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글자 크기 조절

영주 재선거 지역, 음성적 사전선거운동 시작

11일 오후, 중앙선거위원회영주 선거구 일부의 재선거 일자에 대해 영일 재선거와 같은 날인 1월 23일이 좋겠다는 결론을 내렸다.중앙선거위원회는 1월 12일 영주 재선거 일자를 1월 23일로 정식 공고하였다 (『 동 아일보』1960. 1 .13 석1면).
그러나 아직 선거일이 공고되지 않은 영주 지역에서 음성적이고 조직적인 선거운동이 이미 시작되었다. 영주 일부 지역은 선거 무효 판결 직후부터 사전 선거운동이 꾸준히 진행되었다. 특이한 점은 영주 제1, 2, 풍기 제1, 2 등 총 4개 투표구(유권자약 17,900명)에서 과거의 말썽 많던 몽둥이 선거는 자취를 감추고 공무원 가족에 의한 조직적 선거운동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는 것이다.
영주 지역에서 관측되는 공무원 가족의 선거운동은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치밀한 조직력에 기반한 기상천외한 선거 간섭이었다. 재선거 구역에 거주하는 공무원과 공무원 가족, 그리고 인근 면에 거주하는 공무원 가족들은 일일이 유권자의 집을 방문하여 선거운동을 하였다. 이들은 2인 내지 3인으로 조를 지어 다니며 운동을 소홀히 할 수 없게 서로를 감시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혹시나 선거운동을 소홀히할 경우 후환이 있을까 두려워 더욱 열심히 하였다.
다른 곳에서 근무하는 현지 출신 공무원들도 동원되었다. 이들은 귀향 계몽 운동의 일환으로 근무처에 출장 또는 휴가의 형식으로 해당 재선거구에 귀향하여 그들의 손이 미치는 유권자를 만나 여당에 투표하도록 권유한 후 정해진 기일이 지나면 다시 근무지로 되돌아갔다. 이들의 귀향은 상사의 명령에 의해 출장온 것으로 처리되었으며, 귀향한 공무원은 즉시 경찰서 사찰계에 귀향 보고를 한 다음 각기 임무대로 선거운동을 한 후 근무지로 떠나기 전에 또 다시 사찰계에 선거운동 상황을 보고하였다.
영주지역에서는 유권자들 사이에 “보지도 말라”, “듣지도 말라”는 말이 널리 퍼졌는데, 각 방장은이 지령을 각 유권자들에게 전달하였다. “보지도 말라”라는 것은 자유당 이외의 선전문은 일절 보지 말라는 뜻이다. 더욱이 그런 선전문이 오면 자진하여 방장이나 이장에게 반납하여 회수토록 하였다. “듣지도 말라”는 것은 자유당 이외의 강연회는 들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공무원과 공무원 가족의 선거운동은 그 동안볼수 없었던 상당히 조직화된 선거운동으로, 이 수법이 성공한다면 자유당은 차기 정·부통령선거에서 이 방법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었다. 따라서 영주 재선거는 자유당 입장에서 일종의 예행연습이었다.『동아일보』1960. 1 .12 석3면
한편 여·야 총무들은 11일 오전 회담을 열어 영일 을 및 영주 재선거구에 선거시찰단 파견을 합의하였다. 하지만 이전에 울산, 월성 등지의 재선거구에 파견하였던 것과 같이 국정감사권을 가진 시찰이 아닌 단순히 선거운동 시찰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었다.하지만 이마저도 난관에 부딪쳤다. 자유당은 1월 12일 당무회의를 열어 영일 을 과 영주 등 재선거구에 국회시찰단을 파견하지 않기로 하여 민주당의 반발을 샀다 (『 동아일보』1960. 1 .12 조1면, 1960. 1.13 석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