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 콘텐츠
사료콘텐츠
민주화운동 이야기
더 보기
사료이야기
더 보기
-
- B컷이라 불렀다
-
- 외국인의 눈으로 본 민주화운동, 사실보고서
-
푸른눈의 '월요모임'
-
- 지학순 주교의 양심선언
-
"본인은 1974년 7월 23일 오전 형사 피고인으로 소위 비상군법회의에 출두하라는 소환장을 받았다. 그러나 본인은 양심과 하느님의 정의가 허용치 않음으로 소환에 불응한다. 본인은 분명히 말해두지만 본인에 대한 소위 비상군법회의의 어떠한 절차가 공포되더라도 그것은 본인이 스스로 출두한 것이 아니라 폭력으로 끌려간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소위 유신헌법이라는 것은 1972년 10월 27일에 민주 헌정을 배신적으로 파괴하고 국민의 의도와는 아무런 관계없이 폭력과 공갈로 국민투표라는 사기극에 의하여 조작된 것이기 때문에 무효이고 진리에 반대되는 것이다."(지학순 주교의 양심선언 中)
-
- 관찰하라, 판단하라, 실천하라 - 한국가톨릭노동청년회
-
“청년 노동자 한 사람은 온 세상의 금을 전부 합친 것보다 훨씬 귀합니다.
그들이 하느님의 아들, 딸들이기 때문입니다.”- 조셉 까르뎅 -가톨릭노동청년회(이하 JOC)는 1925년 인간의 존엄성과 노동의 소중함을 일깨우기 위하여 까르댕 추기경이 벨기에에서 창설한 청년노동자운동 단체다. 한국에서는 1958년 초 서울대학병원 간호사 박명자 등이 모임을 갖고 JOC 창립을 준비해갔다. 1958년 11월 16일 까르댕 신부가 한국을 방문해 명동성당에서 첫 투사선서식을 진행했다. 한국가톨릭노동청년회가 공식 발족한 날이다. JOC 조직은 성당을 통해 확대되어 갔으며, 각 공장에 직장팀이 결성되었다.
JOC는 인격의 변화를 통한 이웃과 노동 환경의 복음화, 이를 통한 삶의 질의 개혁이라는 나름대로의 목표의식을 갖도록, 노동과 신앙을 통합해서 성찰하는 교육을 꾀해갔다. 노동자들은 더 이상 쓸모없는 존재도, 밑바닥 존재도 아니었다. 노동자는 세상을 만들어가는 귀한 존재이며 사회를 정의롭게 변화시켜야 하는 사명을 지닌 존재다. 노동에 대한 의식의 전환은 구체적으로 작업현장에서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게 되었다.
역사이야기
더 보기
-
- 구술기록으로 보는 2·28민주의거
-
예정된 대통령 부정선거, 5개월 앞당겨 치룬다니
-
- 구술기록으로 보는 충남대전지역 4월혁명 - 충주, 공주, 대전
-
1960년 4.19를 전후하여 대전, 충청지역에서는 3.8민주의거를 필두로 4월 26일 충남대학교까지 총 9개 학교에서 학생 시위가 벌어졌다. 3월 8일 대전고등학교의 시위와 3월 10일 대전상업고등학교의 시위를 통틀어 일컫는 3.8민주시위와 3월 10일 충주고등학교, 4월 16일부터 19일에는 청주지역의 청주공고, 청주고, 청주농고의 시위가 벌어졌다. 4월 26일에는 공주지역 학생연합시위가 벌어졌다. 또한 4월 18일과 19일에는 청주대학교 시위, 4월 26일에는 충남대학교와 대전 고등학생들의 연합시위가 벌어졌다.
-
- 산재사망 30주기 컬렉션 Ⅰ
-
문송면 유가족, 원진산업재해노동자협의회를 포함한 노동, 환경, 시민사회단체는 여전히 산재사망이 끊이지 않는 현실을 바꿔내기 위해 2018년 5월 16일 "문송면·원진노동자 산재사망 30주기 추모조직위원회(이하 추모위)"를 발족했다. 추모위는 30주기를 맞아 흩어져있던 관련 사진들을 모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에 기증하였다. 사료관은 1988년 수은 중독으로 사망한 문송면, 황화수소 가스 중독으로 8명이 사망한 원진레이온사태, 백혈병으로 사망한 삼성반도체 황유미 등 노동자 산재사망 관련 사진을 컬렉션으로 구성하였다.
이번 컬렉션은 원질서존중의 원칙에 따라 기증자가 분류한 그대로 나누었으며, 사진에 대한 디스크립션 또한 기증자의 설명을 따랐다.
-
- 사람.인 Ⅵ
-
문동환, 김신묵, 이희호, 신동엽, 김복동, 여익구, 조정하, 조지송, 홍성엽, 강경대
다시 불러보는 이름, 그리운 사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