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사료 70건
더 보기-
6·10 박종철 고문살인은폐규탄 및 민주개헌쟁취 범국민대회 전국상황일지
등록번호 : 00966302
날짜 : 1987.06.10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한국토종씨앗박물관
요약설명 : 규탄대회와 천주교 명동성당 횃불시위와 농성 등을 다룬 6·10 민주항쟁의 전국 상황...
-
한국기독교장로회 6·10 국민대회에 관한 성명서
등록번호 : 00124597
날짜 : 1987.06.16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민주화운동자료관추진위...
요약설명 :
-
6·10박종철 고문살인 은폐규탄 및 민주개헌쟁취 범국민대회전국상황일지
등록번호 : 00190215
날짜 : 1987.06.00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민주화운동자료관추진위...
요약설명 :
민주화운동사 컬렉션 1건
더 보기사료 콘텐츠 3건
더 보기-
모든 노동자의 어머니 이소선
요약설명 : 사람이 아니었다, 노동자들이 옳지 않은 일을 하면 쓴소리도 마다하지 않았다. 2006년 11월 전국노동자대회에서 소선이 했던 말은 아직도 많은 사람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입으로만 노동자는 하나라고 외치면 뭐 합니까! 밑바닥에서 소외받고 고통당하는 비정규직을 나 몰라라 해서 어찌 민주노총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손잡고 싸우지 않으면 얼마 못 가 정규직도 비정규직 신세가 될 것입니다.” 2011년 9월 3일, 심장마비로 쓰러진 이소선은 끝내 눈을 감았다. 가톨릭신문은 이소선의 삶을 아들 예수를 잃은 성모 마리아의 삶에 비유했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약자의 편에 섰던 소선은 아들과의 약속을 지키고, 더 나아가 ...
-
부산의 아들 박종철 - 부산의 6월항쟁
요약설명 : 쓰러진 이한열의 죽음은 전국을 뒤흔드는 뇌관이 되었다. 다음날 6·10민주항쟁은 전국 22개 도시에서 24만명의 시민들이 집회에 참석해 ‘호헌철폐’와 ‘독재타도’를 외치며 6.10민주항쟁의 포문을 열었다고 역사는 기록하고 있다. 평범한 시민들의 평범하지 않은 일상들이 새로운 저항의 힘으로 투쟁에 합류하지 않았다면 역사의 방향을 가늠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당시 수산대 1학년이던 송경아도 역시 박종철고문규탄대회에 본격적으로 시위에 참여하게 되면서 평범했던 그의 삶이 급반전되기 시작했다. 대학 연합써클을 통해 진행되던 그의 활동이 부모님께 알려지자 그는 집을 나와 휴학을 하면서까지 시위에 참여했다. 그리고...
-
<6월항쟁과 불교> 발간 - 잿빛 승복 휘날리며 역사의 한복판에 뛰어들다
요약설명 : 외침에 불교계 ‘민주화는 정토의 구현’ 응답하며 거리로 1987년 6·10민주항쟁(이하 6월항쟁)의 시발점은 그해 1월 14일에 일어난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이었다. 그로부터 6개월간 ‘박종철을 살려내라’,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치는 국민들과 폭력진압에 나선 전두환 정권 사이에 접전이 벌어졌다. 이때 최루가스 자욱한 거리에서 잿빛 승복 휘날리며 불퇴전의 기개로 시위를 벌이는 스님들이 등장했다. 한국사회의 새로운 풍경이었다. 이들의 등장은 많은 국민에게 경이로웠다. 대다수 국민에게 불교는 독재정권에 예속된 종교요, 그 지도층은 독재정권의 들러리일 뿐이라는 인식이 단단히 박혀 있던 때였다. 6월항쟁...
구술 컬렉션 8건
더 보기-
남영주
면담자 : 함종호
일자/장소: 2017.5.29./대구민중행동 사무실
요약설명 : 6·10국민대회와 6·18최루탄추방대회, 위기의 순간과 6·26국민평화대행진,...
-
이명준
면담자 : 이영재, 정호기, 이창훈
일자/장소: 2017.6.12./4.9통일평화재단
요약설명 : 사회운동, 6·10민주항쟁 초반기, 명동성당농성, 천주교계의 역할, 국민운동본부 발...
-
정일영
면담자 : 이영재, 이창훈
일자/장소: 2017.7.4./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요약설명 : 6·10국민대회와 명동성당 농성에 사무직 노동자들의 참여 형태, 명동성당 농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