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2.28민주운동

“백만 학도여, 피가 있거든 우리의 신성한 권리를 위하여 서슴지 말고 일어서라. 학도들의 붉은 피가 지금 이 순간에도 뛰놀고 있으며, 정의감에 입각한 이성의 호소인 것이다.......”
이승만 정권의 비이성적인 작태에 분노한 경북고등학교 학생 이대우가 낭독한 결의문의 내용이다.
1960년 3.15정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 정권의 실정과 장기집권에 싫증을 느낀 국민들은 정권교체를 열망하고 있었다. 그러나 야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한 조병옥이 선거를 한 달 남겨두고 미국에서 갑자기 사망한다. 그리하여 이승만의 당선은 기정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문제는 부통령인 이기붕이었다.
당시 헌법은 대통령이 궐위시 부통령이 권력을 승계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이승만이 매우 연로했기 때문에 언제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부통령에 이기붕이 당선되는 것은 자유당 정권의 장기집권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장치였다. 그러나 여론이 이기붕에게 유리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일요일인 2월 28일에 야당인 민주당의 장면 부통령 후보의 대구 수성천변 유세가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자 이승만 정권은 대구지역 각급 학교에 일요일에 학생들을 등교시키도록 조치를 취하였다. 장면의 유세에 사람이 많이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한 술책이었다. 어린 학생들마저 정권 유지를 위한 도구로 이용했던 것이다.
하지만 학생들은 이런 이승만 정권의 의도에 분노했고, 등교를 거부하고 대규모 시위로 발전했다. 경북도청과 대구시청, 자유당 대구시지부 등을 몰려다니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경찰들은 어린 학생들을 무자비하게 연행했고, 이를 감독하지 못한 교사들도 문책을 받았다.
그러나 이승만 정권의 엄포에 몸을 사리던 언론도 이 사실을 보도하기 시작했고 국민들은 더욱 분노했다. 시위는 전국의 학교들로 번졌고 이승만 정권은 위기에 내몰렸다.
어린 학생들이 어른들도 하지 못하는 일을 한 것이다. 이 시위는 결국 3.15마산의거로 이어졌고, 4.19혁명의 도화선이 되어 이승만 독재를 무너뜨리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으며, 우리 민주주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