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글자 크기 조절

공화당, 신민당 성명에 반박

신동준 공화당 대변인은 15일 “공화당이 오는 선거에서의 승리를 위해 원천적 조작을 하고 있다”고 비난한 김대중 신민당 대변인의 성명에 대해 “공화당이 승리하리라는 국내외 여론에 초조한 나머지 공화당과 3.15를 연관시켜 풀이하려 한다”고 반박했다. 신 대변인은 “우리는 야당이 공화당부정선거설을 유포하려고 획책하고 있음을 알지만 국민은 이를 믿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동아일보』 1967.3.15. 1면 3.15의거 7주년을 맞아 역대 중앙선관위원장들의 말을 듣는다 15일은 독재정권의 부정선거를 규탄, 민권을 사수한 마산의거 7주년 기념일. 그동안 4.19와 5.16 두 차례 혁명을 거치며 자라온 이 땅의 민주주의는 두 달 앞으로 다가오는 대통령 및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내외의 눈길을 모으게 됐다. 이에 3.15의 교훈을 되새겨 ‘깨끗한 한 표’에의 길잡이로 역대 중앙선거(관리)위원장들의 말을 들어 보았다.
▶노진설(1·2대 국회의원선거, 2대 정부통령선거)= 우리가 선거라고 처음 치른 게 48년의 제헌의원선거, 이른바 5.10선거였다. 그 뒤 20년이 지나 숱한 선거를 치러보았지만 지금 와서 가장 공명한 선거였다고 자부할 수 있는 선거는 역설적인 얘기지만 이 5.10선거가 처음이요 마지막이었던 것 같다. 그 때는 비록 국민들의 교육수준이 낮고 공산당의 방해가 심하고 선거기술도 미약했지만 “새나라를 건설한다”는 애국 이념으로 국민 모두가 뭉쳐 있었기 때문에 권력이나 금력이 개입할 여지가 없었다.
다만 잊혀 지지 않는 것은 당시 이승만 박사와 대결해서 나왔던 최능진이란 분이 이 박사 지지자들의 압력으로 등록을 취소당하고 끝내는 내란음모혐의로 붙들려 억울하게 총살당한 일이다. 부정선거의 역사는 2대 국회의원선거 때부터 시작됐다. 이 박사는 자기에게 반기를 든 한민당을 때려잡기 위해 최대한의 관권을 휘둘렀었다. 내 경험으로 미루어 보아 올바른 공명선거를 이루자면 선거기술 상의 문제보다도 국민 개개인의 진정한 애국 일념이 앞서야 된다고 생각한다.
▶조용순(3대 국회의원, 3대 정부통령선거)= 잊혀 지지 않는 일은 3대 정부통령선거 때 대구 개표 중단사건이다. 이 때 나는 심야에 여·야 양쪽 사람들에 무수한 협박공갈을 받았었다. 여당 사람들은 이기붕 씨가 불리하니까 재투표를 하라고 마구 협박을 했지만, 법대로 하겠다고 끝까지 버티었다. 만일 그때까지 투표를 했더라면 3.15사태가 그 때 벌어졌을지도 모를 일이었다. 공명선거를 치르려면 이런 ‘협박공갈’이 없어야 할 것은 물론 국민 각자의 자각과 감시가 절대로 필요하다.
▶김두일(4대 국회의원, 3.15정부통령선거)= 내 딴엔 법대로 한다고 했지만 뒤에 알고 보니 중앙선거위원회의 시달사항이 지방에서는 하나도 시행되지 않고 자기들이 꾸미는 각본대로 하고 있었다. 그때 지방선거위원회의 임원들의 인선도 우리는 하나도 못하고 도·시·군의 직원들이 모두 겸직하고 있는 형편이었다. 내 체험으로 미루어보아 올바른 공명선거를 하려면 국민들의 각성도 중요하지만 선거관리위원회가 독자적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상으로 완전독립이 보장되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3.15후 숱한 세월이 흘렀지만 사회의 혼란상이나 국민의 각성도는 그때보다 별로 나아진 것도 없는 것 같다.
▶고재호(5대 민·참의원)= 내가 치른 선거는 4.19직후 내각책임제 개헌이 이루진 뒤의 민·참의원선거였다. 관권의 개입이 전연 없었다는 점에서는 공명선거라고 볼 수 있을는지도 모르나 치안능력이 거의 마비상태에 빠져 있어 개표도중 개표함을 불사르는 난동사태가 빈발하는 등 가위 무법천지를 이루었으니 진정한 공명선거라고는 볼 수 없을 것이다.
올바른 선거가 이루지기 위해서는 ① 선거란 큰 힘을 가진 정당 간의 대결인만큼 정당들이 솔선해서 준법을 해주어야겠고 ② 투표나 개표과정에서 “오이밭에서 신끈 매는 격”의 의심받을 짓은 아예 하지 말며 ③ 수사기관에서 선거사범에 대해서는 엄벌(외국에서는 선거사범을 사면한 예가 없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광욱(6대 국회의원·정부통령선거, 7대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이번 선거는 민정이양 이후 두 번째 선거로 국민들도 비상한 관심을 주는 것 같다. 우선 국민들이 일체의 공포감이나 위축감 없이 평화스러운 마음으로 투표에 임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도시민들은 괜찮으나 농어촌은 아직도 금력이나 권력에 유혹당할 우려가 남아 있어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이라도 여기에 집중적으로 계몽을 철저히 할 생각이다. 올바른 선거를 치르기 위해서는 우선 무엇보다 여·야가 공명선거를 위한 대화의 기회를 자주 가져야겠고 국민들은 주권의식과 참여의식을 갖고 절대로 기권을 해서는 안 되겠다.『동아일보』 1967.3.15.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