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컬렉션
구술컬렉션
재야운동
-
강기훈
성장과정과 대학시절, 민정당정치연수원 점거 투쟁으로 구속 그리고 재판 , 감옥 생활과 감옥에서 들은 6월항쟁 그리고 석방 즈음의 에피소드, 석방 이후 민중의 당 소속으로 치른 87년 대선과 88년 경남 남해 하동에서 선거운동하던 일, 이후 안양에서 노동운동 준비, 전민련에 들어오게 된 사연, 분신정국과 김기설 씨 분신 즈음 강기훈 씨의 행적 그리고 김기설 씨와 처음 만났을 때 회고
-
강신석
출생과 가정 배경, 한신대 생활, 목회활동과 민주회복국민회의 무안지회 결성, 농민선교회 활동, 광주 양림동 반유신선언 사건, 도피와 수감생활, 5.18 체험과 도피, 자수와 조사과정, 상무대 영창생활, 석방 후 5.18피해자 지원활동과 구속자가족 모임 결성, 5.18기념재단 이사장 활동과 5.18특별법 제정 투쟁, 5.18특별재판, 윤한봉 도피생활 지원, 민주화운동에 관한 소감
-
강신옥
일제강점기 유년시절과 가정환경, 한국전쟁으로 영주에서 중고등학교를 다니게 된 사정, 고등학교 시절 링컨 전기를 읽고 법조인이 되기로 결심하게 되는 과정, 서울대 법대 입학 후 사법고시, 행정고시 합격과 병역, 검사 시보를 거쳐 판사 시보로 있던 중 부당한 인사에 항의하여 사표 제출, 1960년대 통혁당 사건부터 민청학련 사건까지의 변호사 생활, 민청학련 이후 시국사건 변호를 못하게 된 속사정, 10.26 사건 변호를 맡게 된 과정과 김재규 항소심 변호, 1980년대 시국사건 변호사로 활동, 정법회, 민변 활동과 국회의원 시절, 5공비리 청문회, 김구 선생 암살진상조사위원회
-
강희남
출생과 학업과정, 목회자로서 생활과 일제시대 풍경, 한국신학대학(조선신학교) 입학, 한국전쟁과 교편생활, 교역생활의 시작, 5.16 이후 박정희에 대한 정보, 77년 연설 후 구속사건, 10.26 전후 상황, 카터방한 상황, 해방전후사에 대한 인식, 범민족대회 경험담, 80년 민주화의 봄, 83년 민통련 결성 논의, 87년 선거와 재야의 분열, 89년 전민련 창립, 한국기독교농민회 이사장 활동, 1986년 전북대 강연 후 구속과 옥중단식, 이석규 노동열사 장례식
-
고은
학창시절 친일파교장 배척, 자유실천문인협의회 결성과 활동, 국민연합 결성과정, YH사건, 문학인 101인 선언문 작성, 민주회복국민회의 가담 경위와 활동, 김대중내란음모사건의 경위와 감옥에서의 상황, 1980년대 초반의 상황과 심정
-
권영길
출생과 유년시절, 6·25와 아버님의 빨치산 활동, 남부민초등학교 시절, 경남중학교 시절, 경남고등학교 시절, 서울농대 입학, 군 입대, 대한일보 기자 생활과 결혼, 비밀 조직과 박정희 제거 계획, 서울신문사 입사와 박정희 정권 시기의 언론 상황, 문세광 저격 사건, 프랑스 유학 시절, 파리 특파원 생활과 프랑스의 복지 시스템, 서울신문 노조 창립과 언론노련 위원장 활동, ILO 공대위, 전노대, 업종회의 활동, ILO 총회 참석, 전국기관사협의회 투쟁과 도피 생활, 재판 과정과 석방, 민주노총에 대한 비판과 답변, 노학 연대와 분신 정국, 민주노총의 총파업, 총파업의 승리와 세계 노동계의 평가, 97년 대선 출마의 과정, 국민승리21 결성과 97년 대선, 민주노동당 창당, 2002년 대선 출마, 민주노동당의 원내 진출, 일심회 사건, 2007년 대선 출마와 분당 사태, 2007년 대선과 진보신당 창당, 진보정당 대통합과 통합진보당 창당, 통합진보당의 분열과 이석기 내란 음모 사건, 경남도지사 출마, 지난 삶과 현 시국에 대한 소회
-
권오헌
출생과 성장과정, 8.15해방 직후의 사회상, 어려운 가정형편과 좌절된 중학교 진학, 6.25전쟁 전후 독학하고 사회운동에 투신, 군대 내에서도 정의감 때문에 지하조직을 만들고 영어공부를 한 이야기, 통일사회당 문화국장으로 활동한 이야기, 민주회복국민회의 결성과정, 앰네스티 한국지부 결성과정, 남조선민족해방전선[남민전]준비위원회 가입 과정, 남민전 조직생활 및 체포, 남영동 대공분실에서의 고문, 3년 4개월 옥고 치르고 만기 출소, 남민전사건의 개요 및 평가, 만기출소 후 구속자 가족과 동료들의 석방운동, 민가협양심수후원회를 만들어 비전향장기수 전원석방 및 송환, 2000년 평양 초청방문, 각종 사회민주화운동과 반전평화운동, 범민련남측본부 결성 과정에서 겪은 탄압, 6.15공동선언 이후 수차에 걸친 평양과 금강산방문, 남북 및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전망, 지나온 삶에 대한 회고와 앞으로의 각오
-
권호경
성장과정, 도시빈민연구소의 설립과 활동, 필리핀 훈련 이야기, 시청 앞 시위사건과 광주대단지 사건, 수도권 조직 이야기, 청계천 답십리센터 이야기, 부활절연합예배 사건, 선교자금 횡령 사건, 긴급조치 폐지 성명서 사건, 도시산업선교연합회 등 수도권 이야기, 민중교회, CO 운동정신과 교회
-
김병상
성장과정과 가족사, 소신학교 생활,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결성과 활동, 민주화운동에 참여하는데 영향을 준 메리놀선교회 성직자들, 인천교구 천주교정의평화위원회 활동, 유신헌법철폐기도회사건, 구국사제단사건(대건회사건)과 박정희 대통령의 죽음과 유신의 종말에 대한 소회,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활동과 1980년대 민주화운동 관련 활동, 목요회 활동과 주한교황청대사달걀세례사건
-
김상근
일제 강점기 군산항의 미곡 반출 과정의 경험, 해방 후 백범 김구 선생의 무릎 위에 앉았던 경험, 한독당 간부였던 아버지의 정치적 지도력에 대한 존경심, 공과대학을 중퇴하고 한국신학대학에 입학하게 되는 과정, 4.19 때의 시위 경험과 학생회 총무로 활동하며 학생운동을 경험, 5.16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을 정리한 논문을 박정희에게 보냄, 6.3사태 때 김재준 선생의 가두시위와 그 실무를 맡게 된 이야기, 80년대 민주화운동의 선봉 역할을 해온 기독교운동, 시청료거부, CBS정상화, 선거보도감시 등의 언론운동, 6월항쟁 등의 민주화운동 지원금 마련과정, 투옥 경험이 없는 이유와 중단될 수 없는 투쟁, 후보단일화 실패후유증,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창립과정,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등에서의 활동과 최근 활동
-
김상근
출생과 유년 시절, 부친의 신앙생활과 사회활동, 6·25전쟁과 피난의 경험, 부친의 피살, 한신대 입학, 4·19와 5·16의 경험, 연합신학대학 졸업, 수도교회에서 목회, 유신, NCC 목요기도회, 인권위원회, 5·17쿠데타와 5·18의 경험, 기장총무활동, 6월항쟁, 87년 대선, 88년 총선, 통일문제, 김대중 정부하의 활동, 소회와 전망
-
김상범
가족관계, 성장과정, 고교시기 독서 및 4.19시위 계획, 군생활, 장일순 면회, 진광중 취업, 재해대책위 활동, 부락사업 방식, 부락사업을 통한 민주주의 훈련, 부락사업의 기본 방식, 가톨릭농민회원의 확보, 가톨릭농민회 강원도연합회의 결성과 활동 및 투쟁, 가톨릭농민회 구성원 성격, 제2차 바티칸공의회 문건학습, 원주보고서에 대한 소회 및 탄생과정, 원주지역 내에 역할분담 과정, 사회개발위 퇴사, 지학순 주교, 김지하 시인과의 만남과 에피소드, 무위당 장일순과의 만남과 에피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