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글자 크기 조절

와우시민아파트 붕괴

  • 공유하기

1960년대에 경제개발이 시작되고 고향을 떠나 서울로 유입된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자 무허가 건물도 급격히 늘어났다. 1967년,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박정희 대통령은 무허가 건물 정리사업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판자촌을 정리하고 시민아파트를 건설하거나 서울시 외곽으로 도시빈민을 이주시키는 방침을 세웠다. 이 사업은 충분히 준비된 계획도 없이 졸속으로 시행되었는데, 여기에는 빅픽쳐가 숨어 있었다. 1971년의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를 의식한 그림이었다. 이 무렵에 일어난 광주대단지사건 역시 서울의 판자촌에 거주하는 도시빈민을 무리하게 경기도 광주군으로 이주시키는 과정에서 일어난 비극적 사건이었다.

1970년 4월 8일, 마포구 창천동의 와우산 산비탈에 들어선 와우시민아파트 한 동이 와르르 무너졌다.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판자촌 정리가 목적이었던 서울시의 시민아파트 건립사업은 서민들에게 싼 값에 아파트를 공급한다는 명목으로 시행되었다. 5층으로 지어진 와우아파트는 당시로서는 고층건물에 속했는데, 애초에 안전성 자체가 담보되지 않은 부실공사였음이 사고를 통해 드러났다. 

와우아파트는 70도 가까운 경사진 비탈에 세워졌으나, 와우산의 지질이 화강암이라는 이유로 지질 검사를 부실하게 했고, 서울시가 책정한 건축비용의 절반도 안 되는 비용으로 공사가 진행되었다. 기둥 하나에 70개의 철근이 들어가도록 설계되었지만, 실제로는 고작 5개 밖에 쓰이지 않았다. 시멘트나 철근 같은 건축 자제들이 기준대로 쓰이지 않은 부실공사 그 자체였다. 

새로운 시민아파트 시대를 열었다는 자화자찬의 대상이었던 와우아파트는 6개월 남짓한 짧은 공사기간을 거쳐 졸속으로 완공되어고,  그후 4개월 만에 붕괴되어 사망자만 33명이나 되었다. 애초에 정권연장의 수단으로 기획되었던 건설사업인데다, 짧은 시간에  많은 시민아파트를 건립하려했던 김현옥 서울시장의 과욕과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했던 건설업자, 비리에 눈 감았던 서울시 공무원들이 사고의 배경에 있었다. 사고의 책임을 지고 불도저라 불렸던 김현옥 시장이 물러나고 관련자들이 구속되었으나, 김현옥은 1971년 10월에 내무부 장관에 기용되었다. 성수대교 붕괴(1994년), 삼풍백화점 붕괴(1995년)와 세월호 등 믿을 수 없는 참사에도 역사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