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대별 분류
- 1960년대
-
1970년대
- 전태일분신
- 청계피복노동조합결성투쟁
- 민주수호국민협의회민주수호운동
- 광주대단지사건
- 국제앰네스티한국지부결성
- 김대중납치사건
- 최종길교수의문사사건
- 수도권특수지역선교위원회긴급조치위반사건
- 민청학련(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사건
- 제2차인혁당(인민혁명당)사건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발족
- 오글목사,시노트신부강제추방사건
- 조선일보ㆍ동아일보기자해직사태
- 서울대생김상진할복자살
- 장준하의문사사건
- 3ㆍ1민주구국선언사건(명동사건)
- 구속자가족협의회(구가협)
- 「민주구국헌장」사건
- 동일방직사건
- 함평고구마사건
- YH사건
- 민주청년인권협의회
- 「우리의교육지표」사건
- 크리스챤아카데미사건
- 안동교구가톨릭농민회사건(오원춘사건)
- YWCA위장결혼식사건
- 서울대생내란예비음모사건
- 자유실천문인협의회문학인101선언
- 인선사(삼고사)유령노조사건
- 병역문제대책위원회사건
- 청계피복노조노동교실탄압사건
- 카터방한반대시위
- 1970년대필화사건
- 1970년대언론탄압
-
1980년대
- 사북항쟁(사북광산노동자대투쟁)
- 김대중내란음모사건
- 원풍모방노조사수투쟁
- 전국민주학생연맹·전국민주노동자연맹사건(학림사건)
- 콘트롤데이타노동쟁의
-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
- 오송회사건
-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결성
-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결성
- 민중민주운동협의회
- 목동철거민투쟁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결성
- 대우자동차노조민주화및임금인상투쟁
- 구로동맹파업
- 민정당중앙정치연수원점거농성사건
-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 KBSTV시청료거부운동
- 개헌서명운동
- 박영진분신사건
- 김세진ㆍ이재호분신사건
- 5ㆍ3인천항쟁
- 서울노동운동연합사건
- 부천서성고문사건
- 전국반외세반독재애국학생투쟁연합(애학투련)결성식및건국대점거농성사건
- 7ㆍ8월노동자대투쟁
-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결성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결성
- 대우조선노조결성과이석규장례투쟁
- 민족문학작가회의창립
- 부정선거항의구로구청점거농성사건
-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창립
-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결성
- 강원탄광노동자성완희분신사건
-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결성
- 나라사랑청년회
- 전국노점상연합회결성
- 전국농민단체협의회결성
- 여의도농민시위
-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결성
- 이철규의문사사건
- 전국빈민연합결성
- 해고노동자블랙리스트철폐투쟁
- 대우어패럴노조탄압사건
- 민주화추진위원회(깃발사건)
- 민중교육지사건
- 삼민투사건
- 교육민주화선언
- 제헌의회그룹사건
- 말지(보도지침)사건
- 서울남부지역노동자동맹(남노련)사건
- 서총련(서울지역총학생회연합)결성
- 서울지역노동조합협의회결성
- 공해추방운동연합(공추련)결성
- 서울지하철노조파업
- 경동산업노조탄압과노동자집단분신
- 인천지역노동조합협의회(인노협)총파업투쟁
- 1980년대통일운동
- 1990년대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결성
1986년에 학생운동은 건대사건 (‘전국반외세반독재애국학생투쟁연합 결성식 및 건국대점거농성 사건’ 참조) 등에 대한 정부의 탄압으로 막대한 역량 손실과 함께 침체기를 맞았다. 1987년 들어 학생운동은 투쟁일변도의 오류로 국민과 학생들에게 지지 받지 못한 점을 반성하며, 반합법적인 투쟁위원회 중심에서 탈피하여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대중사업을 전개하는 방식으로 활동방식을 전환하였다. 학교간의 연대도 총학생회간의 연대로부터 출발하는 협의체를 구성하는 방향으로 정리되었다. 5월 8일 서울지역대학생대표자협의회(서대협) 발족을 시작으로 호남지역학생회연합(호남학련), 부산지역총학생회협의회(부총협) 등 지역별 학생연대조직(지구대협)이 만들어졌다. 이렇게 만들어진 지구대협은 6월민주항쟁 기간 동안 자기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7월 8일, 서대협은 이한열 장례식 및 전국 학생연대조직의 건설을 논의하기 위해 각 지역 총학생회장 연석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에서 전국 학생연대조직을 건설하기로 결의하였다. 그 후 몇 차례의 연석회의를 거쳐 8월 19일에 ‘구국의 강철대오’라 불리던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이하 전대협)를 결성하기로 하였다.
8월 18일, 충남대에서 전대협 창립총회가 열렸다. 서울·경기·충청·강원·영남·호남 등 전국 6개 지역 19개 지구별 대표들은 투표를 통해 이인영(고려대 총학생회장, 서대협 의장)을 전대협 의장으로 선출하였다. 8월 19일, 전국 95개 대학생 5,000여 명은 충남대에 모여 전대협 결성대회를 개최하였다. 전대협은 발족선언문에서 외세 배격, 독재 종식, 민주정부 수립, 조국의 평화통일, 민중 연대, 학문과 사상의 자유 쟁취 투쟁 등을 전개할 것임을 선언하였다. 87년 대통령선거를 맞아 전대협은 군부독재의 장기집권을 저지하고 민주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대선 투쟁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대통령 후보 문제를 둘러싼 입장의 차이는 전대협을 분열시켰고, 대선에서 광주민중항쟁의 책임자 중 하나인 노태우 후보가 당선됨으로써 좌절을 겪게 된다. 그러나 공정선거감시단 활동을 통한 선거 감시운동을 펼쳐 공정선거 감시 운동이라는 새 장을 열게 된다.
1988년 전대협 2기(의장 오영식, 고려대 총학생회장)는 내부 분열과 대선 패배의 오류를 반성하고 ‘조국통일투쟁’을 활기차게 전개하였다. 전대협은 북의 청년학생들에게 8월 15일 ‘남북학생회담’ 개최를 제안하였다. 6월 10일, 연세대에서 4.19 때 외쳤던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만나자! 판문점에서’를 외치며 남북청년학생실무회담 성사를 위해 판문점으로 가려 하였으나 정부 당국에 의해 무산되었다. 8월 15일, 제2차 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해 회담장소인 판문점으로 향한 학생들은 경찰이 물리력으로 막자 홍제동 거리에서 모두 누워 이른바 ‘연와(連臥)투쟁’을 벌였다. 전대협은 비록 회담의 성사에는 실패하였지만 통일운동을 진작시키는 데는 성공하였다. 1988년 하반기 전대협은 ‘광주학살 원흉, 부정비리 주범 전두환· 이순자 구속투쟁’을 전개하였다. 이렇듯 ‘남북청년학생회담 성사 투쟁’과 ‘전두환, 이순자 구속투쟁’은 2기 전대협의 주된 투쟁 방향이었다.
1989년 한 해는 공안정국이었다. 문익환 목사의 방북과 서경원 의원의 방북 등 굵직한 시국사건들이 계속되었다. 5월 11일 충남대에서 결성된 전대협 3기(의장 임종석, 한양대 총학생회장)는 명동성당에서 조선대생 이철규의 사인을 규명하기 위한 단식 투쟁을 벌여 공안합수부를 해체시키는 성과를 내왔다. 제 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이 평양에서 열리게 되자 전대협은 임수경을 평양에 파견하여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1990년 전대협 4기(의장 송갑석, 전남대 총학생회장)는 ‘자주 민주 통일투쟁의 총체적 전개, 민주대연합, 운동의 대중화’ 등으로 요약되는 노선에 따라 5월 9일 민자당 창당일에 맞춘 반민자당 궐기투쟁을 비롯,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동맹휴업 등 운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8월엔 ‘조국의 평화와 자주적 통일을 위한 학생추진위원회’ 발족식과 8월 15일 판문점 범민족대회 출정식 등 통일운동을 벌였다. 1991년 전대협 5기(의장 김종식, 한양대 총학생회장)가 주도한 ‘91년 5월투쟁’은 명지대학생 강경대가 경찰의 쇠파이프에 의해 사망한 사건으로 촉발되어 민자당 창당기념일을 맞아 전국 145개 대학의 동맹휴업과 전국에 걸친 30만 명의 가두시위로 절정을 이뤘다. 1992년 전대협 6기(의장 태재준, 서울대 총학생회장)는 ‘조국통일범민족청년학생연합(범청학련)’ 남측본부 결성과 범민족대회를 주도했다. 하지만 12월 18일의 대선을 앞두고 민중후보 추대와 범민주단일후보로 입장이 갈리기도 했다. 이후 전대협은 1993년 조직을 해소하고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으로 확대·재편되었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민주화운동관련 사건·단체 사전편찬을 위한 기초조사연구(1980년대)보고서』 한용 외, 청년사, 『80년대 한국사회와 학생운동』 강신철 외, 형성사, 『80년대 학생운동사』 전대협동우회, 두리, 『불패의 신화-전대협 이야기 6년사』
사료
- 사료 소개
- ‘전대협’ 조건으로 632건,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조건으로 447건이 검색되었다. 전대협 발족선언문(등록번호 : 221066)을 비롯하여, <전대협소식> 창간호(등록번호 : 169135), 2호(등록번호 : 169137), 3호(등록번호 : 116286), 4호(등록번호 : 485873), 5기 출범식 자료집(등록번호 : 126483), 제6기 전대협 출범식 자료(등록번호 : 011894), <구국의 강철대오 전대협>(전대협 6년사 사진집)(등록번호 : 430256) 등 문서, 사진, 음성물, 영상물이 다양하게 소장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