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사료 1건
더 보기영상사료 49건
더 보기-
권석충
등록번호 : 00900476
날짜 : 2012.00.00
구분 : 문서류 > 음성
기증자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요약설명 : [면담자] 신동호; [과제명] 한일협정반대운동 구술수집 1차사업
-
김규칠
등록번호 : 00900477
날짜 : 2012.00.00
구분 : 문서류 > 음성
기증자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요약설명 : [면담자] 신동호; [과제명] 한일협정반대운동 구술수집 1차사업
-
김병길
등록번호 : 00900478
날짜 : 2012.00.00
구분 : 문서류 > 음성
기증자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요약설명 : [면담자] 신동호; [과제명] 한일협정반대운동 구술수집 1차사업
민주화운동사 컬렉션 1건
더 보기사료 콘텐츠 7건
더 보기-
한일협정반대운동(6·3운동)
요약설명 : 1964년부터 1965년까지 전개된 굴욕적 한일회담과 한일협정체결에 반대하여 일어난 학생, 시민, 야당, 지식인들의 대규모 시위
-
총무님, 총무님, 우리들의 총무님_ 김한림
요약설명 : 있었다. 유신반대운동이라면 한림이 더 선배였다. 한림은 4·19혁명 후 치러진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된 윤보선의 아내 공덕귀 여사와 가까운 사이였다. 윤보선은 박정희가 주도한 5·16군사 쿠데타로 자리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박정희 정권이 굴욕적인 한일협정을 맺으려 하자 한림은 윤보선을 설득해 한일회담반대투쟁에 동참하게 만들었다.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한림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당시 한일회담반대투쟁의 주도 인물이었던 장준하와 백기완 정도만 한림에 대해 아는 정도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림을 교사려니 생각했다. 한림은 앞에 나서지 않은 채 사람이 필요하면 사람을 구해오고...
-
3선개헌반대운동 사료집 발간
요약설명 : 민주화운동 사료집·일지』(3책 구성)를, 2013년에는 세 번째 사업결과로 『한일협정반대운동 사료총집』(6책 구성)을 발간한 바 있다. 그리고 2014년부터 “1960년대 한국민주화운동 역사정리사업”의 마지막 사업으로 『3선개헌반대운동 사료집』 발간을 준비했다. 1960년대 후반 민주화운동은 박정희 대통령의 장기집권을 저지하기 위한 투쟁의 성격을 가지는데, 그 중심은 1967년 6.8총선 과정에서 자행된 ‘부정선거 규탄투쟁’과 1969년 ‘3선개헌 반대투쟁’이었다. 이와 함께 1960년대 후반 민주화운동의 정치 사회적 배경이나 당시 사회 분위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카린밀수사건’과 ‘베트남 파병·향토예비군 제도 도입 등’에도...
구술 컬렉션 37건
더 보기-
소병기
면담자 : 정호기, 이명진
일자/장소: 2021.7.5. / 전북 익산시 생활문화예술동호회
요약설명 : 결성과 농촌운동에 전념, 이리농림고등학교 진학과 4-H구락부 활동, 농촌운동의 중심...
-
이강
면담자 : 송철원
일자/장소: 2016.10.12./현대사기록연구원
요약설명 : 전국최초 한일협정반대운동, 전남대 법대 3선개헌반대투쟁, 함성지사건, 민청학련사건...
-
안상수
면담자 : 송철원
일자/장소: 2016.7.17./현대사기록연구원
요약설명 : 및 배경, 한일협정반대운동, 삼성밀수사건규탄투쟁 및 6.8부정선거규탄투쟁, 박종철고...
일지사료 1,669건
더 보기-
군사정권 한일문제 최초 표명 김홍일 외무장관 “한일회담 빠른 시일 내에 재개할 터”
일자 : 1961.5.22
분류 : 한일협정추진 > 한국정부
요약설명 : 22일, 김홍일외무장관은 혁명내각의 외교방침군사정권은 쿠데타 직후부터 한일관계 개선에 적극성을 보였다. 반공진영 보루라는 가치를 재확인받아 미국의 지속적인 대한(對韓)원조를 확보하고, 심각한 경제난을 해결하여 쿠데타의 명분을 정당화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제문제를 해결하려면 외자도입이 관건이었고, 과거사문제 해결을 통해 일정부분 일본 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일본과의 관계개선에 사활을 걸었다.(박진희, 「한·일 양국의 한일협정 반대운동 논리」, 『기억과 전망』 16호, 2007, 326쪽)을 내외신 기자회견석상에서 발표했다. 김 외무장관은 이 가운데 한일회담문제에 관한 의견을 표명하였는데,...
-
케네디-이케다 회담에서 대한국교정상화 촉진
일자 : 1961.6.25
분류 : 한일협정추진 > 일본
요약설명 : 그의 글에서 한국 정부가 한일협정 체결이 필요한 첫 번째 이유로 자유 반공진영의 강화를 꼽는데, 중공의 국제적 비중의 상승, 소련과 북한의 유대 강화 등 극동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국제정세의 조성이 대공전선의 최첨단에 있는 한국에 매우 위협적인 상황이라는 논리다. 이러한 한국 군사정부의 태도는, 때로는 노골적인 압력을 행사하기도 하고 때로는 한발 물러서 중재자로서 역할을 하는 등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고심하던 미국으로서는 바라던 상황의 전개였다고 쓰고 있다.(박진희, 「한·일 양국의 한일협정 반대운동 논리」, 『기억과 전망』 16호, 2007, 326쪽)케네디 정권의 한일관계정상화 압력5·16 쿠데타가 일어난 1961년...
-
“평화선 철폐 고려” 최덕신 단장 밝혀
일자 : 1961.7.22
분류 : 한일협정추진 > 한국정부
요약설명 : 공동규제 수역에서의 조업은 한일 간 어업기술력의 차이로 한국어민들에게 큰 타격이 될 것이라는 점 때문이었다. 한편, 이 협정에서 평화선은 전혀 언급되지 않았는데, 이는 타협이 어려운 평화선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일 양국의 정치적 결정이었다. 즉 한국 정부는 한일협정에서 평화선이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일협정 체결 이후에도 여전히 평화선이 남아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한일협정 체결에도 불구하고 아직 사라지지 않았다는 한국 정부의 주장은 억지에 불과했다.위의 글은 다음과 같은 문헌을 참고하였다. 오제연, 「평화선과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 14, 역사비평사, 2005, 13~42쪽. 이원덕, 『한일 과거사 처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