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청계피복노조 노동교실 탄압사건

1970년 11월 13일 전태일의 분신 (상세는 별항 전태일 분신 사건 참조)을 계기로 같은 해 11월 17일 결성된 전국연합노조 청계피복지부는 최초의 민주노조로 노동시간 단축, 임금 인상, 작업환경 개선 등 노동조건 개선 투쟁을 벌이는 한편, 인간다운 삶을 요구하는 노동자들의 투쟁에 적극적으로 공동투쟁하는 민주노조의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러나 전태일의 어머니 이소선이 청계피복노조와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 활동하다 구속되었던 장기표의 공판정에서 항의를 했다는 이유로 1977년 7월 19일 구속되었다. 그리고 평화시장의 노동자들을 교육시키고 피복 노동자들의 권익 옹호를 위한 활동을 해왔던 청계 노동교실을 강제로 폐쇄하였다. 이에 강력히 항의하기 위해 7월 29일 ‘평화시장사건 대책위원회’가 결성되었다. ‘평화시장사건 대책위원회’는 「결의문」을 발표하여 이소선 석방과 노동교실 폐쇄 중지, 노조 탄압 중지 등을 요구하였다. 9월 3일 검찰은 이소선에게 징역 3년을 구형하고, 건물주를 통해 노동교실 사무실 해약을 통고했다. 이에 노동자들은 9월 8일 「결사선언」이라는 격문을 발표하고 어머니 즉각 석방, 폭력 경찰 처단, 노동 탄압 중지와 노동3권 반환 등을 요구하면서 격렬히 투쟁했다. 9월 9일 노동자 200여 명은 노동교실 부근에 모여서 경찰의 제지를 뚫고 노동교실을 점거하고 농성에 돌입했다.

노동자들은 농성을 벌이는 과정에서 기동 경찰과 혈투를 벌였다. 경찰이 교실 입구까지 쳐들어오자 이에 대항하다 민종덕이 3층에서 뛰어내려 척추가 부러지는 중상을 입었고, 신승철은 유리칼로 두 번이나 배를 그어 할복을 기도하였으며, 박해창도 유리조각으로 팔의 동맥을 끊어 방안에는 피가 낭자하였다. 전태일의 여동생 전순옥과 임미경도 투신을 기도했다. 노동자들은 교실을 사수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다. ‘9·9결사투쟁’으로 불리는 이 사태로 이소선 석방과 이날의 사태에 대한 어떤 법적 제재도 하지 않겠다는 경찰의 약속을 받고 농성을 풀었으나, 그 즉시 53명 모두 연행되어 5명은 구속, 9명은 구류 15일을 받았다.

청계노조의 목숨을 건 결사 항쟁은 교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9월 20일 신구교의 목사와 신부 등 15명의 지도급 인사들은 “9월 9일의 청계천 사건은 현 정권이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존재하며, 어떻게 지탱해나가는가를 백일하에 노정한 사건”이라면서, 정부의 반민중적 노선에 반대하는 범국민적 결의를 단호히 표명하자고 선언했다. 이어 9월 22일에는 기장청년회서울연합회가 주최하는 청계천 근로자를 위한 기도회가 서울제일교회에서 열린 후 철야농성하려는 학생·청년들과 이를 강제해산시키려는 경찰 사이에 충돌이 있었다. 이날 발표된 선언문에서 기독 청년들은 노동자들과 민주화를 위해 투쟁하는 지식인 세력 간의 연대 강화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기구적 배경과 사회적 명망, 재정 능력이 있는 한국 교회는 눌린 자들의 투쟁에 동참하자고 요구하였다.

10월 25일 평화시장노동자인권문제협의회가 결성되었다. 대표위원에 함석헌·윤보선·천관우·지학순·박형규 등 5인을 선출하고, 각계각층의 20명으로 실행위원회를 구성하였다. 11월 1일 성명서를 통하여 ① 이소선 즉각 석방 ② 구속된 5명의 평화시장 노동자 석방 ③ 구타·폭행과 고문 및 위협 중지 ④ 국가보안법 폐지 등을 주장하였다. 또한 고 전태일의 7주기 추도식을 기해 “이제 근로자들은 더 이상 침묵으로만 굴욕을 삼킬 수는 없다. 경제성장의 미명 아래 온갖 비인간적인 수모를 감내해온 근로자들은 더 이상 특권층만을 위한 정치에 인종하지 않을 것이다” 라고 선언하면서, 날로 심해져가는 정부 당국의 노동 탄압은 결과적으로 수많은 지식인·학생·민주인사들로 하여금 노동자들의 아픔에 참여하게 했음을 상기시키고 단결할 것을 천명했다. 이어서 12월 23일 평화시장 노동자를 위한 기도회를 기독교회관 강당에서 개최하고, 600만 노동자는 단결하여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을 가로막는 억압 정치 및 특권 경제 폐지를 위한 투쟁에 궐기할 것을 호소하는 내용의 「한국노동인권헌장」을 채택·발표했다. 하지만 ‘9·9결사투쟁’을 전후한 이소선 구속과 노조지도부의 검거 및 도피로 청계피복노조의 조직력은 약화되었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서중석 저,『한국현대사 60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 1』

사료소개

‘청계피복노조’ 관련 100여 건의 사료 중 사건 관련 사료 총 5건, ‘노동교실’ 조건으로 총 10건, ‘이소선’ 조건으로 총 126건 중 사건 전후 사료 총 25건, ‘장기표’ 조건으로 총170여 건 중 관련사료 7건, ‘민종덕’ 조건으로 총 22건 중 관련사료 2건, ‘평화시장’ 조건으로 총 94건 중 관련사료 38건, ‘한국노동인권헌장’ 조건으로 총 1건이 검색되었다. 평화시장사건대핵위원회 명의의 <어머니와 노동교실을 찾자> (등록번호 : 443635), 평화시장근로자인권문제협의회 명의의 성명서 <성명서 [노동운동 탄압, 노동교실 탄압 반대, 이소선 여사 비롯한 구속자 석방 등]> (등록번호 : 91838), 평화시장노동자일동 명의의 <(청계피복노조의) 9.9 결사선언>(등록번호 : 484352), 한국기독교장로회청년회산업분과의 <9.9결사투쟁사건경위보고서[청계피복노조]> (등록번호 : 105256), 기장청년전국연합회의 성명 <(청계피복노조의 9.9결사 투쟁사건에 대한)우리의 입장>(등록번호 : 484671), 청계피복지부의 <십자가를 가지고 있다고 몽둥이로 전신을 구타 곪은 상처 자리를 바늘로 후벼파기도-평화시장 노동자들의 고문 사례 보고> (등록번호 : 484339), 평화시장사건대책협의회참가자일동 명의의 <[평화시장 사건 관련]결의문> (등록번호 : 419742), 중부경찰서가 작성한 <진정서 회신[수신:평화시장사건대책위원회위원장 정인숙, 발신: 중부경찰서장]> (등록번호 : 484333), 윤보선,김수환,함석헌,윤공희,지학순,나길모,김재덕,경갑용,박정일,최재선,최세구,김관석,박형규,조남기,안병무 공동명의의 <국민에게 드리는 글 - 청계피복지부 노동조합 탄압에 붙여> (등록번호 : 528466), 린다 존스 여사가 기증한 Monday Night Group(월요모임)의 <[Fact Sheet 38]The Peace Market>(등록번호 : 512013), 한국문제일본기독교긴급회의가 기증한 평화시장 노동자를 비롯한 6백만 노동자 일동 명의의 <6白ち勞動者の母 李ソスン女史を釋放せよ> (등록번호 : 59961), 사회선교협의회의 <평화시장 이야기> (등록번호 : 94680), 근로자대표(청계피복지부), 한국사회선교협의회 명의의 <전태일 어머니(이소선)은 왜 연행 되었는가?> (등록번호 : 419719), <민중의 소리 작가 장기표씨 긴급조치위반 반공법위반 등 항소심 공판기록> (등록번호 : 120439), 장기표 최후진술 <1심 결심공판에서 피고인이 한 최후진술> (등록번호 : 484619), 민종배,민종호,민종덕 공동명의의 <협신피혁 민종진씨 유가족의 호소문> (등록번호 : 528540) 등의 문서사료와 David Satterwhite의 박물류 <청계피복노조구속자돕기모금 손수건> (등록번호 : 582008)가 있다. 음성사료로는 <장기표씨 공판 녹음> (등록번호 : 175861), 사진사료는 사건과 직접 관련된 것은 없고 <개관한 새마을 노동교실에서 기타연주에 맞춰 노래하는 청계피복노조 여성근로자들 모습> (등록번호 :736558 ) 등 경향신문사가 생산한 청계피복노조의 노동교실 개소식 사진이 몇 건 존재한다.

청계피복노조 노동교실 탄압사건

1970년 11월 13일 전태일의 분신 (상세는 별항 전태일 분신 사건 참조)을 계기로 같은 해 11월 17일 결성된 전국연합노조 청계피복지부는 최초의 민주노조로 노동시간 단축, 임금 인상, 작업환경 개선 등 노동조건 개선 투쟁을 벌이는 한편, 인간다운 삶을 요구하는 노동자들의 투쟁에 적극적으로 공동투쟁하는 민주노조의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러나 전태일의 어머니 이소선이 청계피복노조와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 활동하다 구속되었던 장기표의 공판정에서 항의를 했다는 이유로 1977년 7월 19일 구속되었다. 그리고 평화시장의 노동자들을 교육시키고 피복 노동자들의 권익 옹호를 위한 활동을 해왔던 청계 노동교실을 강제로 폐쇄하였다. 이에 강력히 항의하기 위해 7월 29일 ‘평화시장사건 대책위원회’가 결성되었다. ‘평화시장사건 대책위원회’는 「결의문」을 발표하여 이소선 석방과 노동교실 폐쇄 중지, 노조 탄압 중지 등을 요구하였다. 9월 3일 검찰은 이소선에게 징역 3년을 구형하고, 건물주를 통해 노동교실 사무실 해약을 통고했다. 이에 노동자들은 9월 8일 「결사선언」이라는 격문을 발표하고 어머니 즉각 석방, 폭력 경찰 처단, 노동 탄압 중지와 노동3권 반환 등을 요구하면서 격렬히 투쟁했다. 9월 9일 노동자 200여 명은 노동교실 부근에 모여서 경찰의 제지를 뚫고 노동교실을 점거하고 농성에 돌입했다.

노동자들은 농성을 벌이는 과정에서 기동 경찰과 혈투를 벌였다. 경찰이 교실 입구까지 쳐들어오자 이에 대항하다 민종덕이 3층에서 뛰어내려 척추가 부러지는 중상을 입었고, 신승철은 유리칼로 두 번이나 배를 그어 할복을 기도하였으며, 박해창도 유리조각으로 팔의 동맥을 끊어 방안에는 피가 낭자하였다. 전태일의 여동생 전순옥과 임미경도 투신을 기도했다. 노동자들은 교실을 사수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다. ‘9·9결사투쟁’으로 불리는 이 사태로 이소선 석방과 이날의 사태에 대한 어떤 법적 제재도 하지 않겠다는 경찰의 약속을 받고 농성을 풀었으나, 그 즉시 53명 모두 연행되어 5명은 구속, 9명은 구류 15일을 받았다.

청계노조의 목숨을 건 결사 항쟁은 교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9월 20일 신구교의 목사와 신부 등 15명의 지도급 인사들은 “9월 9일의 청계천 사건은 현 정권이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존재하며, 어떻게 지탱해나가는가를 백일하에 노정한 사건”이라면서, 정부의 반민중적 노선에 반대하는 범국민적 결의를 단호히 표명하자고 선언했다. 이어 9월 22일에는 기장청년회서울연합회가 주최하는 청계천 근로자를 위한 기도회가 서울제일교회에서 열린 후 철야농성하려는 학생·청년들과 이를 강제해산시키려는 경찰 사이에 충돌이 있었다. 이날 발표된 선언문에서 기독 청년들은 노동자들과 민주화를 위해 투쟁하는 지식인 세력 간의 연대 강화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기구적 배경과 사회적 명망, 재정 능력이 있는 한국 교회는 눌린 자들의 투쟁에 동참하자고 요구하였다.

10월 25일 평화시장노동자인권문제협의회가 결성되었다. 대표위원에 함석헌·윤보선·천관우·지학순·박형규 등 5인을 선출하고, 각계각층의 20명으로 실행위원회를 구성하였다. 11월 1일 성명서를 통하여 ① 이소선 즉각 석방 ② 구속된 5명의 평화시장 노동자 석방 ③ 구타·폭행과 고문 및 위협 중지 ④ 국가보안법 폐지 등을 주장하였다. 또한 고 전태일의 7주기 추도식을 기해 “이제 근로자들은 더 이상 침묵으로만 굴욕을 삼킬 수는 없다. 경제성장의 미명 아래 온갖 비인간적인 수모를 감내해온 근로자들은 더 이상 특권층만을 위한 정치에 인종하지 않을 것이다” 라고 선언하면서, 날로 심해져가는 정부 당국의 노동 탄압은 결과적으로 수많은 지식인·학생·민주인사들로 하여금 노동자들의 아픔에 참여하게 했음을 상기시키고 단결할 것을 천명했다. 이어서 12월 23일 평화시장 노동자를 위한 기도회를 기독교회관 강당에서 개최하고, 600만 노동자는 단결하여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을 가로막는 억압 정치 및 특권 경제 폐지를 위한 투쟁에 궐기할 것을 호소하는 내용의 「한국노동인권헌장」을 채택·발표했다. 하지만 ‘9·9결사투쟁’을 전후한 이소선 구속과 노조지도부의 검거 및 도피로 청계피복노조의 조직력은 약화되었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서중석 저,『한국현대사 60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 1』

사료소개

‘청계피복노조’ 관련 100여 건의 사료 중 사건 관련 사료 총 5건, ‘노동교실’ 조건으로 총 10건, ‘이소선’ 조건으로 총 126건 중 사건 전후 사료 총 25건, ‘장기표’ 조건으로 총170여 건 중 관련사료 7건, ‘민종덕’ 조건으로 총 22건 중 관련사료 2건, ‘평화시장’ 조건으로 총 94건 중 관련사료 38건, ‘한국노동인권헌장’ 조건으로 총 1건이 검색되었다. 평화시장사건대핵위원회 명의의 <어머니와 노동교실을 찾자> (등록번호 : 443635), 평화시장근로자인권문제협의회 명의의 성명서 <성명서 [노동운동 탄압, 노동교실 탄압 반대, 이소선 여사 비롯한 구속자 석방 등]> (등록번호 : 91838), 평화시장노동자일동 명의의 <(청계피복노조의) 9.9 결사선언>(등록번호 : 484352), 한국기독교장로회청년회산업분과의 <9.9결사투쟁사건경위보고서[청계피복노조]> (등록번호 : 105256), 기장청년전국연합회의 성명 <(청계피복노조의 9.9결사 투쟁사건에 대한)우리의 입장>(등록번호 : 484671), 청계피복지부의 <십자가를 가지고 있다고 몽둥이로 전신을 구타 곪은 상처 자리를 바늘로 후벼파기도-평화시장 노동자들의 고문 사례 보고> (등록번호 : 484339), 평화시장사건대책협의회참가자일동 명의의 <[평화시장 사건 관련]결의문> (등록번호 : 419742), 중부경찰서가 작성한 <진정서 회신[수신:평화시장사건대책위원회위원장 정인숙, 발신: 중부경찰서장]> (등록번호 : 484333), 윤보선,김수환,함석헌,윤공희,지학순,나길모,김재덕,경갑용,박정일,최재선,최세구,김관석,박형규,조남기,안병무 공동명의의 <국민에게 드리는 글 - 청계피복지부 노동조합 탄압에 붙여> (등록번호 : 528466), 린다 존스 여사가 기증한 Monday Night Group(월요모임)의 <[Fact Sheet 38]The Peace Market>(등록번호 : 512013), 한국문제일본기독교긴급회의가 기증한 평화시장 노동자를 비롯한 6백만 노동자 일동 명의의 <6白ち勞動者の母 李ソスン女史を釋放せよ> (등록번호 : 59961), 사회선교협의회의 <평화시장 이야기> (등록번호 : 94680), 근로자대표(청계피복지부), 한국사회선교협의회 명의의 <전태일 어머니(이소선)은 왜 연행 되었는가?> (등록번호 : 419719), <민중의 소리 작가 장기표씨 긴급조치위반 반공법위반 등 항소심 공판기록> (등록번호 : 120439), 장기표 최후진술 <1심 결심공판에서 피고인이 한 최후진술> (등록번호 : 484619), 민종배,민종호,민종덕 공동명의의 <협신피혁 민종진씨 유가족의 호소문> (등록번호 : 528540) 등의 문서사료와 David Satterwhite의 박물류 <청계피복노조구속자돕기모금 손수건> (등록번호 : 582008)가 있다. 음성사료로는 <장기표씨 공판 녹음> (등록번호 : 175861), 사진사료는 사건과 직접 관련된 것은 없고 <개관한 새마을 노동교실에서 기타연주에 맞춰 노래하는 청계피복노조 여성근로자들 모습> (등록번호 :736558 ) 등 경향신문사가 생산한 청계피복노조의 노동교실 개소식 사진이 몇 건 존재한다.

to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