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사료 101건
더 보기-
한국인권문제연구소 창립3주년 기념행사 초대장
등록번호 : 00888131
날짜 : 1986.07.26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재)전태일 재단
요약설명 : -창립 3주년기념 심포지움의 일시, 장소와 발표자, 토론자 안내 -기념 만찬회에 대한...
-
취지문-한국인권문제연구소후원회의 발족에 즈음하여
등록번호 : 00877687
날짜 : 1985.11.00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5.18 기념재단
요약설명 : 한국의 인권상황에 대하 세계에 알리는데 중심적 역할을 담당한 한국인권문제연구소의...
-
취지문 - 한국인권문제연구소후원회의 발족에 즈음하여
등록번호 : 00968030
날짜 : 1985.11.00
구분 : 문서류 > 문서
기증자 : 김영춘
요약설명 : 한국의 인권상황을 전 세계에 알리는데 중심적 역할을 담당한 한국인권문제연구소를...
사진사료 2건
더 보기영상사료 1건
더 보기사료 콘텐츠 6건
더 보기-
5.18 최후의 수배자 윤한봉
요약설명 : 워싱턴 D.C. 북미한국인권문제협회 사무국장 패리스 하비(Pharis Harvey) 목사와 시애틀의 김동건 장로 부부에게 인계되어 미국 땅에 발을 디뎠다. 그 사내는 바로 5.18민주화운동의 주모자로 수배되어 쫓기던 중 미국으로 밀항한 윤한봉이었다. 광주 민주화운동의 지도자인 강신석 목사와 ‘광주의 어머니’로 불리던 조아라 장로가 밀항과 해외 망명을 지원하고 있었다. 하비 목사는 미국 민주당의 중진인 에드워드 케네디 상원의원에게 윤한봉의 정치망명 절차를 밟아 달라고 요청했다. 윤한봉은 당분간 동양식품점을 운영하는 김동건 장로 부부의 보호를 받으며 점원 생활을 했다. 1981년 11월 하순, 로스앤젤레스로 건너간 윤한봉은 미국 내...
-
노동, 농민, 빈민, 인권 운동 구술 영상 서비스
요약설명 : 생애사 서비스를 ‘노동운동’으로 통합하였다. 농민운동은 60~70년대 농민운동, 사제들의 활동, 오원춘사건, 함평고구마사건, 춘천가톨릭농민회사건 등 41건의 구술 영상을 서비스한다. 빈민운동은 1970년대 빈민운동, 광주대단지시위사건, 수도권도시선교위원회, 수도권특수지역선교위원회, 연세대 도시문제연구소, 와우시민아파트붕괴사건, 청주시청 청소부 근로조건개선투쟁 등 24건의 구술 영상을 서비스한다. 인권운동은 국제앰네스티의 한국지부 설립 시기의 참여자 3명의 구술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술 아카이브에서는 3분~5분 정도의 서비스 영상을 볼 수 있으며, 영상 이외의 구술 자료를 열람하고자 할...
-
거리에서 시작되어 광장으로 이어지다 - 한국여성단체연합의 시작
요약설명 : 인권단체와 여성단체의 도움을 간절하게 원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7월 9일, 여성단체들은 박영숙을 위원장으로 하여 ‘성고문대책위원회’를 만들고, 이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했다. 가톨릭 여성농민회, 공해반대시민운동협의회 여성분과, 기독여민회, 또 하나의 문화, 민족미술협의회 여성분과,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여성위원회,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민주화운동청년연합 여성부, 민중불교운동연합 여성부, 여성의 전화, 여성평우회, 전북민주화운동협의회 여성분과, 주부아카데미협의회, 한국가톨릭농민회 여성부, 한국교회여성연합회,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여성위원회, 한국기독교농민회총연합회 여성위원회,...
구술 컬렉션 2건
더 보기일지사료 45건
더 보기-
대한모방 노동자들 근로조건 개선 요구
일자 : 1973.1.9
분류 : 민주화운동 > 노동
요약설명 : 9일 산업선교회 회원을 중심으로 한 대한모방 근로자 266명은 사장에게 근로조건 개선을 서면으로 요구하였다. 요구사항은 ①토요일 밤에 시작되어 주일까지 18시간 동안 계속되는 중노동 ②평일 12시간 노동의 혹사 ③30분밖에 안 되는 짧은 점심시간 ④매주 목요일마다 작업시간 후에 기숙사에서 강제적으로 실시되는 예배 ⑤기숙사 사감의 월권 행사 등의 문제를 시정하라는 것이었다.민주화운동기념사업 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 연표』, 도서출판 선인, 2006, 237쪽;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70년대 민주화운동 - 기독교 인권운동을 중심으로 - (Ⅰ)』, 1986, 174쪽
-
남산 부활절 연합예배에서 민주회복과 언론자유를 촉구한 전단지 배포
일자 : 1973.4.22
분류 : 민주화운동 > 재야·지식인·종교
요약설명 : 한국기독교장로회와 NCC는 즉각 모임을 갖고 성명을 내는 등 대책활동에 들어갔는데, 단순히 이들의 구명운동에 그치지 않고 정치적 상황에 대한 교회의 인식을 제고시키면서 민주화 인권운동으로서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대책운동 과정에서 소장 목회자들이 연결되고 결집되기 시작하면서 민주화운동의 물결이 각 교단으로 확산될 수 있었다.민주화운동기념사업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 연표』, 도서출판 선인, 2006, 240~241쪽;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70년대 민주화운동Ⅰ』, 1987, 254~274쪽;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기독교』, 1983, 256쪽 부활절 연합예배 사건은 구속자 가족들이...
-
고려대 김낙중 등 ‘학원침투 간첩단 사건’ 발표
일자 : 1973.5.24
분류 : 민주화운동 > 학생
요약설명 : 없는 유신정권의 강압정책을 그대로 드러내었다. 그러나 아직 유신체제에 대응할 준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민주·인권운동진영은 이 사건이 과대포장되어 조작된 정치적인 사건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였다.민주화운동기념사업연구소 편, 『한국민주화운동사 연표』, 도서출판 선인, 2006, 242쪽;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70년대 민주화운동Ⅰ』, 1987, 320~323쪽;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기독교』, 1983, 256~257쪽; 『경향신문』 1973.6.21. 1면; 『경향신문』 1973.10.25. 1면; 『동아일보』 1973.10.25. 7면; 『조선일보』 1973.6.22. 7면; 『조선일보』 1973.10.26. 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