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고

1971년 대통령선거

5.16군사쿠데타로 정권을 탈취한 박정희는 이른바 ‘6대 혁명공약’과는 달리 정권을 민간에 이양하지 않고, 자신이 공화당을 창당하여 군복을 벗고 1963년 대선에 출마하여 당선됨으로써 사실상의 군정을 연장한다.
제5대 대통령에 당선된 직후 국민들의 반대를 군과 경찰력을 동원하여 진압하면서 굴욕적인 한일회담을 통해 국교를 정상화한 뒤 경제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경제개발 과정에서 성장을 위해 기층 민중의 인권과 생존권의 희생을 가혹하게 요구한다.
그리고 다시 67년 제6대 대통령선거에서 관권과 금권을 동원하여 야당의 윤보선 후보를 아슬아슬하게 물리치고 대통령에 당선된다. 이어서 그 해에 치러진 총선에서는 장기집권을 위한 3선개헌 정족수를 확보하기 위해 사상 유례없는 부정선거를 자행한다. 무더기 투표와 사전투표, 대리투표 등을 통해 개헌정족수를 달성했지만, 야당은 선거 무효화를 주장하며 국회 등원을 거부한다.
그리고 마침내 69년 9월 14일에 야당과 국민의 반대를 무시하고 3선개헌안을 날치기로 통과시킨다. 국회본회의장을 점거하고 있는 야당의원들을 따돌리고 새벽에 국회 제3별관에서 여당만으로 전격 날치기로 가결한 것이다. 이를 통해 박정희의 3선 출마가 가능하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10월 17일 국민투표를 통해 개헌안을 확정한다. 
71년 4월 27일에 제7대 대통령선거가 실시된다. 이때 신민당에서는 40대 기수론을 제창한 세 수보가 당내 경선을 통해 김대중이 후보로 선출되어 바람을 일으키고 있었다.
장충단공원에서 열린 선거 유세에서 박정희는 다시는 국민들에게 표를 달라고 하는 일은 없을 거라며 마지막 출마임을 암시하며 김대중의 바람을 막아보려 했다. 그러나 이미 박정희는 대대적인 부정선거를 획책하고 있는 중이었다. 국민들이 자신에게 등을 돌리고 있음을 알고 있었다. 박정희에 이어 며칠 후 장충단 공원에서 열린 김대중의 유세에는 자발적으로 참여한 군중이 구름처럼 몰려들어 박정희를 위협했다.
하지만 결국 박정희가 634만 표로 53.2%를 득표한 박정희가 540만 표로 45.2%를 얻은 김대중을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됨으로써 사실상 박정희는 영구집권의 길로 들어선다.