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컬렉션
구술컬렉션
1970년대 민주화운동
-
고호석
성장과정과 아버지, 교우관계, 양서협동조합과 도깨비집, 78년 7월 반유신페인팅 사건, 학내 운동권의 분위기, 10월 16일 부마항쟁 발발, 상황, 부마항쟁 이후 학생운동의 분위기, 부림사건, 고문과 투옥생활, 기독교인권위원회, 기독교청년연합회, 부산민주시민협의회, 한국공해문제연구소 부산지회, 6월항쟁과 국민운동본부, 전교조 활동
하이라이트 내용: 1979년 부마항쟁에 참여하게 되는 과정
-
김균식
- 출생과 가정환경, 민주화운동 참여와 가족사
- 대구‧경북 민주화운동 정리의 미흡과 계명대 상황, 1977년 계명대 입학, 박명규를 비롯 여러 인물을 만남
- 1970년대 중반, 계명대 학생운동, 1970년대 계명대 학생운동의 주요 인물과 인맥
- 1978년 9월 대구양서이용협동조합 창립에 참여
- 1970년대 후반기 대구‧경북 대학들의 연계, 1970년대 후반기 계명대 학생운동
- 1979년 대구‧경북 학생운동, 1979년대 9월 4일 계명대에서만 시위 성공
- 1979년 말부터 1980년 2월까지 도피 생활
- 1979년 10월 부마민주항쟁에 참여, 울산‧원주 등으로 도피
- 1980년 민주화의 봄 국면 계명대 상황
- 1979년 9월 4일 시위의 피해, 1980년 5월 계명대의 민주화운동
- 1980년 5월 대구‧경북 각 대학의 피해, 1980년 5월 계명대의 시위
- 1980년 5월 50사단으로 연행, 1980년 5월 14일 계명대의 시위와 참여자 연행, 조사
- 1983년부터 노동운동을 준비
- 1985년 경북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결성에 참여
- 1986년 4월 5일 신민당 대구 개헌 현판식
- 1987년 대구 6월항쟁, 1980년대 후반 이후 대구에서의 민주화운동
- 1970년대 후반기 대구‧경북 민주화운동에 대한 평가
-
김상곤
어린시절 성장과정, 대학교 써클(후사연) 활동, 교련철폐운동, 민주수호운동 활동, 87년 민주화 시국 선언, 민교협 활동
-
김승균김승균은 4.19혁명에서부터 남북교류운동에 이르기까지 반독재투쟁과 통일운동에 진력한 대표적 인물이다. 《사상계》 책임편집인 시절 5.16쿠데타 9주년을 맞이하여 박정희 정권의 부패상을 고발하고자, 당시 동빙고동 ‘도둑촌’이라 불리던 곳을 소재로 한 《사상계》 5월호의 권두시를 쓰도록 김지하에게 청탁한 것이 담시 ‘오적(五賊)’이 탄생하게 된 경위였다.
구술자는 ‘오적(五賊)’이 실린 《사상계》가 3일 만에 매진되고, 야당기관지 《민주전선》에 실려 20만 부기 발간되어 큰 파문이 일자 박정희 정권이 탄압하고 사건이 수습되는 과정을 소상히 진술하였다. 또한 《사상계》가 폐간되기 전 《조선일보》가 인수하려 했다는 사실도 밝혔다. 또한 《민주전선》에 실린 ‘오적(五賊)’에서는 박정희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군 ‘장성’을 뺀 ‘4적(四賊)’이었다는 것과 김지하의 처음 원고에는 ‘오적(五賊)’을 고발한 ‘꾀수’가 잡혀가는 것으로 끝났는데, 구술자가 지적하여 ‘오적(五賊)’이 벼락 맞아 죽는 것으로 끝나게 했다는 대목은 이번 구술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구술자는 ‘오적(五賊)’사건 이외에도 민주수호국민협의회와 민주수호청년협의회의 창설 등 민주화 투쟁에 관한 증언을 남겼다.
-
김재규
구술자의 출생에서부터 성장과정, 부산대학교 학생운동, 부마항쟁, 5·18항쟁, 6월항쟁 등과 재야활동 및 정당활동 경험
-
김희욱
출생과 가족관계, 학창시절, 양서협동조합, 부림사건, 영락교회사건, YMCA활동, 부마항쟁기념사업회 조직, 저서와 출판, 민주화운동에 대한 감회
하이라이트 내용:
-
노재열
출생에서부터 성장과정, 부산대학교 학생운동, 부마항쟁, 5·18항쟁, 6월항쟁, 7,8월 노동자대투쟁 등과 이후 노동운동 경험
-
목영주
- 용인에서 출생, 가족사, 고향과 가족에 대한 회고
- 한국전쟁기의 고충, 중학교 졸업, 한국전쟁기 피난
- 아버지의 대한중석 취업, 중학교 졸업 후 상경
- 제일제약주식회사 취업
- 친구 소개로 휘문출판사 입사
- 함석헌,이희승 강연을 듣고 영향을 받음
- 전남, 강원도와의 인연
- 천주교 입문, 명경회
- 강릉신협 참여, 강릉신협 이사로 합류, 활동 사항
- 원주와 강릉의 천주교와 사제, 신자의 활동, 강릉의 재야인사, 종교계 인사
- 유신 후반기 강릉의 상황, 김지하와의 만남
- 강원도의 민청학련, 1970년대 후반 강릉의 정서
- 강릉에서의 가톨릭농민회
- 1979년 6월 29일 함석헌 자택 방문, 함석헌의 강릉 강연
- 1980년대 강릉의 상황, 민주화의 봄 국면 강릉, 강릉의 6월항쟁
-
박명규
- 출생과 가정 환경, 영향을 준 인물
- 대구농림고등학교, 고등학교 졸업 후 농사를 짓다가, 1973년 경북대학교 입학
- 1973년 경북대 민주화운동의 지형, 1974년, 군 복무하는 동안에 민청학련 사건으로 경북대 학생운동 충격
- 한국풍토연구회(한풍회)와 1970년대 경북대 민주화운동의 주요 인물
- 1973년 12월 2일, 경북대 시위, 1970년대 경북대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여학생들
- 1974년 군 복무를 하게 된 경위, 1975년 4월 10일 시위로 구속, 1977년 계명대 입학
- 대구양서이용협동조합 설립과 한양서점 인수, 메아리야학 설립 및 운영 지원
- 1977년에서 1979년까지 계명대의 상황과 민주화운동
- 대구양서이용협동조합 설립과 운영에 관한 숨겨진 얘기
- 1970년대 후반기, 대구‧경북의 학생운동 상황
- 1970년대 후반기 기독교 학생운동, 대구양서이용협동조합의 운영과 해산
- 가족의 희생과 지원, 1980년대 전반기 대구의 민주화운동
- 1979년 9월 4일, 대구‧경북 대학생 연합시위, 1979년 10월 25일, 계명대 유신 반대 시위, 1979년 11월 5일, 대공분실 연행
- 1980년 민주화의 봄 국면 계명대, 5‧18민주화운동 국면의 대구
- 1980년대 전반기의 상황, 1980년 군사 재판, 1980년대 후반기의 활동
- 결혼식에 담긴 사연, 1980년대 민주화운동 후원, 농민운동
-
박종훈
- 삼례에서 출생, 부모님이 상업에 종사하여 경제적으로 윤택
- 일제강점기 일본 삿포로 미쓰비시 탄광에서 일한 아버지, 겨울에 탈출, 아버지는 광복되고 1년 후 삼례로 돌아와 냉동기 사업
- 삼례에서 초등학교 3학년을 마치고 전주로 전학하여 학업
-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 전북의 1970년대 민주화운동
- 1974년 전북대 원예학과 입학, 1970년대 전반기 전주고 학생들의 항거
- 전북민주화운동의 주요 네트워크, 금강문고, 전북대는 민청학련과 거의 무관
- 1970년대 중반 전북대 민주화운동
- 사회과학 공부와 민주화운동의 인맥, 공부한 사회과학 서적과 영향
- 휴학했다가 1976년에 복학하여 KSCF 그룹과 연계
- 1977년 4월 전북대 유인물 배포사건, 1977년 4월 전북대 유인물 배포 사건을 둘러싼 견해차, 1977년 4월 전북대 유인물 배포 사건의 파장
- 전북대 학생운동 그룹 형성과 활동
- 1978년 학적 변동으로 강제 입영, 1978년 8월 기독교청년회 전국청년교육대회 기간에 첫 휴가
- 1976년 8월 목포에서 개최된 기독교청년회 전국청년교육대회 참석, 1978년 8월 기독교청년회 전국청년교육대회에서 거리 시위 성사
- 1978년 8월 기독교청년회 전국청년교육대회 거리 시위 관련 연행, 하루 만에 1심을 마치고
- 육군교도소, 안양교도소에서 옥살이, 교도소 인권 투쟁, 1979년 12월 5일 석방, 옥살이하던 시기의 전북대 학생운동
- 1980년 민주화의 봄 국면 전북대 상황, 1980년 5월 전북대 이세종 사망
- 전북대 농성 학생들은 남녀를 가리지 않고 35사단 헌병대 영창에 수감
- 1980년 5월 17일 자정, 계엄군의 전북대 진입 전후 상황, 1980년 5월 이후의 도피 생활
- 전북대 의대 학생들의 시위, 광주로 이송, 상무대 영창 수감, 1981년 3월 1일 특사로 석방
- 1986년 5월 전주 개헌현판식 사건, 1987년에 석방, 1981년 3월 석방 이후의 활동
- 1970년대 후반 전북지역 민주화운동에 대한 평가
-
변재관
출생에서부터 성장과정, 동아대학교 학생운동, 부마항쟁, 학원민주화투쟁, 6월항쟁, 7,8월 노동자대투쟁 등과 이후 노동운동 경험
-
성락철
- 원주의 지역적 특성과 가족사, 한국전쟁기 함경도에서 월남한 부모님
- 진보당, 장일순, 원주의 천주교
- 가족의 생활과 경제, 경제적으로 힘겨운 상태에서 학업
- 가족이 두부로 생계를 잇게 된 경위, 또래에 비해 진학이 늦어진 이유
- 1974년 강원대 농화학과 진학, 민청학련과 최열, 민주화운동에 관심
- 거멀못과 인연, 거멀못의 공부
- 1975∼1976년 원주에서 군 복무, 1977년 강원대 복학
- 1970년대 후반기 원주에 머물던 민주화운동 관련자들
- 1977년 거멀못의 강원대 공개 동아리 언어문화연구회
- 1977년 큰 걸음 서점, 1970년대 후반기 강원도의 상황과 민주화운동
- 민주화운동에 본격적으로 참여, 구속
- 1979년 9월 3일 강원대 시위, 1980년 민주화의 봄 국면의 강원대, 1980년 3월 강원대 복학
- 학원민주화추진위원회 위원장, 지학순 주교가 설립한 원주 진광고의 특성
- 강원도의 공안 기구, 1980년 5월 예비검속으로 연행, 조사
- 1980년 5월 예비검속으로 연행되어 조사와 재판, 1980년 10월 석방과 이후의 활동
- 1980년대 중반 이후 강원도 민주화운동
- 1970년대 후반 강원도 민주화운동이 삶에 미친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