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고진형

  • 공유하기

구술채록 정보

구술자
고진형
면담자
이영재
구술일자
2024.9.2.
구술장소
전교조 광주지부 회의실
구술시간
2시간 44분 55초

구술컬렉션 > 1980년대 민주화운동 > 교육민주화운동


관련 구술아카이브

구술채록 내용

구술자 이력

구술자는 1966년 조선대학교 생물교육과에 입학하여, 1974년 졸업하고 교사로 발령을 받았다. 대학 때부터 YMCA 활동을 해서 광주Y교협이 결성되는 1981년을 전후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광주Y교협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87년 민주교육추진 전남교사협의회 회장, 1989년 전교조 초대 전남지부장, 2대, 4대, 6대, 7대 지부장을 역임했다. 전교조 결성을 주도하여 구속되는 고초를 겪기도 하였다. 1994년 정부의 특별채용 조치 당시 학교 현장을 복귀하지 못하고, 1995년부터 2002년까지 전남 교육위원으로 활동하였다. 2006년 9월 목포기계공고로 복직하여 학교로 꼭 다시 돌아오겠다는 약속을 뒤늦게 지킬 수 있었다. 2011년 영산 성지고 교장으로 퇴임할 때까지 평생을 교육민주화운동에 헌신하였다.

구술내용 요약

- 출생과 가족사, 학창시절

- 대학생활과  Y활동, 함라중 발령

- 1970년대 중반 학교 분위기와 5.18 경험

- 광주Y중등교육자협의회 결성과 성경공부 그룹

- Y교협 결성과 야학 활동

- 학생 클럽 활동과 축제

- 호남 Y교협 회장과 교육민주화선언

- 들불처럼 확산된 평교사회

- 전국 최초 전남교협 결성, 전남지역 사립학교 투쟁

- 전남교협 회장

- 전교조 결성식과 신한민주당사 단식농성, 구속

- 구속 중에 겪은 탈퇴각서 압박, 전남지부 창립

- 구금 경험과 전남 교육운동과 농민회의 인연

- 장례투쟁과 평민당 모금 일화, 정부의 특별채용 조치

- 교단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교육위원 활동

- 영산 성지고 교장, 정년퇴임, 교육민주화 평가와 소회

하이라이트 영상 내용
구속되어 있던 중 파면 소식을 접한 상황, 전남지부 전교조 교사들에 대해 탈퇴각서 제출을 압박한 정황, 탈퇴각서를 냈지만 지속적으로 활동한 교사들의 역할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