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목동 철거민 투쟁

전두환 정권은 1982년 말 주택정책의 일환으로 합동재개발을 도입했다. 무허가 불량주택의 재개발에 거대 건설업체를 끌어들이고, 주민들이 조합을 결성, 토지를 제공하고 건설업체는 참여조합원으로 아파트를 지어 조합원에게 배정하고 나머지는 일반분양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합동재개발은 재개발지역 주민에게 가장 먼저 불이익을 안겨 주었다. 투기꾼과 용역깡패들이 대거 몰려들었고, 달동네 사람들은 생존권을 박탈당한 채 아무런 대책 없이 쫓겨나야 했다.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을 앞두고 전두환 정권은 도시 미관상의 이유로 서울시내 판자촌들을 강제철거하기 시작했다. 서울에서 이러한 재개발의 대표적인 지역은 목동과 상계동이었다.

1983년 4월 12일 서울시는 토지공영개발방식을 시도해 신정동, 목동에 신시가지 140만평을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당시 목동 일대에는 가구주 2,500세대, 세입자 5,200세대, 약 32,000명의 사람들이 안양천을 옆에 끼고 형성된 긴 뚝방촌에 모여 살고 있었다. 이들은 1960년대 후반부터 여의도, 영등포, 아현동 등에서 철거되어 쫓겨난 사람들이었다. 서울시는 이들에게 서민주택을 대량으로 싼 값에 공급하겠다며 장밋빛 환상을 심어주었다. 그런데 서울시가 서민주택 대신 20~58평형 아파트를 짓겠다고 계획을 변경하고, 가옥 당 이주비 50만 원과 아파트 입주권을 줄 테니 나가라고 하였다. 아파트 분양가격은 제일 작은 20평형이 2,100만 원으로 가난한 주민들로서는 엄두도 못 낼 금액이었다. 그들은 이곳에 정착한 지 10여 년 만에 다시 쫓겨날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애초 목동 신시가지 개발계획은 서민주택을 값싸게 대량으로 공급하는 것이 그 목적이었다. 그러나 원래 계획은 변경되고 싼 땅에 고급 아파트를 지어 정부가 돈을 벌어 올림픽 재원으로 쓰겠다는 정부 주도의 부동산 투기사업으로 변질된 것이다. 서울시가 목동 주민들에게 한 평당 7만원에서 14만원에 매입한 땅은 분양가격 평당 105만원부터 134만원으로 결정되었다.

이후 3년에 걸친 목동 주민들의 철거 반대투쟁이 시작되었다. 대책 마련을 위한 목동 주민들의 모임은 공권력에 의해 여지없이 산산조각 나곤 했다. 주민들은 회장, 부회장, 총무, 통반장의 조직체계를 구성하고 공권력의 침탈에 맞서 철야경비조와 지역대기조를 운영하였다. 목동 주민들은 1984년 8월 27일 양화교 점거농성에서부터 1985년 3월 20일의 목동사거리 싸움까지 7개월 동안 무려 100여 회 이상의 가두시위와 점거농성을 벌였다. 500~700명 단위로 신민당과 KBS방송국, 영등포로타리 등에서 기습 가두시위를 벌였으며, 국회의원선거에서 민정당 후보 낙선투쟁까지 전개하였다. 경인고속도로를 4번이나 차단하였으며, 15회에 걸쳐 서울시청 진격투쟁을 벌였다. 1985년 1월에는 시청 앞 농성으로 9명이 중상을 입고 항의 주민 수백 명이 연행 당했다. 3월 20일에는 서울 신정동·목동 철거민과 대학생 6백여 명이 선대책 후철거를 요구하며 야간시위를 전개하였다. 목동주민들은 구속자가 대량 발생하자 구속자석방특별위원회를 만들어 목동 주민들의 투쟁 소식과 구속 사실을 선전했으며, 주민총회를 통해 자녀들의 등교거부투쟁도 벌였다. 1983년부터 1985년까지 3년에 걸쳐 진행된 목동 철거민 투쟁은 80년대 빈민투쟁의 서막을 알리는 것이었다. 이들 철거민들의 투쟁으로 가옥주들은 최초로 무허가주택의 재산권을 인정받을 수 있었고, 세입자들은 10평 아파트 입주권과 가장 저렴한 이자로 이주비용을 융자해 주겠다는 약속까지 받아냈다. 목동 주민들의 투쟁은 이후 전개되는 철거민투쟁의 모범이 되었다.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을 앞두고 도시 미관상의 이유로 이루어진 강제철거는 서울시내 200여 곳에 이르렀다. 목동, 상계동, 사당동 등에서 주민들이 전두환 정권의 폭압에 항의하여 대규모 투쟁을 전개하였고, 그 과정에서 빈민들 스스로 운동의 주체로 등장하였다. 철거반대투쟁과정에서 철거민들 사이에 연대의식이 싹트기 시작했다. 철거민들의 연대의식과 연대투쟁을 기반으로 1987년 7월 17일 투쟁빈민들이 주체가 되어 자주적 빈민대중조직 서울지역철거민협의회(서철협)가 결성되었다.

주요출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 연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민주화운동관련 사건·단체사전편찬을 위한 기초 조사연구보고서』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3권 - 광주학살과 서울올림픽』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홈페이지 연대별민주화운동사

목동 철거민 투쟁

to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