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Embed 퍼가기
하단의 내용을 복사해서 퍼가세요.
URL 퍼가기
하단의 내용을 복사해서 퍼가세요.
이메일 공유
잊혀가는 역사를 되살리는 생명의 기록
1975년 3월, 송건호 동아일보 편집국장이 사표를 던졌다. 유신의 칼바람에도 직필로써 언론인의 직분을 다하고자 했던 동아일보 기자들이 대량 해고되는 사태에 책임을 지고 편집국장이 스스로 해직의 길을 선택했다. 자유언론 실천을 외친 젊은 기자들을 해직하라는 사주의 압력에 저항하여 후배 기자들이 해직되기 전날 스스로 사임의 길을 걸었다.
돈이 없어 술과 담배를 배우지 못했다던 사람, 속세와 타협하지 않고 한길을 가려면 자기 주변 정돈을 잘해야 한다고 당부하던 사람, 꼭 필요한 말 이외에는 많은 말을 늘어놓지 않았던 사람, 그런 그는 우리 역사의 질곡을 마지막까지 짊어지듯 절대 침묵과 고독 속에서 삶을 마감해야 했다.
송건호 선생은 지금도 언론인들로부터 가장 존경받는 사람 중에 하나이다. 그는 언론계의 거목이었다. 1954년 대학 재학 시절부터 조선일보 기자로서 활동하기 시작하여 한국일보, 자유신문, 경향신문을 거쳐 동아일보까지 20여 년을 언론계에 몸담았다.
동아일보의 수석논설위원이었던 그가 편집국장직을 맡게 된 것에는 남다른 사연이 있었다. 동아일보 노조는 당시 대부분의 노조가 그렇듯 출발부터 순탄하지 못했다. 회사와 협상 과정에서 노조는 당시 수석논설위원이었던 송건호 선생을 편집국장으로 추천했고, 회사가 이를 수용하여 편집국장으로 임명하게 된 것이었다. 그는 언론자유 쟁취를 위해 해직의 길까지 걸어야 했던 동아일보 기자들이 직접 선택한 편집국장이었다.
송건호 선생은 1975년 동아일보 사퇴 이후에는 재야 민주화운동에 참여하다가, 1978년부터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이하 KNCC) 인권위원회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래서 그의 기증자료 중에는 1970, 80년대 KNCC 관련 자료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1984년 민주언론운동협의회(이하 민언협)를 결성하고 이듬해에는 월간지 『말』을 창간해 정부의 언론보도 가이드라인인 보도지침을 세상에 내놓았으며(1986년 보도지침사건), 1988년에는 한겨레신문 창간을 주도해 초대 사장과 발행인을 역임했다. 하지만 의외로 민언협 관련 자료와 한겨레신문 관련 자료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가난으로 인한 잦은 이사와 감시와 탄압을 받는 과정에서 압수당하고 분실했기 때문이다. 역사를 증거하는 자료를 남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특히나 독재의 시간을 경험한 사회일 경우 그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다시금 느껴지는 대목이다.
그의 기증자료는 자필 원고, 편지류, 각종 발표글, 원고스크랩, 동아투위 관련 자료들 등이다. 그중 단연 돋보이는 것은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이하 동아투위) 관련 유인물이다. 동아투위 관련 유인물은 민주화운동사에서, 특히 언론운동사에서 역사적 가치가 대단히 높다고 할 수 있다. 1974년 자유언론실천선언 2주년에 발표한 <自由言論이란 무엇인가?>는 자유언론실천운동이 지향했던 바를 통해 현재의 언론 상황을 투영해볼 만한 자료이다. 또 눈여겨 볼만한 것은 각종 신문 스크랩이다. 특히 하지 군정과 남로당 그리고 조선공산당 당수였던 박헌영 관련 스크랩 등은 해방 직후 미군정 시기의 한국 근현대사를 규명하는데 여러모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스크랩류는 그의 꼼꼼함과 역사에 대한 애정이 묻어나는 소중한 자료이다.
“처음 신문사에서 나와 굶어 죽을 것 같은 죽음의 공포가 매일 나를 괴롭혔지. 아이들을 보면 정말 미칠 것만 같았던 겨. 우리 큰 딸애가 학업도 중지하고 돈 벌러 나가야 했고…… 지금도 큰딸에겐 빚을 진 기분이여. 사실 돈이 무서워. 다들 의로운 마음을 가졌다가도 돈에 져서 뜻을 바꾸었거든…… 그런데 시간이 가면서 둔감해진 거여. 죽음의 공포가 찾아드는 간격이 길어지더니 한 십년 지나니까 둔감해졌어…… 그리고 아무도 굶어 죽지 않았지.”
선생의 사직으로 그의 부인은 행상에 나섰고, 딸들은 학업을 중단해야만 했다. 그는 원고료, 강사료 등으로 근근이 생활하면서도 정권의 관직 제의 등 각종 유혹에 꿈쩍하지 않았다. 그러자 원고청탁마저 끊기게 되고 생활은 극도로 곤궁해졌으나 민주주의와 참언론을 위해 양심을 저버리지 않았다. 자신과 가족 모두가 겪어야만 하는 가난과 핍박의 고통을 모를 리 없음에도 그는 꿋꿋하게 한 길을 걸었다.
1980년 5월 15일 지식인 134명은 민주화를 요구하는 ‘지식인 134인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학계, 법조계, 종교계, 언론계, 문인 등 각 분야의 인사 134명이 1979년 10.26 이후 계속되고 있는 비상계엄을 해제할 것과 심화되고 있는 경제위기 문제, 민주화와 생존권을 외치는 학생 근로자들의 항의시위 등에 대하여 자신들의 견해를 공동으로 밝힌 것이다. 송건호는 이 시국선언문을 썼고, 계엄령 위반으로 무지막지한 고문을 당해야 했다. 고문후유증으로 인해 온몸이 마비되는 파킨슨병으로 8년간 투병생활을 하다가 2001년 12월 21일 세상을 떠났다. 질곡의 세월을 살았던 그의 삶이 우리 언론의 역사와 닮아 있다.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송건호 선생을 ’언론인의 사표'로 삼고 있다. 2002년 선생의 자유언론 정신을 기리기 위해 송건호언론상이 제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