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YH사건

1966년 10여명의 사원으로 출발한 가발회사 YH무역은 가발 수출의 호경기와 정부의 수출 지원 정책에 힘입어 창립 4년 만인 1970년에 종업원 3,000명의 국내 최대 가발업체, 수출 순위 15위의 대기업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YH무역은 회사 창립자와 그 친인척이 경영하며 미국으로 외화를 도피시키기도 하였고, 노동자를 저임금으로 고용했을 뿐 아니라 불법 해고, 부당 전직 및 전출, 감봉 등의 행위를 자행했다.

회사의 처사에 견디다 못한 노동자들이 들고 일어났다. 1975년 3월 담당 감독의 독단적 인사이동 등 제반 문제로 건조반 200여 명의 노동자들이 작업을 거부하였고, 이를 계기로 5월 24일 전국섬유노조 YH지부를 결성했다. 이에 앞서 회사 측은 건조반 조장이었으며 YH노동조합 결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던 김경숙·박금순·이옥자·전정숙 등을 해고하였고, 최고참인 최순영에게 강원도 하청공장으로 출장 명령을 내렸다. 회사의 방해로 설립신고를 한 달 만에 겨우 마친 노동조합은 조직 강화 활동과 사내 질서 안정을 기한다는 취지로 대의원대회를 비롯한 기숙사 자치회 구성, 소그룹활동, 교육, 수련회 등을 가지며 회사와 지속적으로 노사협의를 시도했다. 노조는 1975년 12월 50%의 상여금 지급을 성취하는 성과를 얻기도 했다.

하지만 회사의 경영상태는 무리한 사업 확장 등으로 악화되어 은행 부채가 급증하였고 이에 회사는 공장 이전, 위장 휴업 등의 형태를 취하면서 노동자들을 대량 해고하였다. 이러한 사태에 직면하여 노동조합은 1978년 5월 9일 제3차 정기대의원대회를 개최하였고, 회사의 위장 휴업 등을 지적하면서 농성에 돌입하였다. 그러나 1979년 3월 29일 회사는 결국 부채와 적자 운영,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 등의 이유를 제시하며 4월 말로 폐업한다는 공고를 붙였다. 이에 따라 노동자들은 4월 6일 긴급대의원대회를 개최하여 회사 정상조업을 위한 대책과 사업장 폐쇄가 불가피한 상황에 대한 대비, 타업체의 인수 및 고용 승계 등 대책을 협의키로 하였다. 노조는 결의문을 통해 폐업을 철회할 것을 요구하면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극한투쟁도 불사한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회사나 관계 기관들은 회사정상화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이에 노동자들은 7월 25일 긴급대의원대회를 열어 7월 30일까지 정상화 해결이 없으면 조합원 총회를 열기로 결의하였다. 7월 30일까지 아무런 해결책도 제시되지 않았고, 이에 노동자들은 7월 30일 조합원 총회를 열고 회사정상화를 요구하며 야간 농성에 돌입하였다. 노동자들의 주간 조업, 야간 농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8월 6일 회사는 일방적으로 폐업 공고를 내고, 7일에는 기숙사 식당까지 폐쇄하고, 퇴직금·해고수당을 8월 10일까지 수령하지 않으면 법원에 공탁한다고 공고하였다. 이에 YH 노동자들은 야당인 신민당에 호소하기로 결정하였다. YH무역 여성노동자 187명은 8월 9일 신민당사에서 회사 정상화와 노동자의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는 농성 투쟁을 시작하였다.

8월 10일 노동자들은 긴급결사총회를 열어 YH무역을 은행관리기업으로 인수할 것과 장용호 회장을 소환할 것, 기업 정상화와 생계대책을 강구할 것 등을 결의하며 계속 농성을 하였다. 하지만 박정희 정권은 김영삼 총재가 이끄는 신민당이 이들의 농성을 지원하자 신민당사에 경찰을 투입하여 이들을 강제 진압했다. 8월 11일 새벽 2시 1,000여 명의 경찰이 이른바 ‘101작전’을 개시하고 신민당사에 난입하여 노동자들을 폭력적으로 강제 연행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김경숙(21, 노조 집행위원)이 사망하고 신민당 의원과 당원, 취재 중이던 기자 등이 경찰에 구타당하여 중경상을 입었다. 이날 경찰은 노조 지부장 최순영 등 여공 172명과 경찰의 강제 연행을 제지하던 신민당 당원 26명을 강제로 연행하였다. 또 정부는 YH무역 노조의 신민당 농성을 배후조종한 혐의로 인명진·문동환 목사, 이문영 전 고려대 교수, 시인 고은 등 8명을 구속하였다. YH여성노동자들의 신민당사 농성사건은 기업주의 비도덕성과 민주노조의 간난신고가 집약되어 있고, 유신독재 붕괴에 일역을 맡았다는 점에서 그 상징성이 크다.

주요출처: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서중석 저,『한국현대사 60년』 김정남 저,「YH사건과 김경숙의 죽음」,『진실, 광장에 서다』

YH사건

to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