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글자 크기 조절

보도지침 사료 원본 기증식 개최

2020년 6월8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남영동 민주인권기념관에서 특별한 사료 기증식을 개최하고, '보도지침' 원본 사료를 최초로 공개했다.

신군부 시절 대표적인 언론 통제의 도구인 ‘보도지침’ 은 <월간 말>의 전 상무 임상택이 2019년 12월 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민언련) 35주기 창립기념식에서 민언련에 기증하고, 민언련의 사업회에 기증하면서 사업회가 소장하게 되었다.

보도지침 사료는 1980년대 전두환 정권 시절 문화공보부 홍보정책실에서 작성하여 각 언론사 편집국 간부에게 보낸 가이드라인으로, 1985년 10월 19일부터 1986년 8월 8일까지  전화로 지령한 메모 형식의 자료 584건이다. 이는 당시 한국일보 기자였던 김주언 기자가 구속을 감수하고 편집국에서 빼내왔고, 대안매체였던 <월간 말>을 통해 공개하면서 신군부의 언론통제가 세상에 알려질 수 있었다. 


이 보도지침은 문화공보부 홍보정책실이 하루도 빠짐없이 각 신문사에 은밀하게 [시달]하는 보도통제 [가이드라인]이다. 홍  보정책실은 이 보도지침을 통해 가(可), 불가(不可), 절대(일체)불가 라는 전단적 지시용어들을 구사하면서 사건이나 상황, 사태의 보도여부는 물론, 보도방향과 보도의 내용 및 형식까지 구체적으로 결정, 시달한다. 또 이 지침을 충실하게 따르는 제도언론(신문)은 취재한 뉴스의 비중이나 보도가치에 구애됨이 없이 [절대불가]면 기사를 주저없이 빼고 [불가]면 조금 미련을 갖다가 버리며 [가]면 안심하고 서둘러 싣는다.

-말誌, 보도지침이란 어떤 것인가 中-


1986년 7월 5일자 보도지침을 보면, 『주한 자유중국대사』, 중공어선 어부 190명과 면담, 곧 대만행, 한국, 중공과 자유중국 틈에 끼어 처리 문제 고민』 이상과 같은 7월 4일자  Reuter(로이터 통신) 보도내용 싣지말 것이라고 되어있다.


1986년 7월 17일자 보도지침을 보면, 부천경찰서 성고문사건에 대해서는 ∆ 조사 결과에 대해 검찰의 발표 내용만 보도할 것 ∆사회면에서 취급할 것 ∆검찰 발표 전문은 꼭 실어줄 것 ∆사건의 명칭을 ‘성추행’이라 하지 말고 ‘성모욕행위’로 표현할 것 사건의 성격을 ‘혁명을 위한 성 도구화’로 규정할 것 ∆변호인단의 반론을 싣지 말 것 등을 시달한 사례가 있다.

정권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기록만 남기고 폐기하기 때문에 정권의 탄압을 증거하는 자료는 누군가 몰래 빼내오지 않으면, 공공기록으로 남을 수 없다. 따라서 보도지침은 사료는 신군부 시절 대표적인 언론 통제의 도구가 어떻게 기능했는지와 권력이 언론의 자유를 박탈했던 엄혹했던 시대상을 살필 수 있는 살아있는 증거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지선 이사장은 “민주언론시민연합이 소장한 귀중한 사료를 사업회에 기증해주셔서 감사드린다”며 “보도지침은 국민의 자유를 억압하고 독재체제를 공고히 하고자 한 전두환 정권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앞으로 사업회가 잘 보존해 후대에 보도지침과 같은 일이 다시는 없도록 하는 데 일조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민언련이 관리하고 있던 사료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로 이관되며, 사업회는 향후 정리 작업을 거쳐 모두 서비스 할 예정이다.
권력자의 억압과 그에 대한 저항의 역사를 아카이빙하여 후대에 교훈으로 남겨지길 희망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