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Embed 퍼가기
하단의 내용을 복사해서 퍼가세요.
URL 퍼가기
하단의 내용을 복사해서 퍼가세요.
이메일 공유
병태의 그날, 1960년 4월 19일
‘목련꽃 그늘 아래서, 베르테르의 편질 읽노라~.’
눈부신 꿈의 계절, 노래 가사처럼 그날 날씨는 화창하였고 초여름처럼 좀 덥다고 느껴질 정도였다. 서울 혜화동 로터리 부근에 자리 잡은 동성고등학교 3학년생 이병태는 여느 때나 다름없이 씩씩하게 등교했다. 그런데 그날따라 어쩐지 아침부터 공기가 좀 달랐다. 이상한 아저씨들이 학교 주변에서 어슬렁거리고 있었다.
호기심을 억누르며 아침 과외 시간을 끝내고 영어시간이 시작될 무렵이었다. 학교 담 너머 대학로에서 갑자기 “우와~!” 하는 소리가 들렸다. 학생들은 공부를 하다말고 우르르 창문 쪽으로 몰려갔다. 2층 교실에서 아래로 보니 한 무리의 학생들이 혜화동 로터리 쪽으로 달려가고 있었고, 뒤를 이어 경찰을 실은 버스와 트럭이 달려가고 있는 게 보였다.
혜화동은 서울대의 문리대 의대 사범대 등이 가까이 있었다. 은밀히 들려오는 소문으로는 그들 대학에서 오늘 이승만 정권의 3.15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중요한 시위가 계획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꼭 그래서만은 아니었다. 그가 다니던 동성고에서도 이미 학생들 사이에 정의로운 거사에 우리가 앞장 서야한다는 여론이 급속히 퍼져가고 있었다.
운동장에는 언제 나왔는지 벌써 50여 명의 학생들이 모여 웅성거리고 있었다. 낌새를 알아차린 경찰은 일찌감치 학교 앞 골목에 경찰병력을 배치해 놓고 있었다. 성급한 마음에 먼저 뛰쳐나간 일부 학생들은 체포되어 몽둥이로 엄청나게 얻어터지고 백차에 실려 경찰서로 끌려갔다고 했다. 마음이 어수선하여 수업을 듣는 둥 마는 둥하며 오전을 거의 다 보내고 있었다. 교실 밖 담 너머에서 들려오는 소리는 더욱 높아가고 있었다.
11시 정각. 더 이상 교실에 앉아 있을 수가 없었다. 수업을 포기한 학생들은 3학년을 중심으로 질서 정연하게 속속 다시 운동장에 모였다. 등사실에서는 급히 그날 읽을 결의문과 구호를 프린트하고, 플래카드도 만드는 중이었다. 병태도 백지에다 적십자 표시를 그려서 들고나갔다.
학생대표가 단상 위로 올라왔다.
“동성 학우 여러분! 무저항 비폭력으로 거리에 나섰던 우리 학우들이 지금 경찰의 손에 개처럼 끌려가서 무자비하게 맞고 있다고 합니다. 민주주의를 사랑하고, 민주주의를 외쳤다는 죄로 말입니다. 이제 우리 양심적인 동성고 애국 학생들이 분연히 떨치고 일어날 때가 되었습니다. 지금 대학에서는 수많은 대학생들이 길거리로 쏟아져 나왔다고 합니다. 자, 이제 우리도 질서있게 나아가 우리의 주장을 세상에 알립시다!”
학생대표의 연설이 끝나자 다들 단단하게 스크럼을 짰다. 그리고 곧 교문 밖을 향해 행진해 나갔다. 거리에 서있던 사람들이 학생들을 보자 발걸음을 멈추고 일제히 박수를 보냈다. 3.15부정선거에 대한 분노와 얼마 전 마산에서 일어난 규탄대회에서 김주열 군이 최루탄에 눈부분을 맞고 마산 앞바다에 죽은 채 떠올랐다는 소문이 파다하게 퍼져있던 터였다. 누군가 불을 댕기기만 하면 활활 타오를 듯이 사람들의 가슴은 이글이글 끓어대고 있었다. 봄의 햇빛은 따갑게 대기를 달구어놓고 있었다.
"우리 학생들은 지난 부정선거를 똑똑히 목격하였다."
"경찰은 학생들에게 폭력을 금하라! 우리는 무저항주의를 지향한다!"
"동성학생을 즉각 석방하라!..."
병태는 유인물을 길가의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는 역할을 맡았다. 급히 만든 유인물이었지만, 사람들은 서로 손을 내밀어 유인물을 받아보려고 난리였다. 경찰 백차가 따라왔지만 다른 급한 데가 있는지 휑하니 지나쳐 가버렸다. 동성고의 뒤를 따라 어느새 하얀 가운을 입은 서울대 의대 학생들이 몰려왔다. 그들뿐만이 아니었다. 각 대학에서 쏟아져 나온 학생들이 마치 작은 개울에서 큰 개울로 물이 모여들 듯 여기저기서 흘러나와 삽시간에 온통 거리를 메웠다. 그들은 어깨와 어깨를 걸고 행진을 하며 목이 터져라 큰소리로 외쳤다.
“3.15부정선거 원흉을 처단하라!”
“폭력은 싫다! 경찰은 더 이상 학생들에게 폭력을 금하라!”
학생들의 행렬은 종로 5가와 4가를 지나 충무로 입구에 도착했다. 군데군데 경찰들이 M1소총에 대검을 꽂고 서있었다. 그러나 함부로 학생들의 행렬을 막지는 않았다. 병태는 네거리에 서있는 경찰에게 유인물을 주려고 손을 내밀었으나 비웃듯이 쳐다보기만 했다. 눈치를 보니 심상치가 않았다. 얼른 그의 호주머니에 유인물을 쿡 쑤셔 넣어주고는 앞서가는 행렬을 따라 급히 뛰어갔다.
동성고등학교의 행렬은 시청을 지나 당시 국회의사당 앞에 도착하였다. 고등학교 시위대로는 병태네가 처음으로 왔는지 여기저기에서 “동성고등학교 만세!” 하는 소리가 들렸다.
국회의사당 건물 앞 광장은 이미 사람들로 입추의 여지가 없었다. 거대한 사람들의 바다였다. 병태는 태어나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모인 것은 처음 보았다. 새까만 머리 위로 4월의 태양이 눈부셨다. 자기도 모르게 가슴이 설레었다. 누군가가 일어나서 큰소리로 연설을 하는 모습이 보였고, 연설이 끝나자마자 우레와 같은 박수소리가 쏟아졌다. 그리고 이어서 또 누군가가 나와서 연설을 하고 나면 또 박수소리가 쏟아졌다. 여대생들도 적지 않게 눈에 띄었다.
문득 병태는 가만히 혼자 생각해 보았다. 그들은, 아니 우리는 왜 이렇게 모여서 외치고 있는가? 빈부의 격차는 날로 심해지고, 정치가들은 부패하고, 저 마산사건처럼 폭력 앞에 참혹하게 죽어간 형제들... 이승만 대통령 둘레의 간신배들... (당시에는 그렇게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지금 우리 학생들은 배움의 과정에 있다. 앞으로 우리는 사회의 중견이 될 것이다. 그러함에 우리의 교육을 그릇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여러분! 경무대(현재의 청와대 격)로 갑시다.”
정신없이 생각하고 있는데 누군가가 외쳤다. 그 소리에 앉아있던 학생들은 자리에서 일어나 중앙청(현재 광화문)을 향해 나아가기 시작했다. 그때 어떤 사람이 그를 덥석 끌어안았다. 깜짝 놀라 쳐다보니 낯모를 여대생이었다.
“애, 니들 참 용감하구나! 조심하렴!”
그녀는 씽긋 웃어보이고는 저쪽으로 달려가 버렸다. 중앙청 앞에는 이미 경찰이 철통처럼 늘어서 있었다. 다시 학생들은 그곳에 주저앉아 농성에 들어갔다. 주변 집들의 담장과 지붕엔 사람들이 빽빽하게 올라가 앉거나 매달려 있었다. 어느새 선생님들도 와 계셨다. 그때 안국동 쪽에서 헌병 트럭 2대와 불자동차 2대가 달려왔다. 하지만 그들은 곧 사람들 사이에 갇혀 오가지 못하게 되었다. 불자동차에 올라간 학생이 운전사에게 따지듯이 말했다.
“여보, 당신도 사람이오? 당신이 사람이라면 어떻게 사람에게 물을 뿌리오?”
운전사는 아무 말도 못하고 차를 돌려 가버렸다. 헌병에게도 따졌다. 그러자 어떤 인정 많게 생긴 헌병 아저씨가 말했다.
“여봐, 학생. 내가 자네들을 쏠 것 같은가? 어서들 돌아가게.”
그리고는 중앙청 안으로 들어가 버렸다.
그때였다. 뻥, 하고 무언가가 터지는 소리가 들리며 하얀 연기가 퍼져나갔다. 갑자기 코가 매캐해지며 눈물 콧물이 쏟아져 나왔다. 말로만 들었던 최루탄이었다.
“이눔들이!”
분개한 청년들이 중앙청 담을 타고 들어가 안에서 최루탄을 쏘아대던 경찰과 난투극이 벌어졌다.
“여러분, 안 되겠어요! 경무대로 갑시다!”
시위대의 물결은 중앙청을 지나 경무대로 향했다. 경무대는 중앙청보다 경비가 더 삼엄했다. 정문 앞에는 굳게 바리게이트가 쳐져 있었고, 최루탄 발사도 훨씬 독해졌다. 하지만 시위대의 전진은 결코 멈출 기미가 없었다. 시청부터 국회의사당을 거쳐 따라온 시위대의 행렬은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였다. 먼저 도착한 동국대 학생들이 경무대의 담을 넘었다는 소식도 들렸다. 바로 그때였다.
“따땅!”
귀청을 뚫을 듯이 들려오는 소리. 병태는 가슴이 쿵 내려앉았다. 이어서 총소리가 연발로 들렸다.
“땅! 땅! 뚜루룩 뚜루룩 따땅 땅!”
처음엔 공포인 줄 알았다. 하지만 그게 아니었다. 억, 하고 꼬꾸라지는 사람의 가슴에서 분수처럼 붉은 피가 솟아올랐다. 사람들은 정신없이 달아났다. 골목마다 뛰어든 사람들이 근처의 집 변소나 부엌에 가득 찼다. 남아있던 사람들은 바닥에 납작하게 엎드렸다. 병태도 그 중의 하나였다.
삽시간에 아수라장이 되었다. 피 흘리며 쓰려져 있는 사람의 모습과 신음소리가 들렸다. 지옥이 따로 없었다. 머릿속으로 엄마, 아버지, 누나... 가족들의 모습이 주마등처럼 지나갔다. 총소리는 한참동안 이어졌다. 피웅피웅 총알 날아가는 소리와 픽픽 땅에 총알 박히는 소리가 귀청을 때렸다. 그때마다 억억, 하는 신음소리도 이어졌다.
“쏴! 죽여! 이 새끼들 다 죽여버렷!”
금태 모자를 쓴 경찰이 권총을 휘두르며 소리쳤다.
얼마나 지났을까. 마침내 미친듯이 울리던 총소리가 멈추었다. 주위가 갑자기 조용해졌다. 병태는 살며시 고개를 들고 앞을 바라보았다. 경찰이 퇴각한 자리 여기저기에 총을 맞은 사람들이 뒹굴고 있었다.
“아니 저건!”
순간 병태는 그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고 말았다. 한 반 친구인 용호가 바지가 찢어진 채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었던 것이다.
“용호야! 안 돼! 용호야!”
병태는 정신없이 달려가 그를 안았다. 그러나 그는 이미 사지를 축 늘어뜨린 채 힘이 없었다. 얼굴은 핏기 하나 없이 하얗게 변해 있었다. 이어서 어른들이 달려와 용호를 비롯해 총에 맞은 사람들을 들 것에 싣고 병원을 향해 달려갔다.
“용호야...! 아, 용호야.”
병태의 눈에서 하염없이 눈물이 쏟아져 나왔다. 이것이 무저항 구호에 대한 대답이란 말인가? 다른 친구들도 소식을 듣고 달려와 같이 소리 내어 엉엉 울었다. 경찰이 시위대를 향해 발포해 사람들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사람들은 다시 중앙청 앞으로 모여들었다. 인산인해가 따로 없었다.
“3.15부정선거 다시 하라!”
“이승만은 하야하라!"
“일인 독재 물러가라!”
분노한 사람들의 소리가 전국 방방곡곡에 울려 퍼졌다. 하지만 독재자는 쉽게 물러나지 않는다. 누군가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란다고 했던가.
급기야 며칠 후 이승만 정권은 계엄령을 내리고 서울 한복판에 탱크를 진주시켰다. 하지만 세상은 더 이상 그의 편이 아니었다. 4월 26일 그는 마침내 대통령직에서 하야하고, 미국 망명길에 올랐다. 병태는 그날의 일을 일기로 남겨두었다.
* 이글은 동성고등학교 이병태의 1960년 4월 19일의 일기를 재구성하여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