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글자 크기 조절

3선개헌반대운동 사료집 발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2016년 12월 『3선개헌반대운동 사료집』(3책 구성)을 발간했다. 사업회는 2009년부터 “1960년대 한국민주화운동 역사정리사업”을 기획하고 진행했으며, 이 사업의 결과로 2010년 『4월혁명 사료총집』(8책 구성)을 발간하고, 2012년과 2013년 『4월혁명 이후 민주화운동 사료집·일지』(3책 구성)를, 2013년에는 세 번째 사업결과로 『한일협정반대운동 사료총집』(6책 구성)을 발간한 바 있다. 그리고 2014년부터 “1960년대 한국민주화운동 역사정리사업”의 마지막 사업으로 『3선개헌반대운동 사료집』 발간을 준비했다.

1960년대 후반 민주화운동은 박정희 대통령의 장기집권을 저지하기 위한 투쟁의 성격을 가지는데, 그 중심은 1967년 6.8총선 과정에서 자행된 ‘부정선거 규탄투쟁’과 1969년 ‘3선개헌 반대투쟁’이었다. 이와 함께 1960년대 후반 민주화운동의 정치 사회적 배경이나 당시 사회 분위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카린밀수사건’과 ‘베트남 파병·향토예비군 제도 도입 등’에도 주목해야 한다. 박정희 정권은 전자를 통해 막대한 정치자금을 거둬들이는 한편, 후자를 통해 국제적으로 아시아 반공 블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고, 국내적으로는 안보를 빙자해 사회통제를 강화해가기 때문이다. 결국, 3선개헌 추진은 대통령 중임제를 규정한 제3공화국 헌법을 고쳐서 장기집권의 길을 열기 위한 계획이었고, 박정희 정권은 대선과 총선에서 이러한 계획을 현실화시키고자 조직적 선거부정 등의 총력을 다했다.

3선개헌반대운동 등 1960년대 후반 민주화운동이 가진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에 대한 연구는 그리 활발한 편이 아니었다. 무엇보다 연구를 뒷받침해줄 자료가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되어 있지 않고, 심지어 전개 양상의 구체적 해명과 같은 사실의 복원조차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다. 역사적 사실을 복원하려는 시도로 구술자료 수집작업이 부분적으로 진행되거나 지역 민주화운동 및 각 학교 학생운동사 정리과정에서 해당 내용이 부분적으로 언급되기는 했지만, 전체적 전개 양상을 이해하기에는 쉽지 않았다.

『3선개헌반대운동 사료집』은 3선개헌반대운동을 중심으로 1960년대 후반 민주화운동의 전개과정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두 책의 일지와 한 책의 사료영인집으로 구성했다. 일지는 1966년부터 1969년에 이르기까지 주요 사건을 일간 신문과 잡지, 각종 자료 등을 통해서 일자순으로 상세하게 정리했고, 사료영인집 또한 당시 자료를 수집·정리하여 선별 수록했다. 발간 사료집은 전국 대학도서관 및 사학과 사무실, 국립·시립·공공도서관에 배포했다.

또한, 당시 자료의 부족으로 인한 결락을 보완하고자 구술자료도 당시 대학생(서울, 경북, 전남지역)과 고등학생, 언론인을 대상으로 약 46시간 분량을 수집했다. 구술자료는 구술 아카이브에서 주요 부분을 발췌한 서비스 영상을 볼 수 있다. 온라인 서비스 영상 이외의 구술자료를 열람하고자 할 때에는 사업회를 직접 방문하여 해당 녹취문을 열람할 수 있다.

사료집에 수록된 모든 자료와 선별과정에서 제외되어 미수록한 자료도 정리 작업 이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오픈아카이브(http://archives.kdemo.or.kr/)에서 서비스할 예정이다. 

3년여에 걸쳐 추진해 온 『3선개헌반대운동 사료집』 발간이 반세기 만에 이루어졌고,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약 8년에 걸친 “1960년대 한국민주화운동 역사정리사업”이 마무리되었다. 이 사료집 발간을 계기로 3선개헌반대운동에 대한 관심이 더욱 깊어지고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더 나아가 1960년대 한국 민주화운동사 연구와 그에 대한 이해가 심화하길 바란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1970년대 한국민주화운동 역사정리사업”으로의 이행을 위해 2017년부터 기초연구와 자문을 통해 새롭게 사업을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