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컬렉션
구술컬렉션
경북
-
강호철
포항운동의 형성, 대구 및 인천 개헌현판식, 안동가톨릭의 고마움, 학습 활동 및 구속, 포민련 결성, 무산된 6.10대회, 대규모 집회, 6.26대회, 포항국민운동본부의 조직구성과 형성과정, 수배, 이한열 장례식, 강원산업 노조 건설, 포민련, 노동조합 결성 상담소 역할을 하다, 3자 개입으로 구속, 비판적지지, 핍박, 포민련의 발전, 환경운동, 소회
-
김병구
광산노동자, 전국 최연소 광산 노조위원장이 되다, 크리스챤아카데미 교육과 노동운동, 연합노조를 결성하다, 전민노련, 민통련 참여, 78년 대구에서 노동운동, 대구경북민통련 참여, 신민당 개헌현판식, 박종철 고문치사규탄투쟁, 대구경북 국민운동본부, 6.10대회, 포항민주화운동연합(포민련)을 결성하다, 포항 6.26대회, 7.8월 노동자대투쟁과 포항제철, 정치세력화, 노동탄압에 맞서다, 노동과 정치, 6.29선언 이후, 소회
-
김수동
자기소개, 안동대학 학생운동의 형성과정, 총학생회를 잡다, 6월 항쟁, 사회민주화운동, 목성동 성당 농성, 성 고문, 6.29와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공정선거감시단, 택시노조 파업, 후배 학생들에게 남기고 싶은 말
-
김학록
자기소개, 사제서품과 농민사목, 안동교구청의 영향, 저항적 농민운동, 개혁의 진원지, 농민운동과 민주화운동, 투쟁 에피소드, 고추투쟁, 소회
-
나정호
자기소개, 재야운동을 시작하다, 6월 항쟁에 참여하다, 현풍에서 김대중선거대책위원장을 맡다, 장애인 운동에 나서다, 촛불집회에 참여하다, 군대생활의 비리, 진보적인 국가유공자
-
남영주
자기소개, 경북민통련, 박종철고문치사사건, 시위양상과 3·3국민평화대행진, 4·13호헌조치, 호헌반대민주헌법쟁취범국민운동대구경북본부, 6·10국민대회와 6·18최루탄추방대회, 위기의 순간과 6·26국민평화대행진, 6·29선언, 대구경북의 야당, 민가협, 공정선거감시운동, 7·8·9월 노동자대투쟁, 성과와 한계, 소회
-
박형룡
학생운동을 하게 된 동기, 경북대총학생회장을 맡게 된 과정, 총학생회의 위상, 박종철고문치사사건, 3·3국민평화대행진, 총장퇴진투쟁과 호헌철폐투쟁, 노래와 구호, 호헌조치에서 6·10대회까지, 아이돌, 사회운동으로의 확산, 경호, 6·10대회, 평화대회 기조를 유지하다, 시민반응과 모금상황, 6·26을 전후한 시기, 대학생 간 연계, 민주화 된 학내 분위기, 광주항쟁, 이한열 열사, 6.29와 후속활동, 대중노선, 소회와 전망
-
이상식
구술자 주요 약력, 농촌지도자훈련회, 가톨릭농민회 조직활동, 농민시위 및 농가부채탕감대회, 김정섭추도식, 개헌서명운동, 박종철열사,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분회 창립과 농민조직 토론), 공정선거감시운동, 6월항쟁, 고추투쟁, 2.13여의도 농민대회, 이농과 귀농, 공동체운동 등
-
이승도
자기소개, 학습서클, 민주총학생회 쟁취, 영남대학생 고문사건, 청년학생투쟁위원회, 재단비리투쟁과 총학생회 주도의 학생시위, 축제와 광주항쟁 홍보, 구속학생 석방투쟁과 총학생회장 권한대행 취임, 시험거부와 대투쟁, 6·10항쟁에서 6·29까지, 에피소드, 농활, 대통령선거의 혼란, 7·8·9월 노동자 대투쟁, 활동가에 대한 충고
-
이종원
가족관계, 사회운동 약력, 안동의 저항적 특성과 ‘영화모임’, ‘농민·노동자를 위한 기도회 및 농가부채 탕감대회’와 정의평화위원회, ‘영화모임’과 사회운동 조직, 신민당 개헌 현판식, 4.5개헌 현판식, 본당별 개헌서명운동, 권인숙양 성고문 폭로, ‘박종철 추모미사 및 고문규탄대회’, 4.13호헌조치와 단식기도회, ‘박종철 고문살인 은폐조작 규탄’ 경북북부대책위원회, 6.10대회와 6.26대회, 5.18기념대회, 6.29항복선언, 이한열 열사, 김영균 열사,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공정선거감시운동, 고추투쟁, 소감
-
이태광
자기소개, 6월 항쟁에 참여하게 된 경위, 대구 6월 항쟁, 6월 항쟁과 노동자대투쟁, 6월 항쟁에 노동자 참여 부진의 한 이유, 노동문제특별위원회, 택시노동자, 허용철, 노동단체의 변화·발전, 7·8·9월 노동자대투쟁의 역사적 의의와 성과
-
이태영
약력, 학생운동을 하게 된 동기, 총학생회와 대중노선, 총장퇴진투쟁, ‘호헌철폐 직선쟁취’, 시위 양상, 6월 항쟁의 발전, 경북대학교 학생운동, 대선국면과 감옥생활, 대구 386의 트라우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