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사료 20건![엑셀 다운로드](/static/img/btn/btn_excel_download.png)
더 보기 ![더 보기 화살표 아이콘](/static/img/temp2/icon/arrow-right-black.png)
-
[명동 3.1 사건 관련 성명]
등록번호 : 00515972
날짜 : 1976.04.06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Jones, Linda Huffman
요약설명 : 1.We,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have already annouced,on March...
-
[3·1 명동 민주구국선언및 성직자 구속사건 관련 성명서]
등록번호 : 00018121
날짜 : 1977.03.24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한국교회여성연합회
요약설명 : 성명서[명동 민주구국선언 성직자 구속사건 관련]/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1976.4.6)...
-
3·1사건 14회 공판 방청기
등록번호 : 00028868
날짜 : 1976.08.05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박용길
요약설명 : 3.1 명동 사건 김대중 , 문익환 , 안병무 씨 등 11명을 구속시켰다. 가톨릭에서는...
사료 콘텐츠 2건
더 보기![더 보기 화살표 아이콘](/static/img/temp2/icon/arrow-right-black.png)
-
빅토리숄을 아세요?
요약설명 : 1976년 3월 1일 오후6시, 명동성당에서 3.1절 기념미사가 열렸다. 전국에서 올라온 20여 명의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신부들이 공동 집전했고, 2천여 명의 신·구 교회 인사와 신자들이 참석했다. 1부에서 사제단의 김승훈 신부가 강론을 하고, 2부에서는 개신교의 문동환 목사가 설교를 맡았다. 이우정 교수가 재야인사들이 서명한 선언문 “민주구국선언”을 낭독했다. 그리고 3.1절 기념미사는 별일 없이 조용히 끝났다. 3월 10일, 갑자기 이 미사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날 오후 검찰은 ‘일부 재야인사들의 정부전복 선동사건’이 발생하여 관련자 20명을 대통령 긴급조치 9호 위반혐의로 입건했다'고 발표했다. 3월 26일,...
-
미국 전문(電文)에 나타난 3.1민주구국선언
요약설명 : 3.1민주구국선언 1972년 10월유신으로 유신체제가 들어선지 4년 뒤인 1976년 3월 1일. 명동성당에서 열린 3.1절 기념미사에서 한 문건이 낭독된다. 3.1민주구국선언으로 알려진 이 사건은 초헌법적 비상조치로 발단된 박정희 유신독재에 반대하는 저항의 외침이었다. 문익환은 1976년 2월 12일 함석헌에게 유신반대에 관한 "민주구국선언문"을 작성했다고 밝혔다. 함석헌은 3월 1일 이 선언문을 낭독하겠다는 문익환에게 그 뜻에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그리고 1976년 3월 1일 오후 6시, 명동성당에서 3.1절 기념미사가 열렸다. 미사가 끝나자 2월 16일 전주에서 있었던 기도회의 보고형식을 빌려 이우정 교수가 "민주구국선언"을 낭독했다....
구술 컬렉션 2건
더 보기![더 보기 화살표 아이콘](/static/img/temp2/icon/arrow-right-black.png)
일지사료 4건
더 보기![더 보기 화살표 아이콘](/static/img/temp2/icon/arrow-right-black.png)
-
천주교정의평화위원회‧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명동성당에서 ‘구속된 이들을 위한 기도회’ 개...
일자 : 1977.3.1
분류 : 민주화운동 > 인권
요약설명 : 천주교정의평화위원회와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주최로 3.1사건 발생 1주년을 맞아 오후 6시부터 명동성당에서 ‘구속된 이들을 위한 기도회’가 개최되었다. 지학순 주교, 김몽은 명동성당 주임신부를 비롯하여 67명의 사제단이 공동집전하고 2,000여 명의 신자들이 참석한 이날의 기도회에는 전국 지방에서 올라온 많은 사제들이 경찰 저지로 참석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안동교구의 경우 2월 28일 밤차를 타러 기차역에 가는 신부를 30여 명의 사복경관이 여러 대의 승용차에 강제로 태워 협박도 했다. 몇몇 신부는 청송 등지로 연행되었고 주교관에 연금되기도 하였다. 부산교구 구포성당 송기인 신부도 진주로 강제...
-
천주교정의평화위윈회, ‘민주구국선언 사건’의 유죄판결에 대한 「성명서」 발표
일자 : 1977.3.28
분류 : 민주화운동 > 인권
요약설명 : 위한 기도회’가 오후 6시부터 명동성당에서 열렸다. 김수환 추기경, 윤공희 대주교와 43명의 사제단이 공동 집전한 이날 미사에서 김수환 추기경은 강론을 통해 ‘진리를 위해 몸 바치는 사람들이 되게 해 주십사’고 기도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날 정평위는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의 유죄판결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하면서 ‘국가 권력은 도덕적인 힘이 있어야 하는데 현 정권은 도덕적으로 타락했다’고 강조하였다. 기쁨과 희망 사목연구소, 『암흑속의 횃불』 제2권, 가톨릭출판사, 1996, 225쪽.; 「3.1사건에 대한 유죄판결을 보고」 기쁨과 희망 사목연구소, 『암흑속의 횃불』 제2권, 가톨릭출판사, 1996, 291-293쪽.지난해 3월...
-
기장 청년 서울연합회 소속 청년들, 연합예배 후 가두 시위
일자 : 1977.4.24
분류 : 민주화운동 > 재야·지식인·종교
요약설명 : 정권 퇴진 등을 촉구하는 「기장청년 1977 신앙고백선언」을 발표하였다. 이후 “평화” “자유민주주의 만세” 등의 플래카드를 들고 명동 로얄호텔 앞까지 진출하였다. 이곳에서 긴급 출동한 경찰의 제지를 받아 9명이 당일 오후 3시경 명동 파출소로 연행되어 조사를 받았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엮음, 『한국민주화운동사』 2, 돌베개, 2009, 230쪽; 77년도 사건 ReportⅠ, 22쪽,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오픈아카이브(https://archives.kdemo.or.kr/isad/view/00838177); 「기장청년 1977 신앙고백선언」 ; 「기장청년 77 신앙고백선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오픈아카이브(https://archives.kdemo.or.kr/isad/view/00085416)아! 캄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