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컬렉션
구술컬렉션
전남
-
강덕수
가족관계와 집안환경, 전남대학교 입학, 1980년 전남대 시국성토대회, 1980년 5월 18일 이전 전남대 학생들의 시위, 5월 18일 도청 앞 시위에 참가, 1980년 입영 거부 투쟁과 입영 에피소드, 대학 졸업 후 목포 죽동교회 청년회 활동 시작, 목포사회운동청년연합 조직 및 활동, 1987년 6월 강덕수열사 분신사건, 1986년 6월항쟁 때 청년학생공동위원회 조직, 6월항쟁 당시 목포지역의 시위 경로, 1986년 4·19기념 초청강연회 개최, 목포지역 운동세력의 주요 인물들과 국민운동 목포본부, 목포 지역 내 운동세력과 경찰 간의 연계, 1987년 당시 목포지역 운동세력들의 네트워크, 목포지역 6월항쟁 상황, 목포 시민들의 호응, 목포 인근 지역과의 연계, 목포지역 시위에 있어서 상징적인 장소, 목포지역 6월항쟁에 대한 공권력의 수세적인 대응, 6·29선언 이후 목포지역의 분위기, 목포민주화운동협의회 결성, 1987년 말 제 13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선정 문제와 지역 내부의 갈등 구조, 6월항쟁 이후 목포지역의 분위기, 5·18민주화운동이 목포지역 6월항쟁에 미친 영향
-
강용재
가정환경, 성장과정, 한일회담 반대시위 목격, 부산 서면천주교에 입문하여 해방신학을 접함, 가톨릭이 민주화운동에 있어 갖는 의미, 광양으로 이주 후 천주교 정의평화위원회 활동을 통해 시국 관련 소식들을 접함, 광양성당에서 전남민주회복국민협의회 창립식을 하려했다는 소식을 듣게 됨, 이후 광양지역 사회 운동가들과 연계되어 6·26 평화대행진 사전작업으로 손태극기와 전단지를 준비함, 6월 26일 평화대행진 시위를 시작하자마자 준비했던 사람들이 연행됨, 연행으로 인해 6월 26일 성당 내에서 집회 후 연행 당함, 구타로 인해 기절 후 병원에서 의식 회복, 의식 회복 후 천주교 측의 대응으로 수사과장 직위 해제, 천주교 측의 규탄 농성, 6·29선언이 발표되자 경찰에게 구타당한 사건을 선처함, 이후 1987년 말 청년공동위원회 조직, 계획과 달리 장기전으로 갔던 12.12반란규탄집회와 집회로 인핸 연행자 및 폭력행위에 대해 경찰과 협상, 공정선거감시단 투쟁, 6월항쟁 전후 광양지역 내 사회, 노동 운동 등에 관한 분위기가 급변하고 시민들이 자신감을 얻음, 6월항쟁을 계기로 광양지역 시민운동들이 활성화, 1990년대 후반 시민운동의 세대교체를 위해 ‘참여와연대를위한광양시민의모임’ 조직, 시민운동에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광양지역문제연구소 설립
-
구용기
6월항쟁에의 참여와 최루탄에 의한 부상, 최루탄 부상자들의 치료를 서로 도와주기 시작, 6월항쟁 당시 나이어린 최루탄 피해자들, 6월항쟁 당시 광주지역의 격전지, 시위 당시 상황과 경찰의 폭력 진압, 6월항쟁 부상자 명단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분노, 6월항쟁 당시 있었던 일에 대한 트라우마, 최루탄 부상자들의 병원 치료의 어려움, 5·18광주민주화운동이 6월항쟁에 미친 영향, 치열했던 광주시민들의 6월항쟁과 시민자발투쟁위원회의 결성 및 활동, 최루탄부상자협회 여성회원들의 항쟁 당시 적극적인 활동, 6월항쟁 피해자들의 정확한 실태 파악 및 그들의 희생을 기념하고 기억할 수 있는 방안 필요
-
김대현
가족관계 및 성장과정, 전남대학교 사대부중 재학 중 전남대 학생들의 시위 목격,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영향, 1987년 4월 이후 고등학생들의 시위 참여, 시위 당시 상황과 방법, 6월항쟁 당시 고등학생들의 시위 참여와 구호, 5.18비디오 상영, 고등학생들의 학원민주화투쟁에 대한 학교 측의 대응, 1988년 광주전남학원민주화투쟁위원회 결성, 고등학교 학생회장 선거 직선제 실시, 고등학생연합회 내부의 NL PD 논쟁, 6월항쟁 이후 고등학교 내부 자율화를 위한 투쟁 경험들, 6월항쟁 이후 전국 단위로 고등학생 네트워크 형성, 고등학생들의 학원민주화 투쟁, 6월항쟁 이후 고등학생들의 전교조 및 학원민주화 시위 및 투쟁, 광주지역고등학생대표자협의회 결성, 집회로 인한 수배 생활과 검거, 퇴학 조치 반대와 등교투쟁, 1991년 김철수열사 장례대책위원회 결성, 참교육 선봉대 조직, 군 입대와 제대, 감옥 생활로 인한 폐쇄공포증, 6월항쟁 이후의 과제와 고등학교 교육 상황에 대한 문제제기
-
김상집
사회의식의 자각과 기독교계 민주화운동에 참여, 1987년 초반 광주전남지역의 운동 흐름과 동향,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전남본부의 결성 과정, 범도민운동본부와 부문운동과의 관계, 6월항쟁 직전 광주지역 투쟁의 흐름과 주요 국면, 6월항쟁 기간 광주지역 시위 양상, 경찰의 시위 진압과 ‘6·29선언’에 대한 대응, ‘6·29선언’ 이후 국본의 변화와 지역운동의 동향, 6월항쟁 이후 광주전남지역 운동의 변화상, 6월항쟁 이후의 삶과 사회민주화에 대한 견해
-
박현주
가족관계와 가난, 사회적 비판의식의 성숙과 운동가로서의 삶을 결의, 1980년대 중반 조선대학교 학생운동에 가담한 계기와 학내 상황, 1985년에서 1987년 초반 조선대학교 학생운동의 상황, 1987년 조선대생들의 6월항쟁 활동, 6월항쟁기 광주 시민의 정서와 동향, 6월항쟁 이후 조선대 학생운동의 변화상, 6월항쟁 이후 조선대 학생운동의 연대지원투쟁 활동, 6월항쟁 이후 학생운동의 변화와 항쟁의 의미
-
배종렬
성장과정, 사회운동의 계기, 독농가 육성사업 및 기독교계의 교육 활동, 농민들이 수익을 내기 힘든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고민, 전국기독교농민회 활동, 서울지역의 요청으로 4·13호헌조치 이전 국민운동전남본부 조직을 시작, 5·18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채감, 6월항쟁에서 대중들의 힘이 갖는 중요성, 6월항쟁 당시 대학생들의 역할, 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 조직 및 회의 장소, 6월항쟁 이후 전남 각지의 노태우 당선 항거투쟁과 경찰의 폭력 진압, 국민운동본부의 개편과 민족민주운동연합 조직, 6·29선언 이후 긍정적인 분위기와 후보 단일화 문제, 6·26국민대행진 전후 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들의 회합 및 이후 분열, 6월항쟁 이후 전남지역 운동권의 세대교체, 6월항쟁의 전민항쟁적 성격의 중요성, 통일문제에 대한 고민
-
안세찬
가족환경 및 아버지의 영향, 전역과 순천대학교 학생운동 참여 계기, 순천대 학생운동활동, 1986년부터 1987년 상반기까지 순천대 학생운동 상황, 1987년 전반기 순천지역 민주화운동의 상황, 6월 19일부터 21일까지 시위 양상, 6월 26일 순천의 국민평화대행진 투쟁 양상, 순천지역 6월항쟁의 특이점, 시위 주도자에 대한 탄압과 6월항쟁의 상징적 장소, 6월항쟁의 지역적 영향, 지방자치운동의 필요성
-
이대성
성장과정, 1981년 명지대학교 입학, 언더서클에서 학습, 군대 생활을 여수에서 하면서 여수지역 운동세력과 연계, 1987년 무렵 여수지역의 사회운동 상황, 광주전남민주주의청년 여수지역위원회의 결성, 6월항쟁 초기 여수지역의 분위기, 항쟁 당시 경찰의 대응 정도, 여수지역 6월항쟁의 상징적인 장소, 여수 지역민들의 시위에 대한 반응, 6·29선언에 대한 반응, 기존 여수지역 6월항쟁 관련 기록 중 오류 점검, 공권력의 시위 진압 방식, 1987년 6월 말 여수지역 시위 상황, 6월항쟁이 여수지역에 미친 영향, 6월항쟁이 여순사건의 그늘에서 벗어나게 해줌, 향후 민주화운동의 방향에 대한 발언.
-
조이권
부친의 밥상머리 정견과 ‘5·18’의 경험, 한국외국어대학 자퇴와 전남대학교 학생운동 가담, 1984년 학원자율화조치 이후 전대 학생운동 상황, 학생운동 역량의 확대와 연대활동, 1987년 상반기 전남대 운동세력의 정국상황에 대응 양상, 1987년 6월항쟁에 대한 전남대 운동세력의 인식, 6월항쟁 기간 전대 운동세력의 정세 인식과 활동, 전남대 학생 세력의 조직적 시위와 계엄령에 대한 대응, 6월항쟁 기간 광주시민의 시위 참여 양상과 특성, ‘6·29선언’에 대한 인식과 대응, 6월항쟁 이후 학생운동의 동향, 전남대 학생운동사에서 6월항쟁이 갖는 의미, 6월항쟁 이후의 삶과 광주전남지역 사회운동에 대한 견해
-
최병상
크리스챤아카데미 교육을 받음, 70년대 말 무안지역 농민운동의 주요 사건들, 기독교와 농민운동간의 밀접한 관계, 농활을 통한 농민과 대학의 연계, 6월항쟁 이후 수세투쟁을 통해 농민들의 사회운동이 활발해짐, 농민을 대상으로 한 이론 교육과 무안지역의 대표적인 농민운동가들, 광주의 6월항쟁에 참가, 무안지역 경찰들의 대응, 6월항쟁 이후 대표적인 농민운동으로 수세싸움, 고추싸움 등을 함, 5·18광주민주화운동이 6월항쟁에 미친 영향, 국민운동전남본부의 해체 과정, 운동세력들의 정치권으로의 포섭에 대한 비판, 6월항쟁의 의의와 분단문제
-
최평지
구술자의 가족 관계 및 성장과정, 사회운동에 참여하게 된 계기, 6월항쟁 이전의 활동들, 5.18민주화운동의 경험, 농민운동 활동 및 전남사회운동협의회 조직, 1980년 이후 5.18진상규명 투쟁과 이후 6월항쟁과의 관계, 1986년 직선제 개헌 추진 현판식 개최와 대중 집회, 1987년 박종철고문치사사건 이후 광주전남지역의 투쟁, 4.13 호헌조치 이후 공동전선 조직에 대한 필요성 대두, 1987년 5월 18일 5월투쟁과 함께 국민운동전남본부 발족, 6월항쟁 당시 광주-전남-전국 단위의 네트워크 형성과 구성원들, 6월항쟁 당시 광주지역만의 분위기와 시민들의 시위 참여, 6월항쟁의 성과와 한계, 6월항쟁 이후 운동 세력의 분화, 6월항쟁이 미완의 역사인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