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컬렉션
구술컬렉션
아시아
-
리베라토 바우티스타(Liberato Bautista)
출생과 성장, 학창시절, 마르코스 독재 치하의 필리핀 상황, 연합감리교 청년회 회장과 필리핀 기독학생총연맹 전국 회장으로서의 역할, CCA 중앙위원으로 한국의 인권상황 및 학생운동 실태에 대한 조사단원으로 활동한 내력, 유엔NGO 컨퍼런스 의장으로서 국제적인 활동상
-
데이비드 새터 화이트(David H. Satterwhite)
성장배경, 1972년 한일문화교류사 세미나 한국방문(함석헌. 지학순. 김지하와 만남), AFCS에서 활동으로 3.1구국선언 구속자 지원, 김지하 법정 최후진술, 월남전에 대한 양심적 병영기피자, 한국문제기독교긴급회의 활동, 한국통신 편집장, 한국을 방문하여 자료수집, 서양 변호사를 한국에 보냄, TK 생으로부터 편지 자료 수집, 1986년 폴브라이트 학생으로 고려대 아시아문제연구소 연구생으로 1년 체류, 일본 내에서 한국 민주화운동 지원 네트워크, 김지하 법정최후진술과 3.1구국선언 영어로 번역
-
마에지마 무네토시(前島宗甫)
기독교와의 인연, 일본 교회의 전쟁책임 고백, 오재식·박형규·권호경과의 인연, 한국 민주화운동과 남북한 기독교단 교류에 일익 담당, 문익환 목사의 방북에 얽힌 사연, 일본의 보수우경화와 군비확장을 우려, 한국·일본 교회는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교회와 교류해야
-
박상증
출생 및 성장과정, 성결교회 탄압, 서울대 입학과 좌우 이념대립, 결혼과 프린스턴 신학교 석사과정, NCC 청년부 개혁과 WCC 청년위원 활동, 에큐메니칼 운동과 WCC 태동, WCC와 IMC 통합, 바티칸 2차 공의회 의의와 세계선교위원으로 자리 옮김, 동백림사건 회고와 제네바 북한대표부 설치, 1974년 싱가포르 CCA 총회에서의 '신앙선언' 발표, 고텐바 긴급회의 성립 배경, 일본 한국문제기독자기급회의와 독일 바일슈타인 선언, 이삼열 주도 민주사회건설협의회 결성, 김재준 목사와의 인연, WCC의 한국도시산업선교 지원 경위, 박형규 목사와의 인연, 민주동지회 결성 과정, 김대중 구명운동, WCC와 세계 교회와의 자원공유 활동, 5.18광주항쟁 비디오 제작 및 상영과 국내 반입, CCA 전신인 EACC 성립 과정, 도잔소 회의와 글리온 모임의 상관관계, CCA 총무 선출과 싱가포르 정부의 CCA 탄압 전말, 1987년 대통령선거,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원장 및 참여연대 공동대표, 아름다운재단 활동과 일본 다큐멘테이션센터 설립 배경, 민주동지회 활동의 회고와 기록보전을 위한 시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민주화운동의 발전방향, 한국민주주의의 미래와 통일에 대한 전망
-
배중도
출생 및 재일한국인 차별로 어려웠던 학창시절, 대학 중퇴 후 방랑생활, YMCA 활동하며 부인·김대중과 인연 맺음, KSCF·KCC 인사들과의 접촉 통해 한국 민주화운동에 본격 관심, 부인 정월순과의 만남과 결혼에 이른 사연, 이인화 목사와의 인연, 민투련 결성 경위, 민족차별철폐운동에 헌신한 배경과 방식, 합법적 지역운동이 민족운동의 진정한 방식이 된다, 과거 경험을 살려 한·일 인사들이 미래를 위해 뭉치자
-
서용달
일본에서의 성장시절, 학자가 된 과정, 오사카조선인연맹, 한국 민주화운동에 대한 관심, 한반도 분단의 근본적 원인, 민주화운동에 앞장서게 된 계기, 민권운동의 지도자로 활동, 차별철폐를 위한 노력, 지방자치 투표권 획득의 필요성, 재일동포의 지위 향상을 위한 노력 과정, 바람직한 한일관계, 한일관계의 당면과제
-
쇼지 츠토무(東海林勤)
출생과 열악한 환경에서 보낸 어린 시절, 부모의 이혼, 결핵 투병, 계시의 영적 체험, 뉴욕신학교 유학생활과 사회운동 헌신 결심, 일본교회의 민주주의, 인간존엄에 대한 책임 강조, 서승·서준식 형제 사건에 관심 가지고 한국 방문, 한국 민주화운동에 본격적으로 관여하다, 한국문제기독자긴급회의에 얽힌 여러 일화들
-
안재웅
성장과 학업과정, 4.19혁명과 개혁 그리고 기독교정풍운동, KSCF통합 과정, 학사단 활동, 기독청년운동 주요 그룹, 남산부활절 사건과 짐 스텐츨, 기독청년운동의 확산과 시련, 민청학련 사건, 1970년대 말 정세와 사건들, 12.12, 그리고 YWCA 위장결혼 사건, 카터 방한 반대 시위 사건, WSCF총무로 SCM 재건, 아시아기독학생운동 활성화를 위한 활동, CCA 총회와 SCM지원을 위한 특별위원회 형성과정, 1984년 도산소 협의회와 국제평화네크워크 형성, 1985년 북한방문과 조선그리스도교연맹, 1986년 글리온회의, WSCF 총무활동, 1980년대 국내분위기와 해외민주화운동, 미국 유학, URM총무와 기사연 활동의 성과, CCA활동과 성과, 귀국 후의 활동
-
이지마 마코토(飯島信)
유복한 기독교 집안 출생, 부모의 사랑과 기도로 성장, 대학 시절에 재일한국인 문제와 한국 민주화운동에 관심, 전공투 세대로서 권력·자본의 비정함을 실감, 한국문제기독자긴급회의 상근자로 《한국통신》 편집, 광주항쟁과 김대중 구명운동, 기독자민주동지회와 1987년 양김 분열에 실망, 한반도 통일운동은 동아시아공동체와 밀접한 연관, 아베 정권의 보수우경화에 대한 시각, 과거 경험 토대로 새로운 한일 네트워크 구축 필요
-
이청일
가족이 일본에 정착한 과정, 청년기의 학업과 교회 활동, 본격적으로 교회 활동을 하게 된 배경, 연세대학에서의 유학 시절, 연대 신학과 졸업 과정, 일본 KCC에서의 활동, KCC에서의 조직운동 경험, 민주동지회의 발족, 한국 민주화 지원 조직 결성, 인재 육성과 연대의 필요성
-
카르멘시타 카락닥(Carmencita Karadag)
출생과 성장 및 학창시절에 대해서는 비교적 간단하게 언급했는데, 민족의식에 투철했던 군 치과의 아버지의 영향으로 반식민주의에 일찍 의식이 깨었고, 이후 삶에서 반독재, 반제국주의사상에 몰입함. 또한 남편과의 공동활동을 통해 망명의 아픔을 겪으면서도 민주주의에 대한 소신과 원칙을 잃지 않았고, 지금은 생명, 평화운동에 전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