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컬렉션
구술컬렉션
충북
-
김정웅
박종철 고문치사사건과 4.13 조치 후, 87년 2월 명암교회에서 박종철 열사 추모대회, 목회자가 되고 민주화운동에 참여하게 된 배경, 목사들의 참여와 삭발식 그리고 6월항쟁에서 있었던 일, 6.29선언 직후 있었던 일들, 시위 과정 중에서 생겨난 일들, 지도부의 역할, 6.29 이후 정의평화실천협의회의 활동, 6월항쟁 이후 30년 이제 촛불로 다시 세운 민주정부에 바람, 조작과 사찰과 도청, 6월항쟁 후 촛불항쟁까지, 앞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
-
김현상
성장 과정, 71년도 대학 1학년 시절 신민당 김대중 대선후보 공정선거 감시운동에 참여, 80년 5.18 이후 정치규제와 신민당 개헌현판식까지, 87년 6월항쟁을 준비하고 겪었던 일, 87년 대선의 실패와 실의, 민주당이 불모지가 된 충북에서 97년의 승리에 이르기까지, 도당 사무처장을 하며 대통령 두 분의 장례를 치르다, 촛불을 겪으면서 한 생각
-
김현수
4.19혁명에의 참여, 60~70년대 야당 정치운동에 나서 겪은 일, 5.18과 정치규제제 그리고 2.12 총선으로 국회의원이 되다, 87년 민주헌법챙취 국민운동본부 결성 참여, 봉쇄된 성공회성당을 뚫고 들어가다, 정치권을 대표하여 의원총회에서 만든 결의문 낭독, 6.29 이후 대선과정, 야당 합당을 촉구했으나 불발로 탈당하다, 6월항쟁 30년과 촛불혁명에 대한 생각
-
김희식
성장 과정에서 사회의식을 갖게 된 배경, 대학입학과 학생운동 참여, 문학운동과 지역 민주화운동 단체 창립과 사회운동 참여, 출옥 후 무심천 서점 그리고 다시 단체운동에 나섬, 새로운 투쟁의 준비와 충북 장기집권저지 투쟁위원회 결성, 국민운동본부와 4.13호헌조치 이후 본격적인 호헌철폐투쟁의 시작에서 6.29까지, 6.29 이후 상황의 변화와 대선의 과정과 그 결과에 대한 생각, 6월항쟁 30년, 촛불의 의미, 향후의 나아갈 길
-
박문희
정치활동가의 길을 걷게 된 배경, 민주화 운동을 경험하고 느낀 점, 85년 민정당 정종택 의원실 점거 시위 중 연행, 86년 민주연합청년동지회결성, 87년 6월 민주항쟁 당시 시위에 참여하고 느낀 점, 87년 이후 정치인으로서의 활동과 내용, 30년이 지난 현재 느끼고 있는 우리 민주주의에 대한 소감, 촛불항쟁에 대한 소감, 앞으로의 바람
-
유수남
6.25에 희생된 군인경찰 가족으로 성장하다, 기독교 신앙활동과 누나들의 영향, 대학 입학과 자연스럽게 참여하게 된 학생운동, 대학에서의 학생운동과 구속, 상처치료를 위한 의사의 석방 소견과 계속된 교도소 생활, 석방 후 청주지역 민주화운동 활동가로 앞장서다, 충북민협과 교회협의회 실무자로 맞은 6월항쟁, 6월 항쟁의 영향이 지난 촛불로, 민주정부 수립으로 이어짐에 대한 감회
-
유양우
6월항쟁 당시 충북대학교와 청주지역의 상황, 학생운동을 하게 된 계기, 거리항쟁 현장지도자로 나서다, 6.29 선언과 이후의 활동, 6월항쟁의 의미와 촛불혁명, 6월항쟁의 회고
-
정율동
성장 과정과 아버지의 영향, 농민운동에 참여하게 된 계기와 농민운동, 87년의 활동과 목격했던 당시 상황, 농민회 활동가로 바라본 87년 대선, 87년 이후의 활동과 현재의 활동, 30년전 6월의 의미와 앞으로의 바람
-
조순형
어린 시절과 신학교 진학, 산업선교 실천운동에 나서다, 산업선교의 실천에서 받은 탄압과 민주화운동, 충북민주화운동협의회의 창립 참여와 지역민주화운동, 6월항쟁 시위 상황과 시민들의 호응, 6.29 이후의 상황, 6월항쟁 30년 그리고 촛불항쟁
-
조인호
출생과 성장 과정, 정식품 입사와 청주로 오게 된 계기, 노동운동을 결심하고 퇴근 후 노점을 시작하다, 정진동 목사와의 만남, 정식품 노조를 결성하다, 87년 시위 현장, 노동자대투쟁과 정식품의 치열한 투쟁, 87년 이후의 활동, 앞으로의 바람
-
홍청숙
성장 과정, 학생운동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 대학에서의 활동, 87년 6월항쟁과 당시 활동, 87년 대선에 대한 입장과 백기완 선거운동, 진보정당 건설의 당위성을 느끼다, 87년 이후 활동, 촛불혁명을 바라보며, 우리 사회에 완성되어야 할 과제, 함께 했던 동지들에 대한 기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