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글자 크기 조절

70년대 민주노조와 정화조치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을 진압한 신군부는 5월 31일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를 설치하고 사회의 숙정(肅正)과 정화(淨化)를 명분으로 정치인, 지식인, 언론인 등 신군부에 저항할 수 있는 반대세력과 경쟁자들을 가차없이 제거했다. 노동운동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노동조합 정화조치는 두가지 경로로 진행되었다. 하나는 한국노총과 산별노조 상층을 지배해온 어용 간부의 축출과 지역지부의 해제였고, 다른 하나는 1970년대 노동운동을 주도해온 민주노조의 파괴였다.

노동계의 정화조치는 7월부터 본격화되었다. 먼저 노동청을 경유해 노동탄압을 위한 지침이 10여 차례에 걸쳐 하달되었는데, 8월 21일에는 ‘노동조합 정화지침’이 공문으로 전달되었다. 이에 의거해 1차로 한국노총 위원장을 비롯해 산하 산업별 위원장들을 자진 사퇴하게 했고, 노동조합의 통합과 지역지부 107개소를 폐지했다. 그리고 8월 20일에는 간부 191명을 사퇴시켰다. 특히 표적이 된 것은 1970년대 민주노동조합 건설운동을 전개했던 사업장들과 관련자들이었다.


사회정화조치가 노동계에 전격적으로 밀어닥친 것은 1980년 12월이었다. 신군부는 1980년 12월을 전후해 노동자들을 연행하여 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일부는 구속되어 유죄판결을 받았고, 일부는 삼청교육대로 보내졌다. 1981년 1월 6일 청계피복노동조합의 강제해산을 필두로 반도상사, 서울통상, 태창섬유, 콘트롤데이타, 원풍모방, 남화전자, 무궁화메리야스 등의 노동조합이 해산되었다. 해고된 노동자들은 다양한 형태로 노동현장 복귀를 모색하는 한편,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 등의 단체를 결성하여 1980년대 노동운동을 이끌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지난 2018년에 1970년대 민주노조와 정화조치 관련자 구술을 1차 수집하였다. ‘70년대 민주노조와 5·17 이후 정화조치’라는 주제의 구술은 권위주의 통치체제의 절정기와 권력의 변환기에 노동계의 민주화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었고, 노동자들이 어떤 탄압받았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018년 구술자는 총 8명으로, 고려피혁의 남상헌, 원풍모방의 박순희, 청계피복의 이숙희와 이승철, 동일방직의 이총각, 반도상사의 장현자, YH무역의 최순영, 한일공업의 박육남이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70년대 민주노조와 정화조치(2)'라는 주제로 구술 수집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