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컬렉션
구술컬렉션
서울
-
기춘
출생과 고향, 학창시절, 명동성당청년회를 비롯한 천주교계 여러 단체들과의 활동, 천주교계의 5∙18민중항쟁의 진상규명 활동과 고문공대위, 1987년 천주교계의 시국 인식과 활동, 1987년 5월 18일 5∙18민중항쟁의 추모미사와 박종철사건 은폐사실 폭로, 국민운동본부 발족 준비와 결성대회, 국민운동본부와 천주교계의 연계, 이한열의 최루탄 피격, 6∙10국민대회, 명동성당 농성과 경위, 농성의 전국화, 6∙29선언 직전과 직후의 상황, 노동자대투쟁 국면과 대통령선거 국면의 천주교계 역할, 6∙10민주항쟁에서 고생한 지인들, 명청 활동 기록화의 실패
-
김도현
출생과 학창시절, 서울대학 진학과 뒤늦은 대학졸업, ≪영남일보≫와 언론계 입문, 김지하 관련 수배, 10.26, 10.26이후 해외 여행, 신군부정화조치, 민추협 활동, 민추엽과 고문공대위 활동, ≪민주통신≫ 발행, 개헌에 대한 정치권의 인식, 5.3사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4.13 호헌조치, 김승훈 신부의 폭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민주화운동 진영과 정치권의 연대, 명동성당 농성, 양김의 관계, 영수회담의 결렬, 6.29선언, 국본 내부의 정치적 분열, 6월항쟁 직후 개헌 상황, 제13대 대통령 선거, 운동진영과 국민의 거리감, 6월 민주항쟁의 소회
-
김상근
출생과 고향, 신학대 진학,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과 기독교사회운동에 참여, 민청학련 사건과 목요기도회 개최, 1980년대 중반 기독교사회운동, 민통련 참여를 둘러싼 기독교계의 이견과 고문공대위 결성, 고문공대위와 가톨릭의 관계, 정치권과의 연계, 기독교계 인사들의 모임, 박종철고문치사와 기독교계 대응, 사실상 재판 절차를 받고 구류 처분을 받음, 송암교회 난입사건, 4·13 호헌조치, 호헌반대운동과 천주교계의 활동, 민주화 요구의 확대와 국민운동본부의 결성 준비, 국민운동본부에 이름이 없는 이유, 6·10국민대회, 직선제 쟁취 이후 양김 단일화를 위한 기독교계의 노력,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박형규 목사의 인연 그리고 김대중
-
김학민
출생과 고향, 대학생활, 학생운동, 인혁당 관련자들의 사형 집행, 한길사 입사, 학민사 설립, 출판계 에피소드, 민중문화운동협의회 창립, 민중문화운동협의회와 사회운동단체들, 6·10민주항쟁의 준비, 국민운동본부의 구성에 관하여,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의 조직적 활동, 6·10민주항쟁의 전개에 관한 기억, 6·29선언과 이후 사회운동권의 동향, 이한열 장례식, 채광석 장례식, 유학생 장의균사건으로 연행, 6·29선언 이후, 대통령선거운동 국면과 6·10민주항쟁에 대한 평가, 정치계 입문과 활동
-
김희선
출생과 이주, YWCA에서 활동하게 된 계기, 크리스챤아카데미, 해외 연수, 주부아카데미, 여성의 전화, 1987년 전후의 여성운동과 국민운동본부, 부천서고문사건 대응준비와 연행, 박종철고문치사 항의 집회, 국민운동본부와 연계, 한국여성단체연합 결성, 수유리 4·19시위, 6·10민주항쟁에 대한 기억, 민가협의 기원과 결성, 명동성당 농성, 최루탄 추방의 날 행사, 6·10민주항쟁으로 인한 고충과 기억, 국민운동본부 서울 집행위원장, 대통령선거운동 국면과 공정선거감시단, 구로구청 부정선거 항의 점거농성으로 구속, 6·29선언, 이한열 장례식에 대한 기억, 여성운동과 6·10민주항쟁, 여성운동가로 정계에 입문, 정계에서의 활동에 대한 회상
-
서동석
출생과 고향, 학창시절, 대학 입학과 학생운동, 불교와의 인연, 구속과 석방자 환영대회, 민중불교운동연합 창립, 민불련 관련자, 여익구, 민불련과 민통련, 민불련과 서노련의 인연, 1985년 하반기 시위, 5·3인천개헌현판식사건, 승려시국선언과 정토구현전국승가회, 5·3인천개헌현판식사건으로 수감, 민불련의 위기, 9·7해인사승려대회, 박종철 고문치사와 승려들의 항의, 박종철 49재와 스님들의 항거, 교도소 내의 6·10민주항쟁, 6·29선언 직후 석방, 6·10민주항쟁 동안 불교계 인사들의 활동, 87노동자대투쟁, 6·10민주항쟁 이후 대통령선거운동과 민불련, 6·10민주항쟁 이후 불교운동, 6·10민주항쟁에 대한 평가
-
신채호
출생과 교육, 유화조치로 달라진 캠퍼스, 학생운동의 복원, 직선제 개헌운동과 대학가의 인식 및 논쟁들, 건국대사건, 건국대사건 이후 학생운동권의 위축, 학생운동 조직의 운영 형태와 복원, 6·10민주항쟁 직전의 학생운동, 6·10민주항쟁 국면의 학생운동, 6·10민주항쟁에 관한 기억, 6·29선언 이후의 학생운동, 6·29선언 이후 학생운동권의 변화와 대응, 제13대 대통령선거 이후 분위기와 학생운동의 실상, 6·10민주항쟁에 대한 평가
-
유기홍
출생과 대학진학, 학생운동, 박정희시대와 신군부 권력 찬탈기 서울대 학생운동, 신군부 권력 찬탈기 민주화운동, 민주화운동청년연합 참여, 민주화운동청년연합 집행위원장과 수배, 수배 중 ≪민중신문≫ 제작, 6·10민주항쟁, 민청련 활동은 공개팀과 비공개팀으로 이원화됨, 6·10민주항쟁의 전개에 대한 평가, 6·10민주항쟁에 대한 기억, 6·29선언에 대한 논쟁과 민청련의 기로, 민청련 조직의 확대와 87노동자대투쟁, 6·10민주항쟁과 민청련 활동가들
-
이길재
출생과 고향, 학창시절, 한국가톨릭농민회 창립 주도, 한국가톨릭농민회 창립 과정과 한국교회사회선교협의회 활동, 고문공대위에 참여, 기독교계 민주화운동 인사들, 민통련 출범 전후의 상황, 1987년 2월 7일 명동성당 추도회, 1987년 상반기 사회운동 내부의 갈등과 고문공대위, 4·19혁명 기념시위, 1987년 상반기 가톨릭계의 상황과 5·18민주화운동 추모미사, 국민운동본부 결성 4인방, 국민운동본부의 결성, 6·10국민대회, 지역에서의 6·10민주항쟁과 국민운동본부, 학생운동 단체와 그룹들의 참여 및 역할, 6·29선언 이후, 대통령선거와 국민운동본부의 조직 개편, 1988년 정계 진출, 정계 진출 목적과 정치인의 역할, 6·10민주항쟁의 기념
-
이명식
출생과 가족환경, 학업과 학생운동, 박정희 정부 말기와 신군부 집권 초기의 학생운동, 학생운동과 시위의 준비와 전개, 5·18민중항쟁 전후 국면, 구속과 군 복무, 민주화운동청년연합과의 인연, 1980년대 전반기 민주화운동, 1980년대 중반기 야당 정치권, 민통련 출범 국면의 사회운동단체들 입장과 태도 그리고 사건, 고문공대위의 활동, 민청련과 민통련, 구속,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의 발발과 2·7, 3·3 추모 투쟁, 4·13호헌조치와 민통련의 대응 그리고 국민운동본부 결성, 국민운동본부의 결성과 전국적 연계, 6·10국민대회와 명동성당 농성, 명동성당 농성과 6·18최루탄추방결의대회, 농성 해산, 전국적 연계망 구축, 6·26국민평화대행진, 6·29선언 이후와 분열, 6·10민주항쟁에 대한 평가
-
이명준
출생과 학창시절 그리고 학생운동, 1979년 위장결혼식사건으로 유죄판결, 출소 후 사회운동, 천주교 사회운동가, 1987년 이전의 사회운동, 1987년 전후의 사회운동, 6·10민주항쟁 초반기, 명동성당농성, 천주교계의 역할, 국민운동본부 발대식과 4인방의 역할, 부산에서의 항쟁, 6·10민주항쟁에서 종교계의 역할, 6·29선언 이후 국민운동본부와 정치권의 동향, 이한열의 장례, 항쟁에서 학생운동권의 역할, 1987년 개헌 국면과 2016년 촛불시위, 현재의 개헌 논의에 대한 단상
-
이부영
출생과 학창시절, 교사생활과 1970년대의 교육현장, 1980년대 교사운동에 눈을 뜨다, 교사운동의 기반 구축, 1980년대 교육현장과 교사운동, 교육민주화선언, 전국교사협의회와 교사운동, 5·3인천개헌현판식, 6·10민주항쟁, 교육민주화선언 이후 교사운동, 교사운동으로 해직, 1998년에 복직, 6·10민주항쟁에 대한 평가와 소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