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글자 크기 조절

열세살 시다 - 신순애 이야기

열세 살 시다 

1966년 봄 중랑천 변, 방 한 칸에 8명이 살고 있었다. 서울로 가면 일자리가 있다고 해서 온 식구가 무작정 서울로 올라온 참이었다. 먼저 올라온 큰 오빠 내외가 빌린 방에서 아버지, 어머니, 작은 오빠, 언니, 조카, 순애 이렇게 살았다. 지금 같으면 상상도 못하겠지만, 당시 땅 한 평 갖지 못한 농민이 서울에서 잡은 첫 방은 그럴 수밖에 없었다. 순애는 초등학교도 다 마치지 못하고 서울로 와서 ‘콩나물 값이라도 벌만한’ 일자리를 찾아 여기 저기 기웃거렸다.    

어느 날, 옆 집 사는 언니가 평화시장에 가자고 했고 그 손에 이끌려 화려한 옷이 잔뜩 걸린 복잡한 지하도를 건너서 매캐한 냄새가 나는 건물로 들어갔다. 그 건물은 굉장히 길었고, 작은 가게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었으며, 미싱 돌아가는 소리가 너무나 요란해서 어린 순애의 정신을 쏙 빼놓기에 충분했다.  

“길이 얼마나 복잡했던지, 나중에 집에 못 찾아갈까봐 덜컥 겁이 났다.”고 신순애는 당시를 기억했다. 무척이나 길었던 그 건물은 지금 리모델링을 하여 말끔해졌지만, 화장실이 건물 양쪽 두 군데 밖에 없는 것은 여전하다고 했다. 수많은 여공들이 복도 양쪽에 달린 화장실에 가기 위해 뛰어다녔던 기억, 사람에 비해 화장실이 턱도 없이 부족하여 늘 줄을 서야 했던 기억, 그래서 물도 마음대로 마시지 못했던 기억이 생생하다고 그녀는 말했다.  

신순애. 열세 살 나이에 평화시장 시다가 되어 꼬박 15년 세월을 평화시장과 함께 살았다. 새벽부터 나와 버스 막차 시간인 밤 11시 20분까지 미싱을 돌렸고 3년 만에 미싱  보조가 되고, 그 후 미싱사가 되었지만, 하루 종일 구부리고 앉아서 일만 하느라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관심을 가질 틈이 없었다. 

“전태일이 분신했던 그 날도 저는 미싱을 돌리고 있었어요. 사장이 그러더군요. 저기 청계천 어디서 깡패 하나가 죽었는데, 행여 구경한다고 나가지 말라고. 저는 그 소리 듣고 그런가보다 했어요. 진짜 구경도 안 나가고 일만 했으니까요.”   

‘깡패’ 전태일

신순애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전태일, 아니 1970년대를 통과한 사람들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전태일. 그의 죽음 바로 곁에 있었던 미싱사 신순애는 정작 그의 죽음을  알지 못했다. 그 후 검정고시 준비를 무료로 시켜준다는 말에 노동교실에 등록했고, 그제서야 그 노동교실이 바로 전태일의 죽음 덕분에 생긴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녀의 삶도 서서히 달라지기 시작했다.

당시 노동교실에는 ‘좋은 선생님’들이 많았다. 장명국, 신인령 등 뜻있는 지식인들이 자처해서 노동자들의 벗이 되었고 그 속에서 신순애는 세상을 다시 배웠다. 새벽부터 밤까지 허리 한 번 못 펴고 미싱을 돌리는 일이, 그렇게 많이 일해도 점심을 굶어야 할 정도로 임금이 적다는 것이, 퇴직금이라는 말이 있다는 것도 몰랐다는 것이, 당연한 일이 아니었다는 것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 

 가짜 쌀가마

신순애는 평화시장 옥상에서 13일간 계속되었던 농성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그 때 농성을 벌인 주요 이슈는 퇴직금 문제였는데, 10인 이상의 사업장에서는 종업원이 퇴사 시 퇴직금을 지급하도록 하자는 것이었다. 

 “미리 옥상에다가 쌀을 한 스무 가마 쌓아 두었어요. 우리가 오랫동안 버틸 준비를 다 했다는 걸 보여 주려고. 그 때는 경찰들이 헬리콥터로 옥상 위를 촬영했거든요.”

그러나 이 쌀가마니에는 비밀이 있었다. 거기에는 쌀이 없었던 것이다. 공장에서 나오는 기레빠시(천 조각)를 잔뜩 가져다가 가마니 안에 넣어 쌀가마니처럼 보이게 만들고 퇴직금 문제가 다 해결될 때까지 얼마든지 버틸 수 있다고 큰 소리를 쳤지만 사실 쌀은 얼마 되지 않았다. 어쨌든 쌀가마니 옆에 커다란 가마솥 두 개를 걸고 매일 밥을 지어 500여 명이 먹을 수 있는 주먹밥을 만드는 일은 그 때 고작 스물 두어 살 먹었던 순애의 몫이었다. 

 “그전에 그렇게 많은 밥을 해 본 적이 없었는데도 어떻게 되더라고요. 반찬이 어딨어요? 참기름 약간에 소금만 쳐서, 단무지 하나만 가지고 십삼 일을 버텼어요.” 

8시 퇴근의 기억

평화시장의 노동자들은 퇴근 시간이 각기 달랐다. 평화시장에서 가까운 창신동이나 신당동에 사는 사람은 밤 열한 시 사십 분까지 일을 했고, 이문동이나 중랑교에 사는 사람은 열한 시 이십 분쯤 회사를 나섰다. 평화시장 앞에 막차가 서는 시간이 바로 그들의 퇴근시간이었던 것이다. 장시간 노동에 따른 문제야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당시 신순애와 동료들에게는 노동교실에 갈 시간이 없다는 것도 문제였다. ‘우리도 제 시간에 퇴근하자. 지금은 노동교실에 오고 싶어도 못 온다.’ 노동교실에 모인 노동자들이 그렇게 외치기 시작했고, 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농성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신순애의 기억에 그 농성은 길지 않았던 것으로 남아있다. 삼십 여명의 노동자가 하루나 이틀 정도 밤샘 농성을 했었고, 경찰이 와서 무섭게 농성자들을 다그쳤지만, 결국 밤 8시 전에 일을 끝낼 수 있도록 해주겠다고 합의를 했다. 그러나 그 짧았던 농성이 끼친 영향은 참으로 컸다. 

“진짜 7시가 되니까 방송이 나오는 거예요. 이제 불을 다 끌 거니까 얼른 퇴근하라고. 세상에, 불 꺼진 평화시장 건물을 더듬더듬 하며 밖으로 나오는데, 정말 우리가 정시에 퇴근을 하는구나, 이게 정말 가능 하구나 … ” 

신순애는 ‘사람들이 다니는 시간’에 퇴근하면서 느낀 감격을 ‘승리의 경험’이라고 말했다. 단결해서 싸우면 이길 수 있다는 이 경험은 그녀에게 자신감을 가져다주었고, 그것은 가난한 소녀의 인생에 있어서 참으로 귀한 일이었다.

노동자들의 방식 -특별한 한글 교육

1980년 5월 청계노조가 폐쇄되고 신순애는 합수부에 끌려갔는데, 거기서 그녀는 ‘초등학교도 못 나와서 한글을 쓸 줄 모른다.’고 버텼다. 조서를 쓰지 않기 위한 나름의 방편이었다. 결국 그녀는 풀려났고, 그 일은 지금 생각해도 잘한 일이었다고 그녀는 술회했다. 

그런데 ‘한글도 모르는 무식한 것’ 행세를 하던 그녀에게 재미있는 일이 생겼다. 평화시장의 어린 노동자들이 좋은 대학에 다니던 대학생 선생님들을 다 제치고 그녀에게 글자를 가르쳐달라는특별한 부탁을 해 온 것이다. 그리고 영어 알파벳 M과 W도 구별할 수 있게 해달라고 했다. 회사에서 옷에 미디움 사이즈 라벨 M을 붙일 때 종종 W로 붙이는 바람에 욕을 먹고 옷을 망친다는 이다. 그게 그거 같으니 구별할 수 있게 가르쳐 달라는 것이다. 신순애는 평화시장 노동자들에게 딱 맞는 방식으로 글자 수업을 시작했다.   

ㄱ, ㄴ, 으로 시작하거나 가방, 나비로 시작하는 한글 교재들을 다 제쳐두고 회사 이름 쓰기부터 시작한 것이다. 매일 보는 회사 이름, 예를 들면 다림사, 문화사, 행복사 같은 이름말이다. 눈에 익은 글자인데다 뒤에 붙는 00사는 같아 결국 두 글자만 익히면 되니, 다들 쉽게 배웠다. 그 다음에는 자기 동네 이름을 쓰게 했다. 버스 탈 때 마다 매일 보는 글자이니 이미 모양이 눈에 익어 그것도 쉽게 배웠다. 창신동의 골방에서, 서로 발을 맞대고 앉아야 할 정도로 좁았던 그 방에서 평화시장의 시다 후배들은 그렇게 배움을 이어갔다. 

아! 청계노조

신순애는 너무나 힘들었던 시절, 블랙리스트에 올라 취직도 못하고 2년 동안 열여덟 번이나 이사를 하고 ‘빨갱이 가족’이 되어 오빠들도 해고당했던 그 시절, 청계노조에 있었던 것을 후회하기도 했다. ‘부천서 성고문 사건' 때, 그 대학생이 당하는 고통으로 온 세상이 떠들썩할 때는, 세상에 알리지도 못했던 여자 동료 이야기가 생각나서 마음이 더없이 복잡했다. 충격과 공포를 혼자 감당해야 했던 평화시장의 그 노동자는 결국 세상 밖으로 숨어 혼자서 그 모든 고통을 감당해야 했다. 그때 그녀의 일도 세상에 알려야 했던 것이 아니었는지 종종 신순애는 그 일을 생각하며 괴로워했다.

그러나 이 모든 어려움과 고통, 혼란에도 불구하고 그녀에게 청계노조는 영원한 고향이었다. 자신을 당당한 인간으로 살게 해준 곳, 새롭게 태어나게 한 곳이었다. 그녀가 오늘 청계노조의 나날들을 애써 기억하고 기록하는 것은 고마운 고향에 대한 그녀 나름의 감사 인사였다.  

정영훈 
자유기고가. 방송작가. 인터뷰 작가. (사)한국여성연구소 부소장. 여러 매체를 통해 인간과 세상에 대한 탐구를 계속하고 있다.「새길에서 만난 사람」「여성, 나를 말하다」「얼지마, 죽지마, 페미니즘」「한국여성운동구술기록사업」「우리 젊은 날- 구로공단이야기」등 다양한 글과 영상물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