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사료 3건![엑셀 다운로드](/static/img/btn/btn_excel_download.png)
더 보기 ![더 보기 화살표 아이콘](/static/img/temp2/icon/arrow-right-black.png)
-
調査部[농업전반에 관련한 각종 통계수치 기록카드]
등록번호 : 00306722
날짜 : 1981.00.00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한국가톨릭농민회
요약설명 : 천주교 농민운동단체로써 민주화와 인권신장에 크게 기여한 한국가톨릭농민회의...
-
[한국천주교정의평화위원회 회의록 및 메모]
등록번호 : 00868274
날짜 : 1984.01.08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황인철
요약설명 : 70년대 이른바 인권변호사 4인방 중 한 사람으로 천주교정의평화위원회를 이끌고,...
-
[황인철 변호사 법과 정치관계 메모]
등록번호 : 00869425
날짜 : 미상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황인철
요약설명 : 70년대 이른바 인권변호사 4인방 중 한 사람으로 천주교정의평화위원회를 이끌고,...
사료 콘텐츠 4건
더 보기![더 보기 화살표 아이콘](/static/img/temp2/icon/arrow-right-black.png)
-
민가협 활동을 기억하다
요약설명 : 기절을 해브러서 병원에까지 실어가도 몰랐다니까요.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의 탄생과 활동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는 국가폭력피해자, 장기수, 노동자, 대학생 등을 망라하는 가장 광범위한 구성원을 가지고 있는 가족운동 조직이다. 가족운동의 맹아라 일컬어지는 구속자가족협의회(이하 구가협)가 민가협의 모체라고 할 수 있다. 구가협은 1974년 민청학련, 인혁당재건위사건으로 인한 구속자 수 증가와 목요기도회 등의 영향으로 설립되었다. 구가협은 이어 한국양심범가족협의회로 재편되었는데, 1985년 미문화원 농성 사건, 구로동맹파업, 민청련 사건과 관련하여 비슷한 시기 각기 투쟁하던 가족들이 서로 격려하고 뭉치게 되었고,...
-
관찰하라, 판단하라, 실천하라 - 한국가톨릭노동청년회
요약설명 : 발족한 이래 1960년대와 70년대, 80년대에 우리나라가 급격하게 산업화되는 과정에서 드러난 노동 왜곡 현실에 저항하면서 나라의 민주화와 민중의 인권을 회복하는데 기여하였다. 심도직물노동조합 사건 이래 노동조합 투쟁, 민주노조의 현장에는 반드시 JOC가 있었다. 노동현장에서 JOC는 빨갱이 단체로 공격당했고, JOC 출신 노조원들은 빨갱이로 몰리며 불법과 불의, 물리적 폭력에 맞서야 했다. 1987년 6월항쟁 이후 전국에서 수많은 노조가 설립되면서 JOC는 자신의 정체성을 놓고 갈등을 겪어야 했다. 그럼에도 오늘에 이르기까지 JOC는 노동자의, 노동자에 의한, 노동자를 위한 조직으로 여전히 노동자들 속에서 호흡하고 있다. *...
-
모이자, ‘민통련’의 깃발 아래로...!
요약설명 : 문익환 목사가 선출되었다. 총 23개 단체가 가입한 민통련은 상임위원회를 통해 부문운동단체를 포괄했고, 각 지역조직을 통해 개인 회원들을 받아들였다. 민통련은 가맹단체 규모로나 활동가들의 면면으로 보나 80년대 재야민주화운동의 총 결집체라고 할 만했다. 가톨릭 신부와 운동단체들, 기독교 목사와 운동단체들, 70년대 이래의 재야운동, 노동운동, 빈민운동 그리고 각 분야 부문운동 인사들이 함께 연대했고, 전국 시도 단위의 지역운동가들이 자리를 함께했다. 사회적 영향력이 가장 컸던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도 참여했다. 강희남 목사, 이두수 목사, 유운필 목사 등 개신교 원로 목사도 참여했으며 재야 원로인 계훈제와 백기완,...
구술 컬렉션 1건
더 보기![더 보기 화살표 아이콘](/static/img/temp2/icon/arrow-right-black.png)
일지사료 2건
더 보기![더 보기 화살표 아이콘](/static/img/temp2/icon/arrow-right-black.png)
-
신·구교 도시산업선교 17개 단체, 「노동사회 인권유린(근로자 구타사건)에 대하여」 발표
일자 : 1974.1.5
분류 : 민주화운동 > 노동
요약설명 : 결의문 발표했다.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83. 『1970년대 민주화 운동과 기독교』, 274쪽;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06. ‘지역민주화운동사 편찬을 위한 기초조사사업 기초조사연구 - 경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5쪽; 김백산, 1983. 9.20.「70년대 노동자계층의 현황과 성장」, 『민중』, 민중사, 제1권, 68쪽;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관련 사료 DB』의 1974. 1. 5 신·구교 노동문제 공동협의회 명의의 「노동사회 인권유린(근로자 구타사건)에 대하여」라는 결의문; 이창복, 「한국모방 노동조합정상화사건」,『세기의 길목에서』, 한울, 1999, 158~161쪽「결의문: 노동사회 인권유린(근로자 구타사건)에 대하여」 발표...
-
지학순 신부, 바티칸에서 귀국 직후 연행
일자 : 1974.7.6
분류 : 민주화운동 > 재야·지식인·종교
요약설명 : 연행됐다. 지학순 주교는 천주교신자인 민청학련 관련자 김지하(본명 김영일)에게 도피자금을 주고 내란을 선동하는 등 대통령긴급조치 위반혐의가 적용됐다.전북민주화운동사편찬위원회, 『전북민주화운동사』, 선인, 2012, 92-93쪽. 『한겨레신문』 2020. 5. 28.지학순 주교 긴급조치 위반 구속사건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기독교』, 1983; 한승헌 외, 『유신체제와 민주화운동』, 춘추사 , 1984;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70년대 민주화운동Ⅰ』, 동광출판사, 1987; 기쁨과 희망 사목연구소, 『암흑속의 횃불』, 가톨릭출판사, 1996.천주교 원주교구 지학순 주교는 민청학련사건 관련자인 천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