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사료 6건
더 보기-
서울형사지방법원 판결문[한일협정반대 시위 관련]
등록번호 : 00960432
날짜 : 1966.04.25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한신대학교
요약설명 : 함께 한일회담반대를 위한 옥외집회 및 시위 주최를 공모, 관할경찰서장에 신고 없이...
-
서울형사지방법원 제3부 판결문[한일협정반대 시위 관련]
등록번호 : 00960433
날짜 : 1969.04.10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한신대학교
요약설명 : 한일회담반대를 위한 집회 및 시위 공모, 신고 없이 학생 약 90여 명을 집합시켜...
-
평화민주당 당무위원 박석무[약력 및 선전문구]
등록번호 : 00034550
날짜 : 198*.00.00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윤영규
요약설명 : - 1964. 6월 6.3한일협정 반대시위로 투옥 - 1973. 3월 전남대 함성지 사건으로 투옥...
사진사료 47건
더 보기사료 콘텐츠 6건
더 보기-
총무님, 총무님, 우리들의 총무님_ 김한림
요약설명 : 그 뒤로 대학가에선 연일 유신헌법에 반대하는 시위가 끊이지 않는 터였다. 유신반대 데모만 해도 최고 15년 형을 받을 수 있는 시절이었다. 한림은 설령 윤이 데모에 나선다고 해도 이해할 수 있었다. 유신반대운동이라면 한림이 더 선배였다. 한림은 4·19혁명 후 치러진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된 윤보선의 아내 공덕귀 여사와 가까운 사이였다. 윤보선은 박정희가 주도한 5·16군사 쿠데타로 자리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박정희 정권이 굴욕적인 한일협정을 맺으려 하자 한림은 윤보선을 설득해 한일회담반대투쟁에 동참하게 만들었다.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한림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당시...
-
구호로 보는 한일회담반대운동
요약설명 : 28일 한일회담반대 시위 5일 째, 오전 11시쯤 성균관대생 약 4,000여 명은 교내에서 "정부는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라. 이것이 관철 안 될 때 우리는 죽음으로 투쟁하겠다”는 결의문을 낭독한 후, 태극기를 펼쳐든 4명의 여학생을 앞세우고 교문을 나서 종로4가를 거쳐 시위에 나섰다. “그대를 기다렸노라”, “여야는 자숙하라”, “누구를 위한 회담인가”, “평화선을 고수하자”는 등의 구호를 외치면서 시위를 벌였다. '그대'는 한일회담을 주도하고 일본에서 귀국한 김종필 공화당의장을 가리킨다. 누구를 위한 회담인가 1964년 3월 28일 성균관대 학생 시위 매국협정 저지시켜 조국수호 이룩하자 1964년 8월 14일,...
-
한일협정반대운동(6·3운동)
요약설명 : 1964년부터 1965년까지 전개된 굴욕적 한일회담과 한일협정체결에 반대하여 일어난 학생, 시민, 야당, 지식인들의 대규모 시위
구술 컬렉션 24건
더 보기-
김정헌
면담자 : 김종길, 양정애
일자/장소: (1차)2022.9.22. (2차)2022.10.5./(1차)김정헌 자택, (2차)김정헌 작업실
요약설명 : 김정헌은 1946년 평양에서 출생, 서울대학교 건축과를 다니던 두 형님을 따라 건축과...
-
최희조
면담자 : 신동호
일자/장소: 2012.10.3./현대사기록연구원
요약설명 : 시위 등 한일협정 반대운동에 적극 참여한 내막, 서울문리대 학생회장 출마 배경과...
-
유대원
면담자 : 신동호
일자/장소: 2012. 9. 26. / 현대사기록연구원 회의실
요약설명 : 이적해 한일협정 반대운동 세력 규합, 성동교 돌파 위해 한양대 등과 연합시위 계획,...
일지사료 77건
더 보기-
장면 국무총리, “한미경제협정 반대에 조련계 편승 봉쇄할 것”
일자 : 1961.2.23
분류 : 2.8한미경제협정 및 2대악법 반대운동
요약설명 : 23일 오전, 장면국무총리는 중앙청에서 열린 정례 기자회견에서 한미경제협정 및 한일회담 관련 시위에 조련계나 북한공산당이 편승해서 파괴 내지 방해를 조장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장면 총리는 이어 한미경제협정을 반대하는 야당이나 혁신계를 탄압할 의사는 조금도 없다고 말하였다. 한편 장면 총리는 기자들이 최근에 일어난 일련의 치안교란상태가 북한의 지령에 의한 것인가라고 질문한 데 대해 확실한 답변은 회피하면서 “수사상 말은 않지만 상식에 맡긴다”라고 답변하였다.『경향신문』 1961. 2. 23 석1면 ; 『동아일보』 1961. 2. 24 조1면
-
“평화선 철폐 고려” 최덕신 단장 밝혀
일자 : 1961.7.22
분류 : 한일협정추진 > 한국정부
요약설명 : 했다. 실제로 ‘평화선 사수’는 한일회담 반대 시위에 가장 많이 등장한 구호였다. 박정희 정권은 청구권 타결을 위해 평화선을 ‘양보’해 버렸다. 1965년 6월 22일 체결된 한일협정 중 어업협정의 주요 내용을 보면 한국 어민만이 배타적으로 어업을 할 수 있는 어업수역(전관수역)은 공해를 포함하여 12해리까지 설정되었고, 40해리까지는 한국과 일본 어민이 같이 조업하는 공동규제수역으로 설정되었다. 결국 어업협정은 일본의 요구를 거의 들어준 셈이었는데, 어업 격차 해소는 청구권 자금 중 9만 달러의 어업협력자금을 받는 것으로 처리되었다. 그러나 어업협력자금과 공동규제수역 설정은 한국어민들에게는 전혀...
-
일본 사회당, “한일회담 지속하면 난동사태 날 것”
일자 : 1961.11.7
분류 : 한일협정반대운동 > 해외 및 북한
요약설명 :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동아일보』 1961.11.9 조1면일본 사회당과 공산당의 한일협정 반대운동일본의 한일협정 체결 반대운동은 주로 사회당 일본 사회당은 1962년 현재 당원이 48,000여 명이고, 1960년 총선거에서 총득표 1088만여 표를 얻었다. 이는 전 정당 득표수의 27.6%에 해당한다. 국회에는 중의원 143명, 참의원 65명이 재석하고 있다.(전준, 「일본사회당의 대한정책-한일회담과 관련 지워」, 『사상계』, 1962년 5월, 119쪽)과 공산당, 총평(일본노동조합평의회)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당시 최대 야당이었던 사회당은 그 모체가 일본 내 최대 노동조직인 총평이었으며, 공산당은 원내세력으로서 규모가 작았으나 원외시위를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