y교협 창립 후 주요 활동
- 강제 전보와 교사들의 지지, 양심선언
- 전국 최초 호헌철폐 전북 교사선언
- 전북교사협의회 결성
- 전북 사학민주화 투쟁과 전북교협 결성
- 전교조 결성 당시 전북 교육현장의 상황
- 전북지역 전교조 결성 과정
- 전교조 결성 단계에서의 탄압 상황
- 해직과 교육민주화운동의 지속
- 전교조 전북지부장 활동과 순창 동계고 복직
- 농촌학교를 위한 활동, 전북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운동
- 명예퇴직 후 청소년 관련 교육운동
- 교육민주화운동의 동기, 성과, 소회
-
이병주
- 출생과 가족사, 학창시절,
- 1980년대 초반 충남대 상황
- 첫 발령지 천호중학교에서의 경험
- 교육민주화운동을 하게 된 계기
- 소모임 활동과 평교사회 결성
- 강남·강동지역교사협의회 준비위 활동
- 교사노조 추진 과정
- 전교조 추진 선봉대 활동
- 전교조 결성대회
- 강남·강동지회 결성과 연행
- 천호중 분회 결성
- 1989년 해직 후 활동
- 해직 후 서울지부 조직부장 활동
- 정부의 특별채용 조치, 98년 교단복귀 후 교육민주화운동
- 성수여중에서의 일화
- 원상회복추진위 활동, 계승연대 집행위원장 활동
- 교육민주화운동과 과거청산, 교육민주화운동의 성과, 전교조의 과제, 소회
-
이상석
- 출생과 가족사, 학창시절
- 교련반대, 유신철폐 시위
- 첫 발령지, 대양공고
- 학생들과 행복한 기억
- 해직의 아픔
- 학급문집에서 이어진 글쓰기연구회 활동
- 1980년대 초반 교육운동과 글쓰기연구회
- 교육운동 동료들에 대한 마음의 빚
- 부산 국어교사 모임
- 부산교협 결성 과정
- 부산교협 창립과 평교사회
- 사랑으로 매긴 성적표
- 50세가 넘어 다시 보이는 아이들
- 전교조 결성, 부산지부 활동과 해직
- 전태일 문학상
- 특별채용 조치로 교단 복귀, 소회
-
이영국
- 출생과 가족사, 서울대 음대 진학, 학창시절
- 군입대 후 훈련소에서 10.26 경험, 군대의 경험 및 대학 복학
- 대학활동과 졸업 후 성남 Y교사모임 간사
- 휘문고 음악교사, 민요연구회 교사회 결성
- 교육민주화운동 이전 강남 사립명문의 상황, 촌지공세의 경험과 민요, 풍물 공연의 경험
- 휘문고 평교사회 결성
- 1985년 민요연구회 교사회 결성 및 활동, 민요연구회의 역할과 고교교사회 활동
- 교육민주화운동에서 문화부(국)의 활동과 역할
- 전교조 결성식 일화 및 이수일 선생님 귀휴 운동 배경
- 촌지 사례에 대한 인터뷰와 휘문고 평교협 결성
- 전교협을 해소하고 전교조 결성을 준비하던 당시의 분위기
- 전교조 결성 공표와 학교 현장의 탄압, 전교조 결성 관련 탄압과 후원회 활동이 활성화된 계기
- 명동성당 단식농성과 정태춘의 문화공연, 전국 순회 문화공연의 성공
- 온나라 걷기대회, 제주도 사건 및 안면도 지원 과정 일화
- 전국 순회문화공연에 얽힌 일화 및 해직
- 음악교과모임 조직과 특별채용
- 영서중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조직과 독일 유학, 독일 유학 과정에서의 일화
- 교육민주화운동의 소회
-
이을재
- 출생과 가족사, 학창시절, 성적순으로 입학한 국립사범대
- 1학년 때 언더 써클에서 학습한 경험, 사회복지연구회, 2학년 때 학내시위에 참여하게 된 경험
- 대학생활과 야학 활동, 노동야학과 무기정학
- 1980년 5월 상황과 1981년 교사 발령, 군복무에 얽힌 일화
- 서울 강서남부지역 교사모임, 교사모임이 만들어지게 된 배경
- 교육민주화선언 참여와 해직, 교사들의 교육민주화 분위기와 학교 현장의 탄압상
- 해직에 이르게 된 배경, 해직 기간 동안의 경험과 복직
- 전교협 결성과 학교 차원의 평교협 결성
- 전교조 명단공개와 결성대회, 전교조 결성의 배경과 탄압에 대한 대응, 전교조 탈퇴 공작과 교육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 해직 이후 활동 및 생활고, 정부의 조건부 특별채용과 관련한 논란
- 전교조 합법화, 서울지부 사무처장이 된 배경과 활동
- 상문고 사학민주화 투쟁과 서울시교육청 점거농성
- 17년 해직과 두 차례의 유죄판결, 정부의 특별채용 조치의 한계
- 교육민주화운동에 대한 과거사 청산 평가, 교육민주화운동에 대한 소회
-
이주영
- 출생과 가족사
- 학창시절 창가학회 사건
- 춘천교대 입학, 거멀못 모임
- 재건학교 교사 활동
- 초등 미발령 교사 대책위 활동
- 첫 발령지, 문창초등학교에서의 경험
- 교사 소모임 ‘살으리랏다’ 결성
- 이오덕 선생님과 인연
- <교사소식> 발간
- 교사수양회와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결성
- 교육민주화운동의 맹아기
-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활동
- 서울YMCA초등교육자협의회 결성
- 1985년 교육현장의 무크지 운동
- 5.18세대의 결합과 변화
- Y초등교육자회 회장
- 전국교사협의회 결성
- 교육운동과 교사운동
- 전교조 결성추진, 전교조 창립대회
- 공안탄압과 해직
- 전교조 홍보출판국 활동
- 정부의 특별채용 조치와 교단 복귀
- 돌아온 학교 현장 상황과 인성교육 실천사례 수상
- 전교조 분회장 활동과 교육 관련 활동
- 암수술과 <교육열전> 집필
- <해직교사 백서> 편찬 작업
- 교육민주화운동의 성과, 소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