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컬렉션
구술컬렉션
유화국면 이후 학생운동
-
강동욱
근황 및 배경, 재수 때 들은 광주상황, 광주출신 재수생들의 참가결의, 졸업정원제와 농법회 참여, 첫 데모 참여, 학습교재 및 5대 패밀리, 방황하던 2학년 시절, 농법회 농활, 동기와 후배들, 동원팀 조직방식 D팀과 P팀, 녹화사업과 83년 집회, 유화국면 직전 상황, 학자추 국면, 포시스템과 학간페더, 유화국면 바라보는 시각차와 집회상황 변화, MT 등장과 포시스템과 갈등, 포책임자를 맡게 된 이유, MT-MC 대립, 깃발그룹과 반비판, 미문화원 점거농성, 삼민투와 MC-MT, CNP 논쟁, MC에서 NL의 등장, 포의 해체, MT지도부 와해, 수배도피생활, 위장취업, 노동운동과 6월 항쟁, 정치권 들어간 경위, 고시공부와 변호사 생활, 변호사로서 관심사 변화, 구술 소회와 남기고 싶은 이야기
-
민병두
도산연구회 가입, 낙골야학 활동, 학생운동 전면에 나섬, 1980년 5월 1일 성균관대 시위, 5.18 이전에 수배, 학림 주도의 성균관대 시위 계획, 학림사건으로 구속, 고문 후유증, 학간연대와 성균관대 역할, 유화국면 시기에 성균관대 활동, 노동운동, 제헌의회(CA) 사건, 구속과 석방, 문화일보 기자 활동, 정치 입문, 성균관대 학생운동 평가
-
박래군
사단법인 돌바내의 역할과 활동, 성장기 사회의식을 갖게 된 계기, 고려대 입학 후 학생운동가의 길로 들어선 과정, 1980년대 초반 고려대 학생운동 구조, 5개 섹터 지도부 구성과 운영, 문정그룹 조직화 과정, 학간연대 및 노학연대, 졸업 후 노동운동 및 복역 경험, 소회와 총평
-
박문식
≪사회대평론≫과 야학 활동, 학생회 부활 작업, 전민학련 조직 참여, 남영동 대공분실의 기억, 노동운동 조직화 과정에서 일어난 일, 민주화추진위원회사건에 연루된 내막, 옥중 자기비판과 운동권 떠난 사연, 소회 및 총평
-
박종운
근황 및 성장과정, 재수 후 서울대 사회학과 입학, 재수시절 겪은 '서울의 봄'과 광주사태, 첫 데모의 기억, 대학 축제와 1학년 농활 경험, 사회대평론과 대문활동, 졸업정원제 실패이유, 조직보안과 가명문화, 3학년 여름 산악훈련, 동기 민병열이 잡혀가고 구류, 포시스템과 페더 담당 경위, 1984년 시위 준비, 유화국면 논쟁, 조직에서 배제후 대문선배들 중심으로 민추위가 만들어진 배경, 학내와 학간 연합의 혼선, 민추위와 민투, 을지로 미문화원 점거농성투쟁, 사당동 투쟁 조직, 2.12총선 지원활동, 박종철 하숙집에 방문한 뒤 사망소식을 들은 이야기, CA그룹 재건위와 노동자해방투쟁동맹이 만들어진 배경, 기관지 선봉 만든 이야기, 민중당 창당 및 대선에서 입장 차이, 노해동의 해산과 노운협에 들어간 이야기, 1991년 방위생활, 여야협의로 수배해제, 한나라당에 운동권 출신들이 들어간 배경, 국가발전전략연구회와 이명박 대통령만들기, 노조에 대한 생각, 학생운동에 대한 소회
-
박종혁
근황, 출생과 성장, 학생운동 참여 배경과 계기, 1979년 9.18시위, 서울의 봄 정국 활동, 1980년 하반기부터 1982년 상반기까지 고려대 학생운동의 중심 역할을 한 내용, 학생운동 방법론과 전술, 출소 후 활동, 소회
-
안병용
근황 및 가족 배경, 고등학교 시절, 대학 진학 전후 80년 정치 상황, 학회참여와 언더서클 활동, 5.18비디오, 의식화 세미나 교재들, 세문 활동, 방위 군복무와 녹화사업, 복학 후 운동복귀, 상황변화, 조직운동에 대한 고민, 외국혁명운동의 경험, 운동이론에 대한 논의, 깃발과 차이, 깃발문건을 만들게 된 경위과 문제의식, 배포, 공소장과 실제 주장 연행조사 고문 실태 간첩조작, MT-MC논쟁 실상과 의의, 민추위와 민투 조직방식, 출소후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주사에 대한 생각, CA그룹과 사노맹에 대한 생각, CNP논쟁과 혁명이론의 현재적 의의. 주사NL과 386, 국회 보좌관 생활과 고시, 금융전문 변호사가 된 이유, 회고 기록, 명예회복 피해보상에 대한 생각, MC-MT소회와 총평
-
윤성구
근황, 출생과 성장, 국제경제학회 가입 및 활동, 야학 활동, 서울의 봄 정국에 대한 경험과 문제의식, 서울역 회군을 둘러싼 인식과 논란, 시위 계획이 무림사건으로 무산된 과정, 졸업식 시위 계획과 3.19시위 조직, 1981년 언더 지도부 역할, 경인지역 대학 시위 조직과 학림사건, 민주화추진위원회사건, CA사건, 소회 및 총평
-
전원배
서강대 82학번으로 정치외교학과 입학, 1학년 때 언더서클에 가입, 2학년때 KUSA(유네스코학생회)에서 RP역할을 맡음, 3학년때인 1984년에 학자추에 참여. 학자추와 기존 학도호국단의 충돌, 학도호국단이 결국 물러남, 마포경찰서 김향춘 형사가 학원 사찰을 하다 붙잡힌 김향춘 사건이 발생, 전두환 정권의 유화국면이 기만정책이었음을 폭로, 서강대에서 대규모의 항의 시위가 일어남. 서강대는 1984년 2학기에 학생회를 출범시키지 못하고 민학련 조직으로 학생운동을 이끌어감. 1985년 학생회가 출범, 총학 기획부장으로 참여, 서강대를 비롯한 숭실대 등 미들캠과의 연대를 시도함. 하지만 1985년 5월 메이저 캠퍼스와 연대해 서강대가 미 문화원 점거 농성에 들어감에 따라 미들캠 연대가 깨짐, 이후 수배와 구속을 거치면서 학생운동에서 노동운동으로 전환, 서강대 민주동우회 활동, 김우기 기념사업회에서 평전 출간.
-
천호선
근황 및 가족 배경, 대학진학, 대학 진학 전후 정치 의식, 학생운동 참여와 투신, 녹화사업 피해자들, 운동권 의식화 학습과정, 졸업정원제와 운동권 확산, 학생운동 학간 연계 시스템과 연세대 내부논쟁의 특징, 학원자율화조치와 안기부장 만남, 학생운동 시위 주동, 유화국면·NL의 등장과 문제의식, 학원프락치, 학생운동 입장차 NL론 확산 배경, 노동운동 투신과 구속, 영어강사 하다 노무현 인연 정치권 투신, 구술소회
-
최민
학생운동을 시작한 과정, 1980년 서울의 봄과 서울역 회군을 지켜본 소감, 무림-비무림 분화와 갈등의 전말, 전위조직을 구상한 계기, 1981년 서울대 학생운동의 섀도캐비닛 역할, 민청련 활동, 유화국면 이후 학생운동, 깃발사건 전개 과정, 레닌주의와 북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것
-
최욱
심산연구회 가입, 문과대에서 학생운동 활동, 1983년 3학년 말부터 단대 CT(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음, 이후 성대 전체 CT로 활동, 유화국면 시기 성민추(성균관대 민주화추진위) 구성에 참여, 민정당사 농성과 미 문화원 농성에 인원 동원을 맡음, 대학 중 성균관대가 가장 많은 인원을 동원, 성균관대 학생운동 지도부의 시스템, 성균관대 총학 출범, 오수진 총학생회장의 전학련 주도 , 정당활동, 성대 민주동문회 활동, 학생운동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